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하마드 다스트바즈 교수, MLA 칼리지 CEO로 임명

MLA 칼리지 이사회(MLA College Board)는 모하마드 다스트바즈(Mohammad Dastbaz) 교수를 새로운 최고경영자(CEO) 겸 총장으로 임명했다고 발표했다.

 

 

다스트바즈 교수는 서퍽대학교에서 부총장직을 역임한 후 MLA 칼리지에 합류했다. 고등 교육 리더십 분야에서 탁월한 경력을 쌓은 그는 학문적 혁신, 디지털 학습, 국제화를 발전시키는 데 있어 풍부한 경험과 강력한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그의 전공 분야는 컴퓨팅이며,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설계, 개발 및 평가 분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또한, 영국 컴퓨터 학회(Chartered Institute for IT)의 펠로우이며, 커리어 전반에 걸쳐 기술, 지속 가능성 및 교육의 통합에 대한 열정을 꾸준히 보여 왔다. 서퍽대학교에서 근무하기 전에는 이스트 런던 대학교의 컴퓨팅•정보기술•공학부 학장으로 재직했으며, 이후 리즈베켓대학교의 학장 겸 부총장을 지냈다.

 

다스트바즈 교수는 임명에 대해 다음과 같이 소감을 밝혔다.

 

"이처럼 흥미로운 시기에 MLA 칼리지라는 특별하고 명망 있는 고등교육기관에 합류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 MLA는 유엔 훈련연구소(UNITAR) 및 런던 CIFAL 센터(CIFAL City of London)의 핵심 파트너로서, 특히 해양 및 환경 지속가능성 분야에서 교육 혁신으로 높은 명성을 얻고 있다. 교직원, 학생, 파트너들과 함께 그 명성을 더욱 강화하고, MLA 칼리지를 다음 단계로 이끌어 가기를 기대한다."

 

다스트바즈 교수는 학문적 리더십 외에도 왕성한 저술 활동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저서들은 지속 가능한 혁신에 대한 그의 헌신을 반영하며, '그린 정보기술: 지속 가능한 접근 방식(Green Information Technology: A Sustainable Approach)', '4차 산업혁명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공학(Industry 4.0 and Engineering for a Sustainable Future)', '스마트한 미래를 위한 기술(Technology for Smart Futures)', '도시화의 도전 과제(Challenges of Urbanisation)', '사회적 지속가능성(Social Sustainability)' 등을 저술했다.

 

MLA 칼리지의 학장이자 영국공학위원회(UK Engineering Council)의 의장인 존 처들리(John Chudley) 교수는 다음과 같이 따뜻한 환영의 말을 전했다.

 

"다스트바즈 교수의 임명은 MLA 칼리지의 발전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그의 리더십 경험과 학문적 비전은 우리의 미래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특히 우리가 대학교 승격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그 역할이 더욱 클 것이다. 개인적으로도 그를 환영하게 되어 매우 기쁘고, 그가 우리 커뮤니티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MLA 칼리지 이사회의 크리스 건트(Chris Gaunt, OBE 훈장 수훈자) 의장은 다음과 같은 전략적 관점을 덧붙였다.

 

"이사회를 대표하여 다스트바즈 교수를 MLA 칼리지에 맞이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 교육, 혁신 및 지속 가능성에 대한 그의 폭넓은 전문성은 우리의 장기적인 목표와 완벽하게 일치한다. 그의 리더십이 앞으로의 새로운 여정을 명확하고 목적 있게 이끌어줄 것이라 확신한다."

 

이번 임명을 통해 MLA 칼리지는 혁신, 지속가능성, 학문적 우수성에 대한 의지를 다시 한번 강화하며, 전 세계 학습자들에게 높은 수준의 유연한 교육을 제공하고자 하는 사명을 지속해 나가고자 한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대우건설, 투르크메니스탄 국영화학공사와 미네랄비료플랜트 사업 기본합의서 체결 대우건설(대표이사 김보현)은 18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투르크메니스탄 국영화학공사와 미네랄비료 플랜트 건설 사업에 대한 기본합의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본합의서 체결은 지난 4월 16일 바이무라트 안나맘메도프(Baymyrat Annamammedov) 투르크메니스탄 건설·산업부총리의 방한을 계기로 체결되었으며, 이를 통해 대우건설은 지난해 10월 낙찰자로 통보받은 투르크메나밧 미네랄비료 플랜트 프로젝트 본계약 체결에 한 걸음 더 나아가게 되었다. 이 날 기본합의서 체결식에는 김보현 대우건설 사장, 도브란겔디 사파예프 (Dovrangeldi Sapbayev) 투르크메니스탄 국영화학공사 회장이 합의서에 서명했으며,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바이무라트 안나맘메도프(Baymyrat Annamammedov) 투르크메니스탄 건설·산업부총리가 함께하여 자리를 빛냈다. 투르크메나밧 미네랄비료공장 프로젝트는 투르크메니스탄의 수도 아슈하바트 동쪽으로 약 450㎞ 떨어져 있는 제 2의 도시 투르크메나밧에 위치한 비료공장 건설 프로젝트로 연산 35만 톤의 인산비료, 황산암모늄 연산 10만톤의 생산설비 및 부대시설을 건설하는 공사이다. 이번 기본합의서 체결에 앞서 바이무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