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3분기 월평균 알바소득 ‘67만 8465원’… 평균시급 ‘7,060원’

3분기 알바 소득증가율 2.4%, 2분기 이어 ‘최저’… 한은 경제전망 2.7% 밑돌아


(뉴스와이어)3분기 국내 아르바이트 시장 소득성장률이 2분기에 이어 또다시 최저치를 찍었다. 이는 한국은행이 발표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인 2.7%보다 밑도는 수준의 결과치다. 

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대표 최인녕 www.alba.co.kr)은 2015년 3분기(7~9월) 아르바이트 소득이 있는 전국 남녀 4,077명의 월평균 총소득과 근무시간을 조사한 ‘2015년 3분기 알바소득지수 동향’ 분석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알바소득지수 분석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월평균 아르바이트 총 소득은 ‘67만 8,465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66만 2,698원) 2.4% 증가하며 지난 2분기(2.9%)보다도 더 낮은 소득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는 2013년 3분기 대비 2014년 3분기의 소득 증가율인 10.2%와 비교해보면 5분의 1 수준에 그치는 결과다. 

특히 이번 3분기 소득 성장률인 2.4%는 한국은행이 지난 15일 발표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인 2.7%를 밑도는 수준으로 경기침체로 아르바이트 시장의 일자리 수요마저 더욱 얼어붙으며 알바소득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총소득을 근로시간으로 나누어 산출한 전체 평균시급은 ‘7,060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6,690원) 5.5%(370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최저시급 상승률인 7.1%를 약간 밑도는 수치다. 

3분기 소득 증감률을 업종별로 보면 ‘매장관리’(+1.3%), ‘서빙/주방’(+1.5%), ‘서비스’(+2.4%)직은 전년동분기 수준을 약간 웃돌며 정체되는 모습을 보였고, ‘IT/디자인’(-4.3%), ‘상담/영업’(-7%), ‘강사/교육’(-7.4%) 직종은 소득이 감소했다. 

반면 ‘생산/기능’(+13.6%)과 ‘사무/회계’(+13.7%)는 작년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인 점이 특징이다. 특히 ‘생산/기능’은 평균 소득 ‘95만 1,312원’으로 전 업종에서 소득 1위에 올랐으며, 이는 주간 평균근로시간이 28.9시간으로 가장 길었던 영향이다. 

연령별로는 매 분기 10% 이상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던 50대가 올 3분기 들어 전 연령 중 유일하게 -4.7%감소한 것이 특징이다. 50대의 근로시간은 ‘31.5시간’으로 전 연령 중 가장 길며, 소득도 ‘94만 5000원’으로 가장 높다. 

학력별로 보면 ‘고졸’이 ‘85만 8,974원’으로 가장 높은 소득을 올린 가운데, ‘대졸’의 소득(83만 4,750 원)이 전년동분기대비 8.2% 껑충 뛴 것이 두드러진다. 이는 대학을 졸업한 취업준비생의 아르바이트 비율이 전년보다 더욱 증가했음을 보여준다. 

지역별로는 ‘인천’(74만 7,826원)과 ‘부산’(73만 1,099원)이 소득 1,2위를 차지했다. 인천이 소득 1위에 오른 이유는 주간 평균 근로시간이 가장 긴 ‘생산/기능직’의 비율이 높고, 평균 시급이 ‘8,059원’으로 전 지역 중 가장 높았던 영향이다. 

전체 주간 평균 근로시간은 2013년 ‘23.1시간’에서 2014년 ‘22.8시간’, 2015년 ‘22.1시간’으로 3년 연속 감소하며 아르바이트 노동 수요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알바천국 최인녕대표는 “2015년 3분기 아르바이트 시장은 전년동분기대비 근로시간은 3.1% 줄고 평균시급은 5.5% 올라, 결과적으로 전체 소득 성장률이 2.4% 수준에 이른 것으로 해석된다”고 덧붙였다. 

알바소득지수(Arbeit Income Index)란 최저임금을 기본으로 한 단순시급 분석을 벗어나 실제 알바시장의 평균 노동시간과 임금을 처음으로 분석한 지표다. 특히 기존의 시급위주가 아닌 총소득 개념으로 접근해 근로시간을 반영함으로써 단순 시급으로 알바시장을 분석해왔던 한계점을 해소했다. 성별, 연령별, 지역별, 업종별, 학력별 등 광범위한 다층 구조 분석을 통해 세분화된 지수를 제공, 보다 실질적인 아르바이트 노동시장을 파악할 수 있으며 알바천국이 처음으로 개발해 발표하고 있다.
출처: 알바천국
홈페이지: http://www.alba.co.kr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현대건설, 수면케어 솔루션 ‘헤이슬립’ 국제 학회서 성과 발표 현대건설의 AI 기반 수면케어 솔루션 ‘헤이슬립(Hey,Sleep)’이 의학적 검증과 세계적인 권위의 수면 학술대회 발표를 통해 수면 개선 효과를 공식적으로 입증했다. 국내 최초로 수면환경 품질 인증인 ‘굿슬립 마크 골드’(한국수면산업협회)를 획득한 헤이슬립은 현대건설이 슬립테크 스타트업(에이슬립)과 공동개발한 수면케어 기술이다. AI 기반 수면 데이터 분석과 자동화 기술을 융합해 온도·조도·습도·환기·차음 등 다양한 요소를 제어하여 수면의 질을 높이는 통합 솔루션이다. 현대건설은 실제 수면환경 기술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용인시 마북동 기술연구원에 실증시설과 외부 전문기관을 통해 헤이슬립의 기능을 정밀하게 검증했다.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생명윤리위의 승인을 받아 진행된 이 실험은 주거 솔루션을 대상으로 한 업계 최초의 의학적 검증이다. 헤이슬립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총수면시간 17.3% 증가 ▲수면효율 11.81% 증가 ▲수면 중 각성시간 55.9% 감소 ▲깊은수면 200.4% 증가 ▲램수면 28.4% 증가 등 수면 품질 지표에서 유의미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최근 싱가포르에서 열린 세계적인 권위의 수면 학술대회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