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1일, 론지(LONGi)가 제18회(2025) 국제 태양광 발전 전시회( International Solar Photovoltaic Exhibition, SNEC)에서 자체 개발한 HIBC 기술과 양산 모듈 제품을 공식 발표했다. HIBC는 업계 최초로 표준 크기인 2382mm×1134mm를 기준으로 700W 이상의 전력을 달성하며 업계의 선례를 만들었고, 양산 모듈의 효율은 26%에 육박해 태양광 모듈 효율 '25%+시대'를 열었다. HIBC(Hybrid Interdigitated Back-Contact)는 고온-저온 복합 패시베이션 백 콘택트 기술로 이종접합기술(HJT)와 백 콘택트(BC)의 장점을 융합한 방식이다. 이번에 세계 최초로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한 대규모 양산이 실현됐다. 중바오선(Zhong Baoshen)은 론지 회장은 기자 회견에서 "이는 론지가 기술혁신에서 또 하나의 정상에 오른 것이며, BC 기술 노선에서의 또 다른 중대한 혁신"이라고 말했다. 2025년 4월 독일 하멜른 태양에너지연구소(Solar Energy Research Hamelin, ISFH)의 인증을 받은 HIBC 셀의 변환 효율은 27.81%에 달해 세계 신기록을
에너지 저장 혁신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더사이 배터리(Desay Battery)가 2025 SNEC PV+ 엑스포에서 터키 최대 에너지 기업인 데미르 에너지(Demir Enerji)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하며 중요한 이정표를 달성했다. 양사는 우크라이나에서 진행되는 MHP Chicken Block Solar + ESS 2.5MW/5MWh 프로젝트, 2MW/5MWh급 MHP 프로젝트 #1, 20MW/40MWh급 프로젝트 #2, 10MW/40MWh급 VOLTAGEG 프로젝트를 포함한 여러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를 위해 협력할 계획이다. 에너지 저장 혁신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더사이 배터리(Desay Battery)가 2025 SNEC PV+ 엑스포에서 터키 최대 에너지 기업인 데미르 에너지(Demir Enerji)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하며 중요한 이정표를 달성했다. 양사는 우크라이나에서 진행되는 MHP Chicken Block Solar + ESS 2.5MW/5MWh 프로젝트, 2MW/5MWh급 MHP 프로젝트 #1, 20MW/40MWh급 프로젝트 #2, 10MW/40MWh급 VOLTAGEG 프로젝트를 포함한 여러 에너지 저장 프로젝트를 위해 협력잭 구오
한국가스공사(사장 최연혜)는 6월 11일부터 12일까지 이틀간 제주도에서 ‘2025년 시설 이용자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워크숍은 가스공사 천연가스 배관·제조시설에 대한 이용 수요가 지속 증가함에 따라 이용자들에게 운영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하고, 고객 중심의 제도 개선 사항을 논의해 협력을 강화하고자 마련됐다. 2016년 첫발을 뗀 이 행사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19년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열리지 않다가 지난해 재개됐다. 이번 워크숍에는 가스공사를 비롯해 배관·제조시설 이용 13개사에서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가스공사는 △올해 배관·제조시설 운영 계획 및 요금 산정 방안, △계량기 운영 가이드, △시설이용정보제공(TPA) 시스템 재구축 계획 등을 설명하고, 시설이용제도 개선에 대한 업계 의견도 적극 청취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앞으로도 시설 이용자와 활발하게 소통해 고객 만족도를 한층 높임으로써 천연가스 배관·제조시설을 보다 공정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쿠팡의 자체 브랜드(PB) 제조 자회사인 씨피엘비(CPLB)는 중소 제조 파트너 30개사와 함께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는 ‘2025 디지털 유통·물류대전’에 동반 참가한다고 밝혔다. 6월 11일부터 13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이번 행사에는 전국 각지에서 우수한 PB제품을 생산해온 중소 제조사 관계자들이 대거 참여한다. 쿠팡 PB 제조사들이 단독 부스를 운영하며 직접 소비자와 만나 제품과 브랜드를 소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CPLB는 이번 전시에 참여하는 30개 협력사에 전용 부스와 전시대, PDP 등을 제공하고, 각 업체들이 쿠팡 PB상품과 함께 자사 브랜드를 홍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제조사 대표들은 부스에서 자사 슬로건과 대표 제품들을 전시하며 소비자와 직접 소통하는 특별한 시간을 갖게 된다. 쿠팡 PB 브랜드 ‘곰곰’의 미숫가루를 생산하는 ‘에버헬스케어’는 자사 브랜드 ‘배대감’을 함께 홍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충북 청주의 쌀 생산업체 ‘광복영농조합법인’, 제주 농가 농산물을 공급하는 ‘느영나영 영농조합’, 안성에서 주방세제를 생산하는 ‘성진켐’, 전남 나주에서 누룽지를 제조하는 ‘대한식품’ 등 다양한 업종의 중소협력사들
