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IRS글로벌, ‘국내외 전기차·수소연료전지차 시장·사업화 전망과 핵심기술 개발전략’ 보고서 발간

 

[이슈투데이=김윤겸 기자] 산업조사 전문업체인 IRS글로벌이 '국내외 전기차(EV),수소연료전지차(FCEV) 시장,사업화 전망과 핵심기술 개발전략' 보고서를 발간했다.

세계 자동차 업체들이 전기자동차에 주력하고 있다는 뉴스가 증가하고 있다. 배터리 전기차 시장에서 3년째 선두를 확고히 하고 있는 테슬라와 더불어 SAIC, 폭스바겐, 르노닛산미쯔비시, BYD 등이 중심으로 신차를 출시하며 경쟁 구조가 다각화되고 있다.

이미 상용화 단계에 들어선 전기차(xEV)는 2038년에 세계 신차 판매 대수의 50% 비중을 차지하게 될 것이며 이후 2050년의 비중은 약 90%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2020년 글로벌 전기차(BEV,PHEV) 판매량은 처음으로 300만 대를 넘어섰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자동차 판매량은 7264만 대로 전년(8670만 대) 대비 16% 줄었지만 전기차는 2019년(220만 대)보다 42% 증가한 312만 대가 판매됐다.

2013년 이후 연평균 47%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2020년 기준 신차 대비 점유율이 4%로 나타나고 있다.

지역적으로는 생산설비 비중이 높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세계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전기차는 기술의 발전과 인프라의 보급에 따라 하이브리드 전기차(HEV)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PHEV) → 순수 전기차(BEV)로 점차 발전하고 있다. 이에 각국 정부도 이미 연차별 전기차(xEV) 보급 목표를 중장기적으로 수립하고 보조금 지급, 충전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활성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기에 전기차(xEV)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기차 분야의 기술경쟁력은 현재 미국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는 미국 대비 89.9%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우리 정부는 △배터리 에너지 밀도 향상 △열 관리 시스템 효율 개선 △부품 경량화 등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배터리 에너지 밀도 분야에서는 리튬이온전지 에너지 밀도 향상(현 250Wh/kg → 25년 350Wh/kg↑)과 전고체 등 차세대배터리(350Wh/kg급 이상)를 상용화하며, 열 관리 시스템에서는 효율 개선으로 2025년까지 저온난방시 주행거리 15%를 향상시키고 부품 경량화에서는 알루미늄을 차문, 후드 등 차체에 적용한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한편 이미 전 세계적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수소 경제의 핵심으로 주목받는 수소차는 아직 수소생산 시스템, 수소탱크의 위험성, 미흡한 인프라 등의 선결 과제가 많지만, 향후 친환경차 주도권 경쟁이 하이브리드→전기차→수소차 순으로 진행된다는 점에는 그다지 이견이 많지 않다.

2020년 세계 수소차 시장은 중국의 보조금 축소 정책과 도요타 미라이/혼다 클래리티의 모델 노후화로 판매량이 감소되면서, 약 9000대 시장을 형성했다. 그중 현대의 수소차 넥쏘가 약 70% 점유율을 보이며 시장을 주도했으며 출시 3년 만에 누적 판매 대수 1만 대의 실적을 달성하기도 했다.

또한 현대차는 수소트럭 첫 양산과 판매에 성공하면서 주목받았으며 독일과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노르웨이 등 공급지역을 유럽 전역으로 확대하고 북미 상용차 시장에도 진출하겠다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정부는 전극의 백금 손실 최소화, 전해질막 두께 저감 등을 통해 에너지 손실 저감 개발 등을 육성해 이미 확보하고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스택 효율)을 5%p 향상시키고, 고내구성,장거리 주행이 요구되는 글로벌 상용차 시장 선점을 위해 수소차 내구성,주행거리 한계 돌파에 선도적으로 도전한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IRS글로벌은 전기차(EV)와 수소연료전지차(FCEV) 관련 기술개발 동향과 비즈니스 현황들을 종합적으로 분석 정리해 관련 분야에 관심을 갖고 계신 분들께 미력하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보고서를 기획, 출간하게 됐으며 미력하나마 사업 기획과 마케팅 전략 수립에 참고 자료로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IRS글로벌 홈페이지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는 다양한 산업 분야의 최신 동향 정보와 통계 등을 제공하고 있다.


미디어

더보기
포스코이앤씨, 혹서기 온열질환 예방 총력…경영층 주도 특별 안전 점검 실시 포스코이앤씨가 폭염과 장마철을 앞두고 전국 현장에서 현장 근로자들의 안전의식 함양과 잠재적 위험 요소 예방을 위한 혹서기 대응 활동을 전개하고 경영층이 직접 참여하는 특별 안전 점검을 실시하는 등 안전 경영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먼저, 포스코이앤씨는 안전보건센터 내 ‘혹서기 비상대응반’을 구성해 실시간 안전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현장별 온열질환 예방 시설 구축 상태를 점검했다. 그리고 전국 현장의 일일 단위 기상 모니터링을 통한 폭염 단계별 작업 주의 사항을 안내하고 휴식 시간을 운영해 오고 있다. 현장별로 폭염을 대비한 충분한 수량의 보냉 장구와 휴게시설도 확보하고 있다. 2023년부터 도입한 친환경 휴게시설을 현장에 설치했고, 휴게시설 설치가 어려운 현장에는 버스를 이용한 ‘찾아가는 이동 쿨 쉼터’를 활용해 근로자들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매주 근로자들의 혈압·혈관 건강을 측정해 건강상담을 진행하는 ‘능동 건강관리 프로세스’를 운영해 근로자들의 건강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고위험군 근로자는 매일 혈압, 체온, 혈관 관리 체크 등을 실시해 집중 관리하고 있다. 온열질환 예방교육과 작업 거부권 안내도 병행해 근로자들의 건강

LIFE

더보기
IBK기업은행, 해외결제 특화 ‘B-GLOBAL(체크)’ 카드 출시...광고비 결제 시 비용 절감 기대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해외광고비 등 해외 가맹점 이용이 많은 중소기업을 위한 해외결제 특화 신상품 ‘B-GLOBAL(체크)’ 카드를 27일 출시한다고 밝혔다. ‘B-GLOBAL(체크)’ 카드는 연회비와 전월 실적 조건 없이 국내 최고 수준의 캐시백 혜택을 제공한다. 해외 가맹점 이용 시 개인사업자 및 소기업은 2%, 법인사업자는 0.5%의 캐시백을 받을 수 있으며 국내 가맹점 이용 시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 모두 0.1%의 캐시백이 제공된다. 기업은행은 신상품 출시를 기념해 개인사업자 및 소기업을 대상으로 1%의 캐시백을 추가 제공하는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법인사업자가 소기업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에서 ‘중소기업 확인서[소기업(소상공인)]’를 발급받아 영업점에 제출해야 한다. 카드 발급은 기업은행 영업점에서 신청 가능하며 개인사업자는 기업스마트뱅킹, 기업인터넷뱅킹에서도 신청할 수 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해외 마케팅 및 결제 수요가 증가하는 국내기업의 실질적인 비용 절감에 기여하고자 이번 상품을 기획했다”며, “앞으로도 중소기업, 소상공인의 니즈에 맞는 맞춤형 카드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