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냉동학회(International Institute of Refrigeration•IIR)가 '세계 냉동의 날(World Refrigeration Day)'을 맞아 모든 국가가 냉동을 건강, 식량 안보, 에너지 효율성, 기후 지속 가능성을 도모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로 인정해줄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IIR은 또 각국 정부들이 국가냉동위원회(Refrigeration Committees)를 설립할 것을 권고했다. 국가냉동위원회는 극저온 기술과 초저온 활용부터 식품•보건 콜드체인, 에어컨, 열펌프에 이르는 모든 응용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냉동 시스템 구축을 조율하기 위한 범부문 협의 플랫폼이다. 국가냉동위원회는 모든 관련 이해관계자를 한자리에 모아 공공과 민간 및 기술과 정책 분야에서 활동하는 주체가 함께 효과적이고 포용적인 국가 냉동 전략을 수립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IIR은 이러한 노력이 식품 시스템, 공중 보건, 산업 발전, 기후 행동 강화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간주한다. 끝으로, IIR은 냉동기술 발전을 위한 과학적이고 독립적이며 중립적인 정부 간 기구로서 더 많은 국가들이 IIR의 사명에 동참하고, 냉동 기술을 국가 및 국제 정책의 최상위 과제로 끌
차세대 연료 기술 선도 기업이자 지속 가능한 연료 생산업체인 란자제트(LanzaJet, Inc.)가 로이터 글로벌 에너지 전환 어워드 2025(Reuters Global Energy Transition Awards 2025)에서서 '변화의 기술(Technologies of Change)' 부문 '탈탄소화 가속화(Accelerating Decarbonization)' 상을 수상했다고 오늘 발표했다. 이 상은 뉴욕에서 열린 글로벌 에너지 전환 서밋(Global Energy Transition Summit )에서 수여됐다. 이번 수상은 란자제트의 선구적인 알코올-제트(ATJ) 지속 가능한 항공 연료(SAF) 기술을 인정한 것이다. 이 기술은 저탄소 에탄올을 항공기 연료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지속 가능 항공 연료(SAF)로 전환시키며, 드롭인(drop-in) 연료 솔루션으로 상업적 활용이 가능하고 글로벌 확장이 가능하다. 항공은 가장 탈탄소화가 어려운 분야 중 하나로 꼽히는 만큼, ATJ 기술은 항공산업의 탄소 배출 저감에 기여할 수 있는 즉각적이고 가시적인 해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미 사마르치스(Jimmy Samartzis) 란자제트 최고경영자(CEO)는 "로
태양광 발전(PV) 솔루션 분야의 세계적 선도기업 론지(LONGi)가 인도네시아 국영 에너지 기업 펄타미나(Pertamina)의 자회사인 펄타미나 뉴 & 리뉴어블 에너지(Pertamina New & Renewable Energy, 이하 '펄타미나 NRE')와 협력해 인도네시아에 최첨단 태양광 패널 제조 시설을 짓는 전략적 프로젝트에 공식 착수했다. 이번 파트너십은 동남아시아에서 재생에너지 보급을 가속화하고, 인도네시아가 야심 차게 추진 중인 에너지 전환 목표를 지원하기 위한 공동의 의지를 확인시켜준다. 웨스트 자바 델타마스에 위치한 신규 시설은 연간 1.6GW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론지의 최첨단 HPBC(Hybrid Passivated Back Contact) 2.0 기술을 활용해 고효율 태양광 모듈을 생산할 예정이다. 프로젝트는 2025년 6월부터 제조 준비에 착수하며, 인도네시아 국내 태양광 PV 생산 능력을 크게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론지와 펄타미나 NRE의 이번 협력은 인도네시아에서 재생에너지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다. 이 프로젝트는 글로벌 태양광 기술 분야에서 론지의 리더십과 현지 에너지 시장에 대한 펄타미나 NRE의
청정에너지 조달 및 탄소 관리 분야의 글로벌 탈탄소화 전문 기업인 고넷제로(GoNetZero™)가 세계 최고의 탄소 시장 정보 제공업체인 얼라이드오프셋(AlliedOffsets)과 새로운 전략적 제휴를 발표했다. 이번 협업은 기업들이 높은 투명성과 확신, 인사이트를 가지고 자발적 탄소 시장(VCM)을 탐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번 파트너십은 고넷제로의 검증된 탄소 크레딧 포트폴리오와 전 세계 34000개 이상의 탄소 프로젝트를 추적하는 얼라이드오프셋의 분석 플랫폼을 통합한다. 