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앤컴퍼니그룹의 글로벌 선도 타이어 기업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대표이사 안종선∙이상훈, 이하 한국타이어)가 지난 6월 17일(현지시간) 헝가리 두나우이바로시(Dunaújváros) 소재 ‘성 판탈레온 병원(St. Pantaleon Hospital)’에 아동 병동 환경 개선을 위한 후원금 1천만 원을 전달했다. ‘성 판탈레온 병원’은 한국타이어 헝가리공장이 위치한 라칼마스(Rácalmás) 지역과 인접한 거점 의료기관이다. 또한, 한국타이어 임직원과 가족들을 비롯하여 수많은 지역사회 주민들이 이용하는 중요 시설 중 하나다. 이번 후원금은 유아용 침대 및 에어컨 설치 등 병동 내 주요 장비 구매에 쓰여, 어린 환자들이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했다. 한국타이어는 2019년 최신 인공호흡기 기증 및 병동 현대화 지원을 시작으로 2020년 감염 보호장비 전달, 2024년 외과 병동 간호사 호출 시스템 설치 등 성 판탈레온 병원과의 협력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한국타이어는 지난 6월 26일 헝가리에서 열린 ‘제멜바이스 데이(Semmelweis Day)’ 행사에 참석해 '성 판탈레온 병원 우수 후원자(Key Support
'F1: 더 무비(F1: The Movie)' 측이 야스 마리나 서킷(Yas Marina Circuit)을 배경으로 펼쳐진 영화의 지역 시사회에 이어 제작 비하인드 특별 영상(Making Of)을 새롭게 공개했다. 이 영상에는 2024 포뮬러 1 에티하드항공 아부다비 그랑프리 Formula 1 Etihad Airways Abu Dhabi Grand Prix) 기간 중 가장 아드레날린이 넘쳤던 장면들의 촬영 과정과 출연진 및 제작진의 소감이 담겨 있다. F1: The Movie – The Making of…in Abu Dhabi 아부다비는 이번 영화 제작에서 중심 무대이자 이야기의 핵심 배경으로 등장한다. 이번 행사 역시 그 상징성을 강조했다. 시사회는 서킷 위에 특별히 설치된 야외 시네마 세트장에서 레드카펫 행사와 함께 진행됐으며, 게스트들은 영화 속 실제 촬영 장소이자 극적 서사의 중심부인 아부다비를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었다. 새로 공개된 비하인드 이미지와 영상은 아부다비 촬영의 규모와 야심을 그대로 보여준다. 감독 조셉 코신스키(Joseph Kosinski), 프로듀서 제리 브룩하이머(Jerry Bruckheimer), 주연 배우 브래드 피트(Brad
푸조가 3일 성수동에 위치한 문화예술공연장 ‘캔디 성수’에서 완전변경을 거쳐 탄생한 프렌치 감각과 혁신의 정수, ‘올 뉴 3008 스마트 하이브리드(ALL NEW 3008 SMART HYBRID, 이하 올 뉴 3008)’를 국내 최초 공개했다. 8년 만에 완전변경을 거쳐 선보이는 3세대 올 뉴 3008은 감각적인 디자인과 스마트 하이브리드 기술을 접목한 도심형 C-SUV로, 푸조 브랜드의 SUV 라인업 확장과 국내 시장 저변 확대를 이끌 전략 모델이다. 2008년 글로벌 데뷔 이후 대표 SUV로 자리 잡은 3008은 2016년 2세대 모델(P84) 기준 누적 140만 대 이상 판매되었으며, 국내에서도 2010년 디젤 모델 출시 이래 푸조 전체 누적 판매의 약 27%를 차지하며 핵심 모델로 활약해왔다. 이번 3세대 올 뉴 3008은 스텔란티스의 차세대 전동화 플랫폼 ‘STLA 미디엄’이 최초 적용된 모델로 디자인과 공간, 파워트레인, 기술 전반에서 푸조의 혁신을 집약했으며, 유럽 출시 6개월 만에 10만 대 이상 계약되며 시장성과 상품성을 인정받았다. 푸조는 프렌치 감성과 기술이 조화를 이루는 디테일을 자랑하는 올 뉴 3008을 통해 다양한 한국 고객들의 취향
현대자동차가 ‘아이오닉 6 N(아이오닉 식스 엔)’의 티저 영상을 3일(목) 최초로 공개하며 차세대 고성능 세단 전기차의 등장을 예고했다. 티저 영상 속 아이오닉 6 N은 트랙 위를 질주하는 실루엣으로 등장하며 영화적인 연출을 통해 고성능 세단 전기차의 역동성을 강조했다. 또한 공개된 티저 영상에는 아이오닉 6 N의 낮고 넓은 차체와 모터스포츠 DNA를 품은 대형 윙 스포일러 등이 담겼다. 아이오닉 6 N은 현대 N의 3대 성능 철학인 코너링 악동(Corner Rascal), 레이스트랙 주행 능력(Racetrack Capability), 일상의 스포츠카(Everyday Sports Car) 기반으로 개발된 차량으로 아이오닉 5 N에 이은 현대차의 두 번째 고성능 N 전기차다. 현대차는 이날 티저 영상 공개와 함께 아이오닉 6 N에 적용된 △차세대 서스펜션 지오메트리 △N e-쉬프트(N e-Shift) △N 액티브 사운드 플러스(N Active Sound +, NAS+) △N 드리프트 옵티마이저(N Drift Optimizer) 등 4가지 기술을 소개했다. 현대차는 차체가 좌우로 기울 때의 회전 중심인 롤 센터를 낮추고, 조향축과 타이어 접점 간 거리를 뜻하는
