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석유화학집단공사(China Petroleum & Chemical Corporation, HKG: 0386, 이하 '시노펙')가 신장 위구르 자치구 우수에서 실시한 PBST(polybutylene succinate-co-terephthalate) 생분해성 멀칭 필름(mulch film) 시범 운영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시노펙이 100% 독자적으로 개발해 지식재산권을 보유한 PBST 멀칭 필름은 기존 폴리에틸렌(PE) 멀칭 필름을 사용한 대조구 밭과 비교했을 때 거의 동등한 면화 수확량을 보여줬다. 또한 필름의 분해 성능과 보습•보온 능력 모두 설계 목표를 충족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안정적인 면화 수확량을 유지하면서 잔류 필름 오염 문제를 해결하는 실현 가능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생태적•경제적 효과를 동시에 달성하고, 친환경 농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의 주요 면화 생산지 중 하나인 신장은 토양 수분을 보존하고 토양 온도를 높이기 위해 PE 멀칭 필름에 의존해 왔다. 하지만 이 필름은 자연 분해가 어려워 잔류 플라스틱 필름이 심각하게 축적되는 결과를 야기했다. PBAT 등 다른 완전 생분해성 필름은 자외선,
밴티지 재단(Vantage Foundation)이 말레이시아의 대표적 비정부기구 케카라 수프 키친(Kechara Soup Kitchen, 줄여서 KSK)과 함께 지역 사회 돕기에 나섰다. KSK는 17년 넘게 도시 지역과 농촌 낙후 지역, 오랑 아슬리(Orang Asli), 무주택자 거주지에서 이웃을 돕고 있는 단체다. KSK는 '기아는 어디에나 있다'(Hunger Knows No Barriers)는 모토 아래 푸드뱅크, 교육 프로그램, 무료 급식소 등 여러 방법으로 이웃을 돕고 있다. 자원봉사 활동은 세타팍(Setapak) 소재 케카라 푸드뱅크에서 진행되었다. 필수 건조 식품과 생필품을 보관해 두었다가 도움이 필요한 가정에 나눠주는 곳이다. 밴티지 재단 직원 10명이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KSK 직원들과 함께 식량 원조 꾸러미를 만들어 전달했다. 직원들은 체라스(Cheras)와 진장(Jinjang)에서 궁핍하게 지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여섯 가구를 방문했다. 소득이 낮거나 생활이 안정적이지 않은 가정, 장애인이 있는 가정, 독거 노인 가정 등이었다. 자원봉사자들은 이번 활동을 통해 말레이시아 도시에서 식량 수급 불안정의 현실을 직접 보고 느낄 수 있었
중국석유화학집단공사(China Petroleum & Chemical Corporation, HKG: 0386, 이하 '시노펙')가 '실크로드 북하우스 - 중국 서가(Silk Road Book House - China Bookshelf)'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카이로대학교에 엄선된 도서 1000권을 기증했다. 시노펙과 카이로대가 공동으로 선별한 이 도서에는 중국 전통문화, 금융, 경제, 경영, 디지털 마케팅, 중국어 교육 등 다양한 분야 도서들이 포함되어 있다. 2023년에도 이집트중국대학교에 도서를 기증한 시노펙은 문학을 통한 문화 교류 증진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기증식에는 루춘성(Lu Chunsheng) 주이집트 중국대사관 공사참사관, 위용성(Yu Yongsheng) 시노펙 그룹 브랜드 담당 전무이사, 나글라 라아파트(Naglaa Raafat) 카이로대 인문대학 학장, 그리고 카이로대 교수진과 학생 260여 명이 참석했다. 루춘성 공사참사관은 책은 문화를 기록하고 전파하며 풍요롭게 하고, 문화는 문명의 발전을 정의하고 유지하며 추진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화 교류와 상호 이해 없이는 문명 간 상호 학습도 있을 수 없다"며 "도서 공유는
지속가능한 섬유 분야의 선도적 혁신 기업 크리에이티브 테크 텍스타일/한스 글로벌(Creative Tech Textile / Hans Global)이 18일 미국 시장을 위해 특별히 개발된 새로운 혼방 섬유를 발표했다. 이 혼방 섬유는 재활용 굴 껍데기와 해양 플라스틱으로 만든 회사의 대표적인 친환경 섬유인 Seawool®을 40% 사용하고, 면을 60% 섞어 비용 효율성과 지속가능성 사이에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특별히 제작됐다. 에디왕(Eddie Wang) 크리에이티브 테크 텍스타일/한스 글로벌 창립자 겸 CEO는 "Seawool®은 '바다에서 나온 에메랄드'"라며 "업사이클링된 굴 껍데기에서 탄생하고 일상 속 편안함을 위해 설계된 지속가능한 소재"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우리는 이 새로운 60/40 면-Seawool® 혼방 소재를 통해 순환형 섬유 혁신이 전 세계적으로 퍼져 나가 오늘날의 소비자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창출하면서 미국 고객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걸 보여주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비용 효율성, 지속가능성 및 냄새 방지 기능 미국에서 비용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섬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맞춰 크리에이티브 테크 텍스타일/한스
