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리소코리아, 친환경 디지털 스크린 제판기 GOCCOPRO 시리즈 중 다목적 전문가용 모델 ‘QS200’ 출시

 

[이슈투데이=김윤겸 기자] 디지털 인쇄기 전문기업 리소코리아는 친환경 디지털 스크린 제판기 'GOCCOPRO 시리즈'의 다목적 전문가용 모델 'QS200'을 선보여 고객들의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리소는 2019년 산업용/전문가용 'QS2536' 모델과 보급형 '100' 모델로 구성된 'GOCCOPRO 시리즈'를 출시한 데 이어 고급형 모델인 'QS2536'보다 진입장벽을 낮춘 다목적 전문가용 모델 'QS200'을 선보이고 있다.

'GOCCOPRO 시리즈'는 'Get out of the Dark'라는 콘셉트 아래 전통적인 스크린 인쇄 제판의 번거로운 과정을 자동화한 친환경 디지털 스크린 제판기로, 초보자도 손쉽게 작업이 가능하며 작업효율성과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기존 전통적인 스크린 인쇄 방식은 디자인 도안, 포지티브 필름 출력, 프레임에 실크망사 견착, 실크망에 유제 도포, 유제 도포된 망 건조, 실크망 노광 공정, 노광된 망 물세척, 완성된 스크린망 건조, 스크린망 완성, 인쇄준비라는 9단계의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이에 반해 'GOCCOPRO 시리즈'는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4단계로 디지털화해 디자인 도안 후 파일을 기기로 전송하기만 하면 바로 스크린망을 출력할 수 있고 프레임에 견착 후에 인쇄할 수 있다. 최종사용자는 이렇게 제작된 디지털망을 셔츠, 에코백 등에 올려놓고 원하는 색상을 도포하여 건조시켜 자신만의 굿즈를 완성할 수 있다. 특수 전기처리를 추가하면 스테인레스에도 인쇄가 가능하다.

특히 'GOCCOPRO 시리즈'의 핵심 기술인 '리소 드라이 감열 제판 시스템'은 컴퓨터에서 전송된 원고 데이터를 써멀헤드의 열로 마스터에 구멍을 뚫는 방식이다. 이에 초보자도 쉽고 간편하게 제판할 수 있으며 유제와 물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또한 감광에 필요한 암실과 세척을 위한 배수 시설이 필요 없어 제한된 공간에서도 실크스크린 제판이 가능하다.

'QS200'은 최대 420mmX620mm의 A2와이드 사이즈를 600dpi의 고해상도로 제판할 수 있다. 하프톤 처리가 가능하며 다색 인쇄 시에도 정밀한 위치 조정이 가능해 특히 티셔츠 인쇄에 적합하다. 또한 감열지에도 제판이 가능해 디자인 시안 확인 시에 매우 유용하며 필요한 부분만큼만 제판할 수 있는 '원 포인트 제판'이 가능해 메쉬를 낭비하지 않으면서 경제적으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QS200'은 A4사이즈 기준 단 2분이면 제판이 완료되고, 바로 인쇄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납기를 단축할 수 있다.

'QS200'은 판교 본사에 마련된 'GOCCOPRO' 쇼룸에서 직접 제품을 체험해 볼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사항은 고객센터로 연락하면 된다.


미디어

더보기
대우건설 정원주 회장, 투르크메니스탄 방문 현지 시장 확대 및 사업 다각화 추진 대우건설은 지난 6월 26일부터 30일까지 정원주 회장이 투르크메니스탄을 방문해 국가최고지도자, 대통령, 각 부처 부총리 등 고위급 인사를 예방하고 현지 사업 확대와 협력 강화를 위한 현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지난 28일 투르크메니스탄 수도 아쉬하바트에서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Gurbanguly Berdimuhamedov) 투르크메니스탄 국가최고지도자 겸 인민이사회 의장 및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Serdar Berdimuhamedov)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을 잇달아 예방한 정원주 회장은 “지난 투르크메나밧 미네랄 비료공장 건설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해주신 점에 대해 감사드리며 성공적인 수행을 약속드리겠다”며, “대우건설은 모든 건설 분야에서 글로벌 실적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투르크메니스탄에서 계획하고 있는 신규 가스전 개발 사업 및 석유화학 플랜트 사업을 비롯해 철도, 지하철, 초고층 빌딩 등 다양한 사업 참여를 통해 경제발전과 양국간 협력에 앞장서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날인 27일 정원주 회장은 바이무랏 안나맘메도브(Bymyrat Annamammedov) 건설/전력/생산담당 부총리와 만나 국영화학공사가 추진하는 신규 석유화학 플랜트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