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디야커피가 NHN페이코와 손잡고 이디야커피 가맹점에서 ‘모바일 식권’ 결제 서비스를 도입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서비스 도입은 모바일 식권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편의성 증대와 서비스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생활밀착형 플랫폼 NHN페이코에서 운영하는 모바일 식권 서비스는 국내 기업 임직원들의 식대 및 복지 목적으로 운영되는 간편결제 시스템이다. 현재 국내 2,200개 기업 28만 명 이상이 사용 중이며, 7만여 개 사용처에서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번 제휴로 인해 NHN페이코 모바일 식권 사용 기업은 손쉽게 이디야커피 가맹점을 사용처로 등록할 수 있고, 가맹점 또한 고객 유입 채널이 다양화되어 신규 고객 확보에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이디야커피는 7월 한 달간 이디야커피 가맹점에서 모바일 식권을 사용하는 고객들에게 ‘이디야멤버스APP’ 픽업 주문 전용 아메리카노(L) 무료 쿠폰을 제공하는 프로모션도 함께 진행할 예정이다. 이디야커피 관계자는 “새로운 서비스 도입을 통해 더 많은 고객과 접점을 만들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고객의 편의성과 효율성을 반영한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프로젝트를
제5회 중국(닝샤) 국제 와인문화관광엑스포(China (Ningxia) International Wine Culture and Tourism Expo)와 제32회 브뤼셀 세계와인콩쿠르(Concours Mondial de Bruxelles)가 6월 9일부터 12일까지 중국 북서부 닝샤 후이족 자치구의 행정 중심지인 인촨에서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전 세계 와인 산업의 글로벌 대화에 기여했다. 최근 몇 년간 인촨은 '세계 와인의 수도(world capital of wine)'를 건설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투자를 촉진하고 첨단 기술을 도입하여 국제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일련의 지원 정책들이 시행됐다. 현재 인촨은 중국에서 가장 밀집된 와인 포도 생산 단지를 자랑하며, 총 27만 3천 무(약 1만 8200헥타르)의 포도밭에 155개의 와이너리와 포도 재배 기업이 모여 있다. 또한 인촨의 연간 와인 생산량은 2024년 7500만 병에 달했으며, 이는 국내에서 생산된 에스테이트 와인 전체 생산량의 약 26.8%를 차지한다. 19종의 인촨산 와인이 국가 선물로 선정되어 40여 개 국가 및 지역에 수출되고 있다. 닝샤의 허란산맥 동쪽 기슭은 몇 년 전만 해도 황량하고 모
빙그레가 카페인과 당 함량을 줄인 ‘아카페라 심플리 디카페인 로어슈거 라떼’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아카페라 심플리 디카페인 로어슈거 라떼’는 식약처에 고시된 액상커피 유형 당류 함량 평균값 대비 당류를 15% 낮춘 로어슈거 신제품이다. 또한, 콜롬비아산 디카페인 커피 추출액을 사용해 카페인 부담 없이 커피 본연의 풍미를 느낄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아카페라 심플리’는 무라벨 커피 제품으로 폐비닐 발생 없이 간편한 분리배출이 가능하다. 재활용 최우수 등급을 획득한 친환경 무라벨 패키지로 국제 디자인 대회에서 2관왕을 달성하기도 했다. 빙그레는 ‘아메리카노’, ‘디카페인 아메리카노’, ‘로어슈거 라떼’에 이은 ‘디카페인 로어슈거 라떼’ 출시로 총 4종의 ‘아카페라 심플리’ 브랜드 라인업을 갖추게 됐다. 빙그레 관계자는 “이번 신제품은 카페인과 당류 걱정 없이 커피를 즐기고 싶은 커피 헤비 유저들을 위해 출시됐다”며 “앞으로도 맛은 진하고 깔끔하면서 친환경적인 커피 제품을 개발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년 5월 리액타 헬스케어(Reacta Healthcare)는 제약 등급의 우유와 계란 '알레르기 유발 식사(challenge meal)' 생산을 시작하는 또 다른 중대한 이정표를 썼다. 식사의 첫 주문은 새로운 식품 알레르기 치료법을 연구하는 두 건의 임상 시험을 위해 해외로 배송될 예정이다. 최근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다중 식품 알레르기를 고려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식품 알레르기가 있는 성인 46%와 어린이 40%가 다중 식품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어, 의료진이 종합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리액타 헬스케어가 기존 땅콩 제품에 계란과 우유 알레르기 유발 식사를 추가한 것은 이러한 다중 식품 알레르기의 유병률을 반영한 조치다. 이 제품들은 식품 알레르기 연구 및 임상 커뮤니티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게 설계되어 다양한 알레르겐(allergens•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대해 안전성, 품질, 효능을 보장한다. 이처럼 표준화된 새로운 알레르겐 제품 개발은 앞으로 알레르겐이 포함된 제품군을 더 쉽게 확장할 수 있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신제품의 개발과 제조는 영국 디사이드에 위치한, 영국 의약품•건강관리제품규제청(
