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삼일로창고극장, 입체열람전 개최

연극 아카이빙의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 전시 ‘입체열람전’ 지난 17일(화)부터 내달 5일(일)까지
자료의 관계와 맥락을 분석하는 ‘시맨틱 데이터’ 방식의 보고서 바탕으로 삼일로창고극장(1975~1979) 되짚어

[이슈투데이=송이라 기자] 서울문화재단과 삼일로창고극장 운영위원회는 2019년 마지막 기획 프로그램으로 연극 아카이빙의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 전시 "입체열람전"을 지난 17일(화)부터 내달 5일(일)까지 삼일로창고극장 갤러리에서 선보인다.

1975년 개관해 서울문화재단이 위탁운영하며 2018년 6월 재개관한 삼일로창고극장은 현장의 예술가로 구성된 운영위원회가 함께하는 청년예술 플랫폼이다.

이번 "입체열람전"은 운영위원회가 기획한 전시로 연극 디지털 아카이브에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소극장 연극 시맨틱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의 1975년 삼일로창고극장의 전신 에저또창고극장과 1976년~1979년까지의 삼일로창고극장을 소재로 한다. 연구는 1970년대 당시 소극장 운동이었던 삼일로창고극장에서 공연된 작품들의 홍보물과 보도자료, 대본 등을 수집해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의 관계와 맥락을 분석하는 ‘시맨틱 데이터’ 방식을 활용했다.

전시는 이 시맨틱 데이터 방식으로 도출된 1970년대 공연예술계를 현재 시점에서 바라본다.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아카이빙 전시 형태를 넘어 다양한 장르의 작가가 데이터를 통해 도출된 주제를 소설, 게임, 비평, 사운드의 형식으로 재해석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세부적으로는 2019년 젊은 작가상을 수상한 김봉곤의 ‘선샤인 보이즈’, 시각예술, 콘텐츠 제작자 김효래×윤여준의 ‘A00109’, 비평가 김슬기의 ‘스물여덟 개의 각주와 세 개의 인용과 열세 개의 질문으로 이루어진 결론’, 사운드디자이너 석대범의 ‘락앤록 보트 혹은 동아시아 무선 연맹’, 수집된 데이터의 맥락을 파악한 관객이 직접 정보를 배치해 시각화하는 ‘데이터 센터’ 등 총 5개 작품으로 구성된다.

연극 아카이빙을 활용해 삼일로창고극장의 연극사적 의미와 사회적 맥락을 되짚어보는 이번 전시는 누구나 관람이 가능하며 관람료는 무료다.


미디어

더보기
글로벌 강자 현대건설, 해외수주 1조 달러 금빛 수훈 빛났다 현대건설이 해외건설 1조 달러 수주 기념행사에서 1,400억 달러가 넘는 최고 수주액으로 ‘해외건설의 탑’을 수상하며 국가대표 건설기업의 위상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현대건설은 지난 29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건설회관에서 열린 ‘해외건설 1조 달러 수주 및 60주년 기념식’에서 유일한 1,000억 달러 돌파 기업이자 독보적인 해외 수주 실적을 인정받아 ‘해외건설의 탑(金)’과 함께 상징적인 해외 프로젝트에 헌정되는 ‘해외건설 10대 프로젝트’에 최다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해외건설협회가 주최하고 국토교통부가 후원한 이번 행사에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진현환 국토교통부 제1차관, 한만희 해외건설협회 회장을 비롯한 유관기관 관계자, 주요 건설사 CEO 및 임직원 등이 참석해 해외 누적 수주액 1조 달러 돌파와 60년간 이뤄낸 우리 건설기업의 성과를 축하했다. 1965년 현대건설이 태국의 파타니 나라티왓 고속도로 공사를 수주하며 해외시장에 첫발을 내디딘 국내 건설산업은 반도체와 자동차에 이어 세 번째로 1조 달러를 돌파하며 국가 기간산업으로 경제성장을 견인해 왔다. 현대건설은 이날 기념식에서 60여 개국 850건이 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총 1,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