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서울문화재단, ‘재난과 장애예술’ 라운드테이블 개최

잠실창작스튜디오, 재난과 장애예술 주제로 라운드테이블 7월 3일(금) 개최
코로나19·지진 이후 재난약자인 장애예술인이 마주하는 현실부터 정책에 대한 제언까지
김원영 변호사, 김용우 안무가 등 동시대 활발하게 활동하는 장애예술인 참여
“재난은 우리 사회 가장 약한 고리가 어디인지 드러내… 창작을 매개로 나아갈 지점 제시”

[이슈투데이=김아론 기자] 서울문화재단 잠실창작스튜디오는 ‘재난과 장애예술’을 주제로 장애예술인을 위한 예술공간에 대해 논의하는 라운드테이블을 오는 7월 3일(금) 오후 4시 잠실창작스튜디오 하늘연에서 개최한다.

국내 최초 장애예술인 전문 창작공간인 잠실창작스튜디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을 비롯한 대형 재난 속에서 장애예술인이 안심하고 창작할 수 있는 환경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장애와 관련된 공간 구성을 고민하는 기관이나 단체에 시사점을 제공할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예술가와 장애 당사자로서의 정체성을 동시에 가진 장애예술인들이 직접 참여해 포용적인 공간을 위해 갖춰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 담론을 제시한다.

이른바 ‘재난 약자’로 지칭되는 장애인의 안전한 창작활동을 위한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문영민 장애예술 연구자가 사회로 ‘재난과 장애예술’에 관한 문승현 작가의 기조발제, 실제 포항 지진을 계기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함께하는 재난 대비 워크숍을 진행했던 창작그룹 리슨투더시티의 박은선 대표의 프로젝트 사례 발표, ‘언택트 시대’를 살아가는 장애예술인 김환 작가와 김승수 배우의 작업 사례, 코로나 이후 변화한 장애예술인의 일상과 창작활동을 주제로 하는 김용우 무용가의 토론, 연극배우로도 활동하는 김원영 변호사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장애예술인을 위한 사업과 공간의 안전성에 관한 토론으로 구성된다.

서울문화재단 김종휘 대표이사는 “재난 상황은 우리 사회의 가장 약한 고리가 어디인지 드러낸다”면서 “장애를 구성하는 사회의 조건들이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 창작을 매개로 이야기하는 소중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은 코로나19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비공개로 진행한다. 추후 발제문과 토론 결과를 묶어 결과자료집으로 제작해 배포할 예정이다.


미디어

더보기
DL이앤씨·SK에코플랜트 시공 ‘차나칼레 대교’, ‘해외건설 10대 프로젝트’ 선정 DL이앤씨와 SK에코플랜트가 시공한 튀르키예 ‘차나칼레 대교’가 국토교통부로부터 ‘해외건설 10대 프로젝트’에 선정됐다. 차나칼레 대교의 성과를 담은 기록들은 이날 서울 중구 국토발전전시관에서 개막하는 해외건설 누적수주 1조 달러 기념 기획전 ‘기억을 넘어 미래로’에 전시된다. 이번 전시는 해외건설 누적 1조 달러 수주의 의미와 원동력을 살펴보고, 이 여정을 함께한 국민과 근로자들의 노고를 조명하고자 마련됐다. 1965년 시장 개척기부터 중동 붐 시기, 현대에 이르기까지 60년간 이어진 해외건설의 발자취와 그 속에 담긴 역사적 의미를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앞서 대국민 투표와 전문가 심사를 거쳐 선정한 해외건설 10대 프로젝트가 전시 대상이다. 전시관 1층에는 차나칼레 대교가 세계 최장(最長) 현수교(총연장 3563m)로서 최초의 역사를 써 나간 과정을 소개한다. 주탑 사이를 연결한 케이블에서 늘어진 강선으로 교량 상판을 연결하는 현수교는 아름다운 외관 때문에 ‘바다 위의 하프’라 불린다.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이 대교는 총사업비가 4조2000억원에 달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DL이앤씨와 SK에코플랜트가 2017년 1월에 수주해 이듬해 4월 착공, 4년간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