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피플

30세 이상 1만 명에 35만 원…‘디지털 평생교육이용권’ 지원

‘인공지능·디지털 경력 도약권’ 신설…내년부터 디지털 교육기회 제공
‘AID 30+ 프로젝트’ 발표…인공지능·디지털(AID) 선도대학 100개교 육성

 

 

[이슈투데이=송이라 기자] 정부가 내년부터 30세 이상 성인 1만 명에게 1인당 연간 35만 원의 '디지털 평생교육이용권'을 지원한다. 빠른 속도로 변하는 기술 적응을 돕기 위해서다. 

 

또한 일반대학, 전문대학, 사이버대학을 대상으로 인공지능,디지털(AID) 선도대학 100개교를 육성해 다양하고 유연한 성인 맞춤형 인공지능,디지털 교육과정을 제공한다.  

 

교육부는 16일 관계부처와 함께 30대 이상 성인의 인공지능,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고 재교육,향상교육을 돕기 위해 디지털 평생학습 생태계를 구축하는 '인공지능,디지털(AID) 30+ 프로젝트'를 마련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우리나라의 인재 분야 디지털 기술 능력과 직원 교육 분야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있는 상황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이에 30대 이상 성인의 디지털 재교육,향상교육을 강화하고, 더 많은 국민이 디지털 발전에 따른 혜택을 누리기 위해 성인 재교육 수요가 높은 대학의 인공지능,디지털 평생교육 역할을 확대할 방침이다.  

 

먼저 대학을 중심으로 성인의 인공지능,디지털 역량 제고를 지원한다. 

 

또한 대학의 성인 재교육,향상교육 기능을 강화하도록 고등교육법상 대학의 역할을 평생교육 진흥까지 확대한다.  

 

선발 일정을 자율화해 성인의 대학 진입을 유도하며, 전문대학,원격대학 재학생이 인공지능(AI),디지털 분야 직업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국민내일배움카드 활용도 적극 유도한다. 

 

국민내일배움카드는 국민의 직업능력 개발을 위해 교육,훈련비용을 지원하는 직무훈련비용으로, 5년간 300~500만 원 한도 내에서 고용노동부의 인정받은 적합 훈련비의 일부 또는 전액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디지털이 만드는 혜택을 모두가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이에 디지털 평생교육이용권인 '인공지능,디지털 경력 도약권(AID 커리어점프 패스)'을 신설해 직무효율성 향상, 디지털 전략 활용 등 생애별,수준별 맞춤형 디지털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  

 

장애인에는 디지털 문해교육을 제공해 디지털 자립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금융 앱, 무인주문기 이용법 등 생활 밀착형 교육을 통해 디지털 편의성을 제고하고, 방송대 지역대학을 활용해 디지털 분야 평생교육 과정을 운영해 지역주민의 성장을 도모한다. 

 

기술변화에 적합한 교육지원을 위해 학점은행제 등 전통적 평생학습제도를 개선하고, 평생학습 통합(원스톱) 플랫폼을 고도화한다. 

 

먼저 성인의 디지털 교육 유도를 위해 중앙정부에서 추진하는 각종 디지털 교육사업의 학점은행제 참여를 확대하고, 디지털 분야 집중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점은행제의 소단위 전공과정(12학점 이상)을 도입한다.  

 

또한 독학학위제에 인공지능(AI),디지털 관련 전공을 신설하고 교양과목을 개편해 기술변화에 적합한 학위 취득을 지원한다. 

 

평생학습 통합(원스톱) 플랫폼 '온국민평생배움터(www.all.go.kr)'를 고도화해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학습경로를 추천하는 등 학습자 중심의 평생학습 통합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밖에도 개별기관에서 구축하기 어려운 가상실험,실습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방송대 주도로 구축해 대학,평생 및 직업교육기관에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미래 역량 강화를 위한 기반 조성 및 협력적 협치 체계(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디지털 평생교육체제로의 전환을 지원한다. 

 

이와 관련해 학습경험의 체계적 관리 및 미래 경력개발 준비를 위해 대학 졸업 전에 대학생 1인-평생학습 1계좌 개설을 지원할 계획이다.  

 

개별부처에서 분절적으로 운영하는 디지털 역량 진단,조사도 한국형 디지털 역량 진단 인증 체계로 일원화해 역량 진단부터 교육, 인증, 취업,경력 전환까지 국민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울러 교육부는 부처,기업,지자체 및 글로벌 기관과의 공유,연계 협력을 기반으로 촘촘한 평생교육 분야 국가지원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내년부터  본격 추진하는 라이즈(RISE,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체계와의 연계,협력 체계를 구축해 성인의 인공지능(AI),디지털 평생교육에 대학이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금 대한민국은 기술 혁신과 인구구조 변화에 직면한 중요한 시기로, 교육부는 관계부처,기업 및 지자체,대학과 함께 국가 차원의 디지털 평생학습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면서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 강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인 만큼 국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출처=교육부]



미디어

더보기
대우건설 정원주 회장, 아누틴 찬위라꾼 태국 총리 예방 대우건설은 지난 11월 18일 정원주 회장이 태국 정부청사에서 아누틴 찬위라꾼 (Anutin Charnvirakul) 태국 총리를 예방, 신규 사업 추진 등 다양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예방에서 정원주 대우건설 회장은 “대우건설의 52년 건설 노하우와 최근 베트남에서의 성공적인 부동산 개발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태국에서도 현지업체와 긴밀하게 협력하며 디벨로퍼로 적극적인 역할을 희망한다”며, “한류에 기반한 다양한 산업을 개발사업에 접목시킨 K시티를 조성하여 관련 한국 업체의 투자 확대 및 경제 활성화라는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내고자 한다”고 현지 사업 진출 의지를 밝혔다. 특히 정회장은 “K컬쳐를 공연할 수 있는 아레나를 건설하게 되면 K팝 뿐 아니라 K뷰티, K푸드, K클리닉 등 연계 사업을 확장 유치하여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하며, “대우건설이 마스터 디벨로퍼가 되면 타 한국 업체들이 대우건설을 믿고 추가 투자를 하게 되는 이른바 더블, 트리플 외화투자로 이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아누틴 찬위라꾼 총리는 “한국의 베트남 투자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우건설이 태국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 투자해 주기를 희망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