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한국과학기술원, 네이처모빌리티와 미래 모빌리티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식 진행

 

[이슈투데이=김윤겸 기자] 20일 한국과학기술원과 AI 전문 액셀러레이터 코맥스벤처러스가 육성하는 네이처모빌리티는 MaaS와 MOD이라는 공통의 관심과 연구과제를 위해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고 밝혔다.

MaaS 개념은 교통 운송 분야에서 혁신적인 개념으로 대두되고 스마트폰의 보급과 ICT 기술의 발전, 자율주행 서비스 출현의 기대와 함께 더욱 주목받고 있다. 모든 교통수단이 통합되고 자율주행이 더해지며 이에 결제가 간편해진다면 새로운 교통의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관련 업계는 예측하고 있다. MOD는 수요응답형 택시, 퍼스널모빌리티가 대표적인 예로, 정해진 노선없이 승객이 호출하면 실시간으로 가장 빠른 경로가 생성되고 배차가 이루어지는 서비스를 뜻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무인 자율주행 버스 서비스가 가능해지면서 서비스 범위 확대 가능성에 대해 주목받고 있다. 이는 무인 자율주행 차량이 온전히 대중교통 역할을 다할 수 있을지에 따라 향후 각광받는 기술이 될 가능성이 높다.

세계는 도시화가 진행되며 공해와 교통혼잡이라는 불편이 심각한 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 극대화된 이동수단 서비스가 가능하다면 현재 운용되는 자동차의 3%만으로도 충분히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도 존재한다. 이산화탄소 배출의 37%정도를 감소하고 공공 주차공간의 95%를 다른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이러한 기대와 예측으로 MaaS와 MOD의 상용화는 각 국가, 도시의 중요한 연구과제이며 기업의 관심도 높은 분야 중 하나이다.

이러한 부분에서 KAIST와 네이처모빌리티는 제주도에 대해 전기차의 이용과 퍼스널모빌리티 서비스 활용도를 높이기 좋은 지역이라는 인식과 상호 이해관계를 바탕으로 연구개발을 진행해나가기 위한 업무 협약을 진행하였다. 제주도 지역에서 나아가 한국형 MaaS의 상용화를 위해 각각의 교통 인프라를 통합할 수 있는 시스템의 마련을 기대해본다.


미디어

더보기
대우건설 정원주 회장, 투르크메니스탄 방문 현지 시장 확대 및 사업 다각화 추진 대우건설은 지난 6월 26일부터 30일까지 정원주 회장이 투르크메니스탄을 방문해 국가최고지도자, 대통령, 각 부처 부총리 등 고위급 인사를 예방하고 현지 사업 확대와 협력 강화를 위한 현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지난 28일 투르크메니스탄 수도 아쉬하바트에서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Gurbanguly Berdimuhamedov) 투르크메니스탄 국가최고지도자 겸 인민이사회 의장 및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Serdar Berdimuhamedov)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을 잇달아 예방한 정원주 회장은 “지난 투르크메나밧 미네랄 비료공장 건설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해주신 점에 대해 감사드리며 성공적인 수행을 약속드리겠다”며, “대우건설은 모든 건설 분야에서 글로벌 실적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투르크메니스탄에서 계획하고 있는 신규 가스전 개발 사업 및 석유화학 플랜트 사업을 비롯해 철도, 지하철, 초고층 빌딩 등 다양한 사업 참여를 통해 경제발전과 양국간 협력에 앞장서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전날인 27일 정원주 회장은 바이무랏 안나맘메도브(Bymyrat Annamammedov) 건설/전력/생산담당 부총리와 만나 국영화학공사가 추진하는 신규 석유화학 플랜트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