세계인이 한자리에 모인 올해의 AI 서울 정상회의(AI Summit Seoul)에서 AI 에이전트 제작 플랫폼 분야를 선도하는 플로위스(Flowith)가 세계 최초의 AI 에이전트 전용 운영 체제인 '플로위스OS(FlowithOS)'를 선보이면서 인간과 AI 관계의 지각변동을 예고했다. 플로위스는 이날의 발표 내용에 힘입어 급변하는 AI 경쟁 구도에서 세계적인 혁신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이날 가장 주목받은 무대는 플로위스 공동 창립자 이천 우(Yichen Wu)의 기조연설이었다. 그의 기조연설은 한국의 활발한 혁신 문화와 깊은 공감대를 형성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그는 세계 최초의 AI 에이전트 전용 운영 체제인 FlowithOS를 공개하면서 FlowithOS가 인터넷 시대의 '검색 중심' 패러다임에서 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인간과 AI 에이전트의 원활한 협업이 이뤄지는 이른바, 제안 수락(Nodding)의 시대로 넘어가는 전환점을 상징한다고 역설했다. 이천 우에 따르면 "인간이 고개만 끄덕이면 AI가 이를 제안 수락으로 인식하고 협업을 시작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CMO 데비나 팬(Devina Fan)과 국제 마케팅 팀이 현장에서 Flowith
글로벌 교육 기관 EF(Education First)는 지난 11월 19일, 전 세계 123개국의 성인 영어 실력을 분석한 **'2025 영어 능력 지수(EF English Proficiency Index, 이하 EF EPI)'**를 발표했다. 올해 보고서에서는 한국이 전년 대비 한 단계 하락한 48위를 기록하며, 2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는 세계 최대 규모의 무료 영어 시험 플랫폼 **EF SET(EF Skills Evaluation Technology)**를 통해 수집된 220만 명의 성인 테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됐다. 특히 올해는 AI 기술을 활용해 말하기(Speaking)와 쓰기(Writing) 평가가 최초로 도입되며 평가 범위가 한층 확대됐다. EF 영어 평가 책임자 케이트 벨(Kate Bell)은 "이제는 단순한 이해 능력을 넘어, 실제 언어 표현 능력까지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됐다"며, "글로벌 환경에서 영어는 단순한 소통 수단을 넘어 경제, 문화, 기술을 연결하는 필수 역량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 EF EPI에 따르면, 25세 이하 청년층의 영어 실력이 기대 이하로 평가되었으며, 일부 국가는 오
글로벌 신뢰경영 평가 기관인 미국 GPTW(Great Place To Work® Institute)가 주관하고 GPTW코리아(대표 지방근)가 주최하는 2025년 '대한민국 밀레니얼이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이 발표됐다. 밀레니얼은 현재 30대 초반에서 40대 중반으로 기업에서 가장 많은 일을 하는 세대이며, 디지털 도구를 사용하고 조직에서 수평적이고 투명한 커뮤니케이션을 요구하여 상사와의 관계에서도 상호 존중의 문화를 이끌어 냈으며 워라벨((Work-Life Balance)을 산업계 기준으로 정착시켜 기업문화의 표준을 만들어 놓은 세대로 평가받고 있다. '대한민국 밀레니얼이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의 선정 기준은 기업 19세에서 44세의 구성원들을 신뢰 지수(Trust Index™)를 80% 반영하며 지수가 높은 기업을 선정한다. 이번 '대한민국 밀레니얼이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에 선정된 기업들은 아래와 같다. 베이크플러스는 "성공을 위한 파트너"로 1994년 설립되어한국 식품문화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세계적인 프랑스 유가공 기업 사벤시아의 자회사이다. 프랑스 및 해외 현지의 최고급 식품재료를 국내 기업과 소비자에게 공급할 뿐만 아니라 국내외적으로 유명한 탑
글로벌 신뢰경영 평가 기관인 미국 GPTW(Great Place To Work® Institute)가 주관하고 GPTW코리아(대표 지방근)가 주최하는 2025 대한민국 여성 워킹맘이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과 2025 대한민국 시니어가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이 발표됐다. 대한민국 일하기 좋은 기업 선정은 전 세계 180개국에서 미국 포천지의 '일하기 좋은 100대 기업(FORTUNE 100 Best Companies to Work For®)' 선정과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글로벌 스탠다드의 평가 제도다. '대한민국 여성 워킹맘이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의 선정 기준은 여성 워킹맘의 비율, 여성 관리자 비율, 여성 임원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결정된다. 단, 선정 후보에 포함되기 위해서는 조직 내 여성 워킹맘이 전체 구성원의 20% 이상이고, 여성 관리자(과장~부장)가 10% 이상이어야 한다.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기업은 여성 임원 한 명당 추가적인 가점을 부여받을 수 있다. 한국의 "유리천장 지수"(Glass-Ceiling Index)는 OECD 38개 국가 중 28위로서 한국의 여성과 워킹맘의 현실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여성 워킹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