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스포츠

99억의 여자, 임태경의 계략에 빠져 위기닥친 오나라!

[이슈투데이=김윤겸 기자] KBS 2TV 수목드라마 "99억의 여자"는 레온의 계략으로 위기를 맞은 윤희주, 레온의 생존을 확신하게 된 강태우, 홀로 레온을 쫓는 홍인표 등 레온의 생존을 알게된 인물들이 레온에 대한 추적을 시작하며 숨막히는 폭풍전개를 예고했다. 어제 방송은 최고시청률 10.1%를 기록했으며, 25회 8.8%, 26회 10.1%(닐슨코리아 전국기준), 2049 시청률 2.4%로 전채널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지켰다.

25회는 생매장되었던 홍인표(정웅인 분)가 숨겨둔 칼로 흙더미를 뚫고 살아나는 것으로 시작해 놀라움을 안겼다. 간신히 목숨을 건진 홍인표는 정서연을 찾아왔다가 서연이 레온과 함께 있는 광경을 목격하고 레온의 정체를 눈치챘다. 윤희주는 정서연(조여정 분)을 대동하고 파티에 나타난 다니엘 킴에 대한 의심을 거두지 못하고, 정서연은 다니엘 킴을 선망의 눈빛으로 쳐다보며 투자를 의논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할머니의 장부책이 마이너스 세상이라면 여기는 그들만의 리그. 완전한 플러스의 세계’라며 자신의 미래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꿈꿨다. 어울리지 않는 곳에 나타난 서연을 비웃는 윤희주에게 정서연은 ‘좀더 현실적인 계획을 세웠거든. 훔친 돈은 잊고 내 손으로 벌거야’라고 말해 그녀의 행보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했다.

정서연은 오대용(서현철 분)의 도움으로 장금자의 미수금을 차근차근 거둬들이는 한편, 레온이 목숨을 살려준 대가로 주겠다는 현금 10억과 운용할 수 있는 100억의 자금 중에서 100억을 선택해 자금운영처를 찾기 시작했다. 하지만, 강태우가 동생 죽음의 진실을 알게됐다. 강태우는 서연을 부탁한다는 장금자의 얘기를 듣고 정서연을 찾아가 자기와 함께 떠나 새 삶을 찾자고 진심을 전했고 정서연은 눈물을 흘리며 그날 밤 죽어가던 동생 태현(현우 분)을 외면했다는 사실을 털어놓아 강태우는 충격에 휩싸여 서연을 향해 원망과 울분을 쏟아냈다.

레온의 정체를 파악한 홍인표는 레온에게 협박장을 보내고, 강태우에게도 ‘레온이 살아있다’는 메시지와 함께 레온과 만나기로 한 장소를 알렸다. 홍인표는 강태우를 미끼로 레온이 모습을 드러내길 기다렸지만, 레온은 나타나지 않고 레온의 하수인으로 밝혀진 서민규(김동현 분)만 이 모습을 지켜봤다.

또, 레온의 생존에 확신을 갖게 된 강태우는 다시 레온의 행방을 찾는데 집중했다. 김석(영재 분)을시켜 백승재(정성일 분)의 이메일을 해킹해 단서를 찾게 하고 김석은 백승재의 메일에서 ‘카사 데 소로’라는 파일을 발견했다. 파일을 열어본 강태우가 윤희주를 찾아가 ‘그 놈 잡자고 한 것 아직도 유효하냐’ ‘재단 스캔들 레온이 공격한거다’라고 얘기하자 윤희주가 경악하는 장면이 그려져 긴장감을 끌어올렸다.

KBS 2TV 수목드라마 ‘99억의 여자’는 우연히 현금99억을 손에 쥔 여자가 세상과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 27회, 28회는 오늘(16일) 밤 10시에 방송된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신한은행, 디지털 금융교육 어시스턴트 2기 발대식 개최 신한은행(은행장 정상혁)은 지난 3일 인천광역시 남동구 소재 ‘신한 학이재 인천’에서 ‘디지털 금융교육 어시스턴트’ 2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디지털 금융교육 어시스턴트’는 신한은행이 인천대학교 금융소비자보호연구소와 함께 금융권 디지털 포용문화를 선도하기 위해 선발한 인천대학교 재학생 15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올해 말까지 인천광역시청, 인천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등 지역 유관기관과 연계해 지역사회공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디지털 금융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에 선발된 2기는 시니어 디지털 역량강화를 목표로 ▲무인점포 및 모바일 금융 앱 활용을 위한 디지털 금융교육 ▲전기통신금융사기 예방 교육 ▲지역사회 디지털배움터 ‘보조강사’ 역할 등을 담당한다. 특히 신한은행 직원들과 함께 고령층을 위한 맞춤형 교육 콘텐츠도 공동 개발한다. 주요 내용은 ▲‘신한 SOL뱅크’ 앱 사용법 ▲‘지켜요’를 활용한 보이스피싱 예방법 ▲금융감독원의 ‘안심차단서비스’ 이용법 등으로 구성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인천대학교 학생들과 함께 디지털 금융 소외계층 교육활동에 참여하면서 금융소비자보호 활동의 중요성을 공유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하겠다”며 “누구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금융서비스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