제18회 '국제 태양광 발전•스마트 에너지 (상하이) 콘퍼런스 & 전시회(International Solar Photovoltaic and Smart Energy (Shanghai) Conference & Exhibition)'가 6월 11일 상하이에서 개최됐다. 이 행사에서 트리나 그린 하이드로젠(Trina Green Hydrogen)은 글로벌 고객을 겨냥해 세 가지 유형의 녹색 수소 장비를 공개하며, 글로벌 수소 에너지 산업에서 회사의 가치 창출 능력을 선보였다. 트리나 그린 하이드로젠이 새롭게 출시한 메가와트급 PEM(Proton Exchange Membrane) 전해조는 차세대 PEM 막 전극 재료를 적용해 고압 환경에서도 전해조의 안전한 작동을 보장한다. 산소 흐름 내 수소 농도는 전체 출력 범위에서 600 ppm 미만으로 유지된다. 정격 전류 밀도 3만 A/㎡ 미만의 조건에서도 직류(DC) 전력 소비량은 4.3 kWh/Nm³보다 적다. 또 새로운 촉매 기술을 통해 귀금속인 이리듐(iridium) 사용량을 80% 줄였으며, 촉매의 이론적 수명은 15년 이상이고, 전압 감소율은 1.3 μV/h에 불과하다. 비용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장비
최근 글로벌 독립 테스트 기관인 키와PV에볼루션랩(Kiwa PV Evolution Labs, Kiwa PVEL)이 2025 태양광 모듈 신뢰성 스코어카드(PV Module Reliability Scorecard) 보고서를 발표했다. 올해 평가에서 세라핌(Seraphim)은 최우수 성능상(Top Performer)을 다시 한번 수상하며, 이 명예로운 산업상을 통산 6회 수상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키와PVEL은 엄격한 제품 인증 프로그램(PQP)을 통해 태양광 모듈 제품을 대상으로 열 사이클링(TC600), 습열(DH2000), 전위 유도 열화(PID), 광 유도 열화(LID)와 광•고온 유도 열화(LETID)를 결합한 테스트와 PAN(정상화 후 성능) 분석을 실시한다. 이러한 종합 평가를 통해 모듈의 신뢰성과 성능이 다각도로 평가된다. 올해 평가에서 세라핌의 Sable 시리즈 TOPCon 모듈은 모든 테스트 항목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세라핌의 우수한 품질과 강력한 브랜드 신뢰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이번 수상은 금융기관, 개발사, 시스템 운영자에게 신뢰할 수 있는 기준점과 의사결정에 필요한 지침이 된다. 세라핌의 입증된 신뢰성은 일관된 전력 출력과 운영
전 세계가 긴급한 기후 행동의 중요성에 다시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산이 리뉴어블 에너지(SANY Renewable Energy, 이하 '산이 R.E.')는 말뿐만이 아닌 메가와트로 기후 행동 약속을 실천하고 있다. 산이 R.E.는 세르비아 알리부나르(Alibunar) 프로젝트와 전력구매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PPA) 및 차액계약(Contract for Difference•CfD)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단순한 신규 시장 진출 차원을 벗어나 가장 필요로 하는 곳에 청정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산이 R.E.의 강한 의지를 보여준다. 알리부나르 프로젝트는 풍력 자원이 가장 풍부한 지역 중 하나인 세르비아 동부에 위치해 있다.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이 프로젝트의 운영 기간은 25년이다. 프로젝트의 총 설치 용량은 168MW에 달하며, 완공 후 연간 약 4억 8000만 kWh의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전력망에 연결되면 세르비아에 대규모 청정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지역 에너지 구조를 최적화하고, 전통적인 화석 연료 의존도를 낮추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알리부나르 프로젝트는 산이 R.E.가 세르비아에 한 첫 번째 투자로,
PT PLN(Persero)이 인도네시아 내 그린 기술(그린테크) 스타트업들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려는 의지를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PLN 스타트업 데이 2025(PLN Startup Day 2025)가 '파트너십 강화: 지속 가능한 에너지를 위한 협력(Powering Partnership: Uniting Forces for Sustainable Energy)'이라는 주제로 5월 21일 수요일 자카르타 PLN 본사에서 개최됐다. 와얀 토니 수프리얀토 (Wayan Toni Supriyanto) 인도네시아 통신디지털부( Ministry of Communication and Digital Affairs) 디지털 인프라 국장은 인도네시아 정부의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디지털 생태계 구축이라는 비전과 부합하는 PLN의 이니셔티브에 감사를 표했다. 그는 "PLN은 특히 디지털 혁신을 에너지 솔루션에 통합하여 이러한 비전을 실현하는 데 전략적인 역할을 한다"며 "PLN 코넥스트(PLN Connext)과 PLN 스타트업 데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정부, 국영 기업, 혁신 부문 간의 협력이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구체적인 증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