글로벌 이종접합(HJT) 태양광 기술에 새로운 이정표가 세워졌다! 라이젠 에너지(Risen Energy Co., Ltd.)(주식 코드: 300118)는 7월 3일 자사가 독자 개발한 Hyper-ion HJT 모듈이 평균 740Wp의 양산 출력을 달성해 새로운 산업 효율성 기준을 세웠다고 밝혔다. 26.61%의 셀 변환 효율도 인증받은 이러한 혁신은 연구개발(R&D)가 양산으로 즉시 전환됐다는 걸 보여주는 사례다. 이러한 혁신을 통해 라이젠 에너지는 고효율 PV 산업화 분야에서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게 됐다. 주요 혁신: 특허로 보호받는 기술과 비용-성능 혁명 라이젠 에너지가 국가중점연구개발프로그램(National Key Research and Development Program)을 활용해 독자 개발한 기술은 구조를 최적화하고 비용을 극적으로 절감하면서도 최고 효율을 유지하는 효과를 낳는다. 금속화 기술 업그레이드(Metallization Upgrade): 은(silver) 소비량을 5mg/W로 대폭 줄였고(TOPCon 대비 37.5%↓) 스텐실 인쇄(stencil printing)를 통해 비실리콘 제조 비용을 절감했다. 낮은 CTM 손실 캡
현대자동차·기아는 7월 3일(목) 현대자동차 강남대로 사옥(서울 강남구 소재)에 ‘UX 스튜디오 서울’을 개관하고 사용자들과 함께 미래 모빌리티 경험을 설계하는 참여형 연구 거점으로 운영을 시작한다. 이는 2021년 서초구에 개관한 기존 ‘UX 스튜디오’를 이전해 완전히 새롭게 단장한 것으로, 현대차·기아가 추구하는 모빌리티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의 핵심 가치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고객 접근이 용이한 강남대로 사옥에 들어서게 됐다. 기존 ‘UX 스튜디오’는 현대차·기아의 상품, 디자인, 설계 등 담당 연구원들이 차량 UX 개발 과정에 활용하던 사내 협업 플랫폼이었다. UX 연구의 핵심인 사용자 조사 역시 일부 특정 고객을 초청해 비공개로 운영해 왔다. 새단장을 마친 ‘UX 스튜디오 서울’의 가장 큰 변화는 고객 누구나 모빌리티 개발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도록 열린 공간을 제공하는 연구 플랫폼이 됐다는 것이다. 방문객들은 UX 스튜디오에서 미래 모빌리티 환경을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자유롭게 경험하고, 선행 UX 연구 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으며 차량 개발 과정에서 사용자의 의견이 제품에 반영되는 과정을 체험할 수 있다.
광둥 브룬프 리사이클링 테크놀로지(Guangdong Brunp Recycling Technology)의 자회사 닝보 컨템포러리 브룬프 라이젠드(Ningbo Contemporary Brunp Lygend Co., Ltd, 이하 '브룬프')가 인도네시아 배터리 통합 프로젝트(Indonesia Battery Integration Project) 착공식을 개최했다. 착공식은 인도네시아 아네카 땀방(PT Aneka Tambang Tbk) 및 인도네시아 배터리 코퍼레이션(Indonesia Battery Corporation)과 협력해 일요일 인도네시아 서자바주 카라왕 신산업 도시(Karawang New Industry City)에서 열렸다. 브룬프는 세계 최대 배터리 기업 CATL(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의 자회사다. 총면적 2000헥타르에 걸쳐 추진되는 인도네시아 배터리 통합 프로젝트는 배터리 가치사슬 전반을 아우르는 통합형 프로젝트로, 약 60억 달러의 투자를 유치할 예정이다. 북말루쿠주 동할마헤라의 FHT 산업단지에서는 니켈 채굴과 가공, 배터리 소재 생산, 배터리 재활용이 진행되고, 서부 자바주 카라왕에
상해전기(Shanghai Electric)(SEHK: 2727, SSE: 601727)가 2285억 6500만 위안(약 318억 달러)의 기록적인 브랜드 가치를 인정받아 브랜드 컨설팅 기관인 월드브랜드랩(World Brand Lab)이 발표한 '중국 500대 브랜드 가치 순위(China's 500 Most Valuable Brands)'에서 10년 연속 상위 5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월드브랜드랩은 재무 성과, 브랜드 파워, 시장 경쟁력을 기반으로 순위를 정한다. 상해전기는 고부가가치 제조업, 친환경 에너지, 글로벌 저탄소 발전 분야에서 해온 중대한 역할을 인정받아 이와 같은 성과를 거두었다. 혁신으로 이끄는 글로벌 에너지 전환 : 하드 테크놀로지와 시스템 솔루션의 이중 전략 에너지 혁명과 지능형 제조가 만나는 지점에서 상해전기는 '하드 테크놀로지 + 시스템 솔루션(hard technology plus system solution)' 모델을 통해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끌기 위한 주요 혁신을 이끌어왔다. 친환경 메탄올로 탄소 중립 연료 공급망을 재정의하고 있고, 부유식 해상 풍력 발전은 심해 재생에너지를 활용하고 있다. 또 대형 가스터빈으로 효율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