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스포츠

'의사요한' 서사무엘, 드라마 네번째 OST 참여, ‘Pain Death’ 발매

[이슈투데이=김윤겸 기자] SBS 금토 ‘의사요한’의 OST Part.4에 가수 서사무엘이 참여, ‘Pain or Death’를 부른다.

동시간대 1위로 인기몰이중인 ‘의사요한’의 네 번째 OST주자로는 감각적인 아티스트 서사무엘이 가창 주자로 참여했다.

서사무엘은 작사, 작곡, 편곡에서부터 노래와 랩까지 직접 작업하며 ‘천재 아티스트’라는 수식어로 주목을 받아왔다. 2015년 발매한 그의 첫 번째 정규앨범 ‘FRAMEWORKS’로 2016년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R&B/Soul 앨범상을 받았고, 그 만의 음악적 색깔과 입지를 굳혀 대중에게 가치를 인정받았던 것.

이번에 그가 부르는 곡 ‘Pain or Death’의 경우 드라마가 인간의 존엄사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음을 감안에 만들어졌다.

한 관계자는 “이번 곡은 고통속에서 하루하루 생명을 이어 나갈 것인지 죽음을 택할 것인지, 아니면 의사의 입장에서 고통을 연장할 것인지 고통을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진지함을 담았다”라며 “차가운 사운드와 담담한 서사무엘의 보컬로 표현했으니 드라마 함께 많은 관심을 가져달라”라고 소개했다.

한편, ‘의사요한’은 미스터리한 통증의 원인을 흥미진진하게 찾아가는 통증의학과 의사들의 휴먼 메디컬 드라마로, 흥행보증수표 조수원감독과 김지운 작가가 손잡으면서 하반기 안방극장 기대작으로 떠올랐다.

드라마는 매주 금,토요일 밤 10시에 방송되며, ‘의사요한’ OST Part.4 ‘Pain or Death’는 지난 16일 오후 6시 각종 음원 사이트에서 공개됐다.


미디어

더보기
DL이앤씨, ‘D-사일런스 서비스’ 본격 확대 “층간소음, ‘알림’으로 잡는다” DL이앤씨는 국내 최초로 개발해 상용화한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인 ‘D-사일런스 서비스(D-Silence Service)’의 시장 적용을 본격적으로 확대한다고 9일 밝혔다. DL이앤씨는 최근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이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소개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D-사일런스 서비스는 아파트 거실과 세대 팬트리 벽면 등에 설치한 센서가 일정 수준 이상의 바닥 진동을 감지하면 월패드로 자동 알림을 보낸다. 환경부 층간소음 기준(39㏈(A)) 이상의 소음을 발생시키는 진동이 10초에 3회 이상 발생 시 ‘주의’ 알림을, 10초에 6회 이상 발생하면 ‘경고’ 알림을 울리는 방식이다. 이 서비스를 사용하면 층간소음 기준치를 벗어난 세대에 자동으로 알림이 전달돼 아랫집이 자연스럽게 층간소음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 특히 세대별 층간소음 알림 통계 서비스를 기반으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층간소음 분쟁 해결에도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 D-사일런스 서비스는 앞서 2023년 입주한 경기 연천군 ‘e편한세상 연천 웰스하임’ 단지에 처음 적용됐다. 입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80% 이상의 세대가 ‘서비스를 지속 이용하겠다’고 답했다. 특히 어린

LIFE

더보기
신한은행, 디지털 금융교육 어시스턴트 2기 발대식 개최 신한은행(은행장 정상혁)은 지난 3일 인천광역시 남동구 소재 ‘신한 학이재 인천’에서 ‘디지털 금융교육 어시스턴트’ 2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디지털 금융교육 어시스턴트’는 신한은행이 인천대학교 금융소비자보호연구소와 함께 금융권 디지털 포용문화를 선도하기 위해 선발한 인천대학교 재학생 15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올해 말까지 인천광역시청, 인천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등 지역 유관기관과 연계해 지역사회공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디지털 금융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에 선발된 2기는 시니어 디지털 역량강화를 목표로 ▲무인점포 및 모바일 금융 앱 활용을 위한 디지털 금융교육 ▲전기통신금융사기 예방 교육 ▲지역사회 디지털배움터 ‘보조강사’ 역할 등을 담당한다. 특히 신한은행 직원들과 함께 고령층을 위한 맞춤형 교육 콘텐츠도 공동 개발한다. 주요 내용은 ▲‘신한 SOL뱅크’ 앱 사용법 ▲‘지켜요’를 활용한 보이스피싱 예방법 ▲금융감독원의 ‘안심차단서비스’ 이용법 등으로 구성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인천대학교 학생들과 함께 디지털 금융 소외계층 교육활동에 참여하면서 금융소비자보호 활동의 중요성을 공유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하겠다”며 “누구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금융서비스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