하나은행(은행장 이호성)은 하나은행 본점에서 건전한 공정거래 문화 확산과 준법경영 실천을 위한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ompliance Program, CP)' 도입 선포식을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은 기업이 공정거래법에서 정하는 관련 법규를 자율적으로 준수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도입·운영하는 체계적인 내부 준법시스템으로, 임직원들에게 명확한 행동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불공정거래 행위를 사전에 예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날 선포식에는 이호성 하나은행장, 박성범 법무법인 율촌 변호사, 한승혁 법무법인 율촌 변호사를 비롯해 하나은행 각 그룹을 대표하는 그룹장들이 참석했으며, 하나은행의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 도입 의미와 방향을 공유하고, 공정거래 관련 법규의 자율적 준수와 윤리경영 실천 의지를 확인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먼저, 하나은행은 준법 문화 정착을 위한 행동 기준을 정립하고, 모든 임직원이 스스로 행동기준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모든 임직원이 법 위반의 위험성을 공유하고, 법 위반 행위의 선제적 예방과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더불어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이 단순
삼성물산이 무려 95개월 연속 1위를 기록하며 건설사 취업 인기 정상을 굳건히 지켰다. 건설전문 채용플랫폼 건설워커(대표 유종현)가 3일 발표한 ‘2025년 9월 건설워커 랭킹’에 따르면, 삼성물산은 2017년 11월 이후 단 한 차례도 선두를 내주지 않으며 7년 11개월째 취업인기 1위를 이어가고 있다. ■ 종합건설 부문 TOP 10 (괄호안은 시평액 순위) 삼성물산(시평액 1위)에 이어 △현대건설(2위) △GS건설(5위) △DL이앤씨(4위) △현대엔지니어링(6위) △롯데건설(8위) △HDC현대산업개발(10위) △대우건설(3위) △포스코이앤씨(7위) △한화 건설부문(11위)이 톱10에 올랐다. 특히 현대엔지니어링은 이번 달 엔지니어링 부문에서 종합건설 부문으로 이동해 집계 첫 달부터 5위에 진입, 강한 존재감을 드러냈다. 이로 인해 기존 상위권 기업들은 순위가 한 단계씩 밀려났다. 11~20위권에는 호반건설(12위), 계룡건설산업(15위), 서희건설(16위), 금호건설(24위), 대방건설(22위), 동부건설(28위), KCC건설(20위), 쌍용건설(23위), 코오롱글로벌(18위), 우미건설(21위) 등이 포진했다. ■ 전문건설 부문 LT삼보, 특수건설, 세
대만디자인연구원(Taiwan Design Research Institute, TDRI)이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디자인 행사 중 하나인 2025 한국 광주디자인비엔날레에 처음으로 참가한다. 8월 30일 개막한 대만관은 '포용적 디자인(Inclusive Design)'을 주제로, 대만 디자인이 사람 중심의 가치, 다양성, 지속 가능성을 어떻게 포용하는지 보여준다. 광주디자인비엔날레는 2005년 창립 이래 현대사회에서 디자인의 역할을 탐구하는 선도적인 글로벌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올해의 주제인 '너라는 세계: 디자인은 어떻게 인간을 끌어안는가(You, the World: How Design Embraces Humanity)'는 디자인이 사회적 요구와 도전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이러한 비전에 따라 '포용적 대만'을 주제로 기획된 대만관은 공공 서비스, 도시 공간부터 일상 제품 등 16개 사례를 통해 모든 연령과 배경, 심지어 반려동물까지 아우르는 디자인을 제시하며 장벽을 없애고 참여를 확대하는 방향성을 보여준다. 이번 전시에는 자수이 스튜디오(JIASUI STUDIO), 천 위이 아키텍츠(Chen Yu-Yi Architects),
지난달 29일 세레스(SERES)는 2025년 상반기 실적을 발표하며 모든 핵심 지표에서 두드러진 성장세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세레스는 올 상반기 매출 624억 위안, 전년 대비 81% 증가한 지배주주 순이익 29억 4000만 위안을 달성했다. 연구개발(R&D) 투자액은 전년 대비 약 155% 늘어난 51억 2000만 위안에 달했으며, 신에너지차(NEV) 판매량은 총 17만 2108대로 집계됐다. 이 같은 견조한 실적은 AITO 브랜드 프리미엄 스마트 전기차에 대한 강력한 수요에 힘입은 결과다. 뛰어난 제품 품질과 안정적인 납품 역량이 뒷받침됐으며, 효율적인 모델 개발을 가능케 하는 다목적 MF 플랫폼, 생산을 신속히 확대할 수 있는 슈퍼 팩토리, 첨단 디지털 기반 품질 관리 시스템, AITO의 시장 평판을 지속적으로 높이는 현대적 럭셔리 경험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했다. AITO의 최신 모델들이 수준을 한층 끌어올리며 AITO 9와 AITO 8은 판매 선두 자리를 지켰다. AITO 시리즈는 올 상반기에도 AITO 5 Ultra, 2025년형 AITO 9, AITO 8 등 여러 신제품을 선보이며 지속적으로 진화했다. 이들 모델은 모두 시장과 소비자로부터