그 목표는 시장 접근성과 심층적인 데이터 인사이트를 결합함으로써, 기업들이 급변하는 VCM 역학을 탐색하고 데이터 기반의 더 스마트한 결정을 내려 실질적인 기후 영향을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순쩨멩(Soon Sze Meng) 고넷제로 최고경영자(CEO)는 "기업들이 기후 공약의 신뢰성을 행동으로 뒷받침해야 한다는 압박에 직면하면서, 투명성과 데이터가 필수 요소가 됐다"며 "이번 파트너십은 고넷제로의 검증된 탄소 배출권 포트폴리오와 얼라이드오프셋의 시장 인텔리전스를 결합하여 고객이 탄소 상쇄 프로젝트를 보다 명확하고 자신 있게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한국앤컴퍼니그룹의 글로벌 선도 타이어 기업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대표이사 안종선·이상훈, 이하 한국타이어)가 레이싱 타이어를 독점 공급하는 국제자동차연맹(FIA) 주관 세계 최정상급 모터스포츠 대회 ‘2025 월드 랠리 챔피언십(2025 FIA World Rally Championship, 이하 WRC)’의 7라운드 ‘그리스 아크로폴리스 랠리(EKO Acropolis Rally Greece)’가 오는 6월 26일부터 29일(현지시간)까지 그리스 중부 라미아(Lamia) 일대에서 개최된다. ‘그리스 아크로폴리스 랠리’는 험준한 산악 지형과 날카로운 자갈 노면, 고온 기후 등으로 드라이버 사이에서 이번 시즌 중 가장 고난도 코스로 손꼽힌다. 이번 경기는 17개의 스페셜 스테이지(SS)에서 총 345.76km의 주행 거리를 질주하는 만큼, 2021년 대회 이후 가장 긴 일정에 속한다. 이번 대회에 참가하는 드라이버들은 최대 섭씨 40도에 달하는 고온과 돌풍, 암석이 드러난 지형 등 극한 자연 환경에서 최고 시속 200km, 회전 수 최대 8,500rpm에 달하는 퍼포먼스를 펼치게 된다. 이처럼 혹독한 조건은 차량과 타이어에 극심한 부담으로 가할 수 있어, 내구성
르노코리아(대표이사 스테판 드블레즈)가 모빌리티 스타트업 파트너 발굴을 위해 오는 6월 26일부터 27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coex)에서 개최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스타트업 전시회 넥스트라이즈(NextRise)에 참가한다. 르노코리아는 지난해에도 넥스트라이즈에 참가했으며, 프랑스 르노 본사의 오픈 이노베이션 담당 디렉터가 방문해 자동차 산업의 혁신 전략에 대한 컨퍼런스를 진행한 바 있다. 올해에는 컨퍼런스에 더해, 별도의 부스를 마련하고 그랑 콜레오스 openR(오픈알) 파노라마 스크린에 탑재한 다양한 혁신 기술을 보다 상세하게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전시에서 르노코리아는 ▲웨일(Whale) 브라우저를 통한 웹, 앱 서비스 개발 파트너 ‘드림에이스’ ▲openR 파노라마 스크린을 활용한 게임 플랫폼 개발 파트너 ‘오비고’, ‘스매시랩’ ▲차량 개인화 및 커넥티비티 서비스 개발 파트너 ‘시네모(Cinemo)’ 등 국내외 스타트업 파트너들과 인포테인먼트 및 커넥티비티 서비스를 소개할 계획이다. 또한, 모빌리티 기술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강연도 진행한다. 27일에 열리는 모빌리티 컨퍼런스에서 레지스 브리뇽(Regis Brignon) 르노코리아 소프트웨어 및
푸조가 새로운 장르의 스마트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압도적인 디자인과 실용성으로 인기가 높은 408에도 투입, 하이브리드 시장 내 입지 강화에 나선다. 지난 4월 푸조 308을 통해 국내 처음 소개된 스마트 하이브리드 기술은 48V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결합하여 연비 효율성과 주행 응답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장점을 가진 신개념 파워트레인이다. 푸조는 세단과 SUV의 장점을 모두 가진 자사의 크로스오버 모델인 408에도 스마트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확대 적용, 24일부터 국내 본격 판매를 시작한다. 2023년 국내 시장에 데뷔한 푸조 408은 역동적인 디자인과 민첩한 주행감으로 강한 존재감을 발휘했으며, 2024년부터 현재까지 누적된 푸조 전체 판매량의 35.5%를 차지하며 ‘스타모델’로 자리매김했다. 1,500mm의 낮은 전고가 만들어내는 날렵한 실루엣과 이에 대비되는 전장 4,700mm 및 휠베이스 2,790mm의 여유로운 실내 공간, 공기저항계수 0.28cd를 달성한 루프 후면 ‘캣츠 이어(Cat’s Ear)’의 조합으로 도로 위 강렬한 존재감을 자랑한다. 세련되고 대담한 인상을 자랑하는 그릴 디자인과 사자의 송곳니를 형상화한 주간주행등으로 푸조만의 독
기아가 글로벌 자동차 시장을 이끄는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시 한번 인정받았다. 기아는 송호성 사장이 25일(현지시각) 영국 자동차 전문지 오토카 (Autocar)가 주관하는 ‘2025 오토카 어워즈(2025 Autocar Awards)’에서 ‘이시고니스 트로피(Issigonis Trophy)’를 수상했다고 밝혔다. 오토카는 1895년 세계 최초로 발간된 자동차 전문지로, 영미권 독자 외에도 온라인판과 국제판 등을 통해 글로벌 영향력을 보유한 매체다. 오토카는 매년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서 괄목할 성과를 거둔 인물과 제품을 선정해 시상하고 있다. 이시고니스 트로피는 오토카 어워즈 중 최고 영예의 상으로, 전설적 자동차 디자이너 겸 엔지니어인 ‘알렉 이시고니스(Alec Issigonis)’의 이름을 차용해 명명됐다. ※ 알렉 이시고니스(1906~1988) : 1959년 브리티시 모터 코퍼레이션(BMC)이 선보인 최초의 ‘미니(Mini)’ 모델 개발자. 1969년에는 미니의 성공을 인정받아 영국 여왕으로부터 ‘경’ 칭호를 얻음. 이시고니스 트로피의 역대 주요 수상자는 2014년 론 데니스(Ron Dennis) 맥라렌 회장을 비롯해 2018년 도요타의 도요다 아키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