진로(JINRO)의 녹색병이 파리(Paris)의 정원에 스며들었다. 하이트진로(대표 김인규)는 프랑스 파리에서 지난 5월 24일부터 6월 7일까지 15일간 운영한 ‘진로 팝업스토어(JINRO Pop-Up Store)’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12일 밝혔다. 팝업스토어는 프랑스 현지인들을 대상으로 진로(JINRO)의 브랜드 정체성과 매력을 전달하고, 제품 체험을 통해 브랜드 호감도를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 ‘진로 정원(JINRO’S GARDEN)’을 콘셉트로 운영된 이번 팝업스토어는 진로(JINRO)의 상징인 녹색병과, 프랑스 베르사유 정원에서 영감을 받아 공간 연출에 조화를 더했다. 외관은 조화 장식과 브랜드 로고를 활용한 간판으로 꾸며졌으며, 내부는 브랜드 컬러를 기반으로 제품 전시와 피규어 장식을 조화롭게 배치해 진로(JINJRO)만의 감성을 공간 전반에 자연스럽게 담아냈다. 1층은 브랜드 체험 및 제품 구매를 중심으로, 2층은 어두운 조명과 네온 연출을 통해 진로 제품의 프리미엄 무드를 강조한 시음 공간으로 운영됐다. 방문객들에게는 미션 수행을 위한 ‘진로(JINRO) 트래블카드’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해 제품 시음, 위시트리 작성, 포토 부스 등 3가지
빙그레가 건강한 그릭요거트에 신선한 과일이 들어간 신제품 ‘요플레 그릭 딸기’, ‘요플레 그릭 복숭아’를 새롭게 선보였다. 이번 신제품은 요플레의 대표 인기 맛인 딸기와 복숭아를 그릭요거트 형태로 즐길 수 있는 제품으로, 100% 국내산 딸기 과육과 100% 리얼 복숭아 과육을 담아 상큼하고 풍부한 식감을 더한 것이 특징이다. 빙그레는 앞서 ‘요플레 그릭 플레인’과 ‘요플레 그릭 달지 않은 플레인’, 대용량 제품인 ‘요플레 그릭 마일드’를 선보인 데 이어, 이번 과일맛 2종 출시로 브랜드 라인업을 더욱 확대하며 성장 중인 그릭요거트 시장 공략에 나선다 특히, 이번 신제품 출시와 함께 그릭 브랜드 전 제품의 패키지 디자인도 새롭게 리뉴얼했다. 최근 변경된 글로벌 요플레 로고를 적용해 주목도를 높이고, 요거트의 깔끔하고 건강한 이미지를 강조함으로써 브랜드의 통일성과 정체성을 더욱 강화했다. 최근 맛과 건강을 동시에 추구하는 ‘헬시 플레저(Healthy Pleasure)’ 트렌드에 따라 국내 그릭요거트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빙그레 관계자는 “요플레는 지난 40년간 소비자와 함께해 온 대한민국 대표 요거트 브랜드로, 이번 신제품 역시 그간 쌓아온 발
대상㈜이 대표 멀티플렉스 영화관 메가박스와 손잡고 국내 단독으로 유통 중인 글로벌 땅콩버터 브랜드 ‘스키피®(SKIPPY®)’의 대표 제품을 활용한 ‘스키피 땅콩버터 팝콘’을 한정 판매한다고 12일 밝혔다. 미국의 대표 식품기업 ‘호멜푸즈(Hormel Foods)’의 ‘스키피®'는 90년 전통을 자랑하는 1등* 땅콩버터 브랜드로, 대상㈜은 지난 2013년부터 스키피®의 주요 제품을 국내에 단독 유통하고 있다. 대표 제품인 ‘땅콩버터 크리미’, ‘땅콩버터 청크’를 비롯해 최근에는 설탕과 대체당을 일절 첨가하지 않은 ‘스키피® 노슈거에디드’ 2종까지 추가로 선보이며 제품 라인업을 확대했다. 메가박스와 협업해 선보이는 ‘스키피 땅콩버터 팝콘’은 메가박스의 스테디셀러인 카라멜 팝콘에 스키피 땅콩버터의 깊고 진한 풍미를 더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대상㈜ 식품연구소의 차별화된 노하우와 기술력으로 땅콩 90% 이상을 함유한 스키피의 대표 제품 ‘스키피 땅콩버터 크리미’를 팝콘용 시즈닝으로 구현했다. 고소하면서도 짭조름한 땅콩버터 분말이 카라멜 팝콘의 달콤함과 어우러져 색다른 팝콘 맛을 즐길 수 있다. ‘스키피 땅콩버터 팝콘’ 출시를 기념한 이벤트도 풍성하게 마련했다.
'2025 RCEP 지방정부 및 우호도시 협력 (황산) 포럼(2025 RCEP Local Governments and Friendship Cities (Huangshan) Cooperation Forum)'이 중국 동부 안후이성 황산시에서 열렸다. 이번 포럼에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RCEP) 회원국에서 약 300명의 대표단이 참석했다. 안후이 구징증류회사(Anhui Gujing Distillery Company)는 3회 연속 포럼의 전략적 파트너로서 지역 협력을 촉진하며, 전 세계에 중국 바이주(白酒•baijiu)의 매력을 선보였다. 회사는 올해 포럼 부스에서 '라이브 스트리밍'을 도입해 최신 제품인 오사카 엑스포(Osaka Expo) 중국관과의 협력을 기념하는 기념주를 홍보했다. 또한 홀로그램 영상으로 세계 엑스포가 6회 개최된 동안 중국의 대표적인 바이주인 구징공주(古井贡酒•Gujinggong Liquor)가 걸어온 여정을 생생하게 보여줬다. 포럼 개막식에서 안후이 구징증류회사는 한국 안후이 산업개발주식회사(Anhui Industrial Development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