차세대 디지털 인프라 플랫폼 기업 엠피리온 디지털(Empyrion Digital)이 오늘 서울에 위치한 최신 플래그쉽 데이터센터인 KR1 강남 데이터센터(GDC)에 노텍(Nortek) 데이터센터 쿨링의 최신 StatePoint® 액체 냉각 기술을 성공적으로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도입은 전 세계에 AI 및 HPC 워크로드를 위한 지속 가능한 고성능 인프라를 제공하겠다는 양사의 의지를 보여준다. 다양한 수상 경력을 지닌 노텍의 최신 하이브리드 액체 냉각 기술 StatePoint는 하이퍼스케일, 코로케이션, 엔터프라이즈 운영사들의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개발됐다. 이 기술은 열 성능, 물과 에너지 효율, 경제성을 전례 없는 수준으로 향상해 AI에 특화된 환경을 위한 획기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멤브레인 기반 증발 냉각 방식을 적용한 액체-공기 에너지 교환기를 활용해 기계적 냉각을 최소화하고 물 소비량을 대폭 절감한다. StatePoint를 도입함으로써 GDC는 한국의 통상적인 기준치를 크게 밑도는 전력사용효율(PUE)과 물사용효율(WUE)을 달성하며, 한국에서 가장 효율적인 데이터센터 중 하나가 됐다. 또한 이 플랫폼의 모듈식 설
글로벌 AI 제품 및 연구 기업 딥엘(DeepL)이 다양한 사내 업무를 간소화하고 자동화하도록 설계된 자율형 AI 에이전트 '딥엘 에이전트(DeepL Agent)'를 공개했다. 이번 솔루션으로 인해 딥엘이 자랑하는 품질, 정확성, 보안과 대부분의 기업 워크플로의 기반이 되는 언어에 대한 깊은 전문성을 빠르게 성장하는 AI 에이전트 시장에 선보여지게 됐다. 현재 베타 버전으로 운영 중이며, 딥엘의 혁신 프로젝트 허브인 '딥엘 AI 랩스(DeepL AI Labs)'을 통해 제공된다. 야렉 쿠틸로브스키(Jarek Kutylowski) 딥엘 창업자 겸 CEO는 "딥엘은 첨단 연구에 대한 헌신과 AI의 범세계적 적용 확대를 위한 노력으로, 지속해서 AI 혁신을 선도해 왔다. 수년간 최고 수준의 정확도, 맥락 인식, 보안을 요구하는 복잡한 언어 과제를 AI로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 집중해왔다"며, "이러한 탄탄한 연구 기반은 다양한 과제를 이해하고, 추론하며, 실행할 수 있는 툴을 개발하는 에이전트형 AI 분야에서 강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러한 이유로 최신 제품인 딥엘 에이전트(DeepL Agent)를 선보이게 돼 매우 기쁘다"며, "딥엘
포춘 500대 글로벌 기술 서비스 제공기업인 DXC 테크놀로지(DXC Technology)(NYSE: DXC)가 아큐미노(Acumino), 캠브에이아이(CAMB.AI), 그린매터에이아이(GreenMatterAI)와 개발 협력에 나섰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자동차 및 제조업을 위한 AI 솔루션을 공동 개발할 예정이다. 이 이니셔티브는 유망한 스타트업과 대기업 간의 모빌리티 분야 협업을 촉진하는 글로벌 혁신 플랫폼인 스타트업 오토반( STARTUP AUTOBAHN, 플러그앤플레이(Plug and Play) 운영)과 DXC의 오랜 파트너십에 기반한다. 카림 제리비(Karim Jeribi) DXC 테크놀로지의 글로벌 산업 담당 부사장은 "우리는 획기적인 혁신을 글로벌 규모의 실질적인 영향력으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스타트업 오토반과 그 생태계 속 스타트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단순한 AI 실험을 넘어 고객사의 가장 시급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산업을 발전시키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DXC는 스타트업 오토반과의 협력을 통해 현재까지 100개 이상의 신기술 기업을 선정하고 25개 이상의 파일럿 및 고객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혁신을 현실로 만들고 있다. 사
청정에너지구매자연합(CEBA)이 오는 9월 17일부터 '지역별 스포트라이트 시리즈(Regional Spotlight Series)'를 시작한다. 이 새로운 웨비나 시리즈는 아태지역 국가들의 청정 에너지 시장 및 정책에 대한 업데이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CEBA 회원사, 파트너사, 비영리단체, 국제 기업 청정 에너지 구매자 및 개발자를 대상으로 공급망 배출량 감축 방법과 저비용의 신뢰할 수 있는 무배출 글로벌 에너지 시스템 구축 방안을 교육한다. CEBA의 에릭 깁스(Eric Gibbs) 글로벌 전략 담당 수석 부사장은 "청정 에너지는 아태지역 전역의 기업과 공급망 파트너들에게 최우선 과제"라며, "지역별 스포트라이트 시리즈는 CEBA의 시장 조사 역량과 지역별 이해관계자 전문성을 활용해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 대만 등 시장에서 기업이 배출량을 낮출 수 있는 실행 가능한 지침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1시간씩 진행되는 각 세션은 특정 아시아 시장에 초점을 맞춘다. CEBA 글로벌 프로그램팀과 지역 전문가들이 해당 국가의 전력 시장 구조, 조달 메커니즘, 공급업체 역량 강화를 위한 기업 전략을 자세히 소개한다. 참가자들은 또한 새로운 규제 환경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