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V, ‘2021 LoL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결승전 스크린X 생중계

 

[이슈투데이=김호겸 기자] 확 달라진 '2021 LoL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이번 결승전도 3면 스크린으로 재미있게 관람하세요!

CGV가 오는 10일 오후 5시에 열리는 담원 기아와 젠지의 '2021 LoL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이하 '2021 LCK 스프링') 결승전 경기를 전국 38개 스크린X관에서 생중계한다. CGV의 다면상영특별관 스크린X를 통해 정면 스크린에는 메인 중계 화면을, 좌, 우 스크린에는 미니 맵과 스탯 데이터를 각각 보여줌으로써 관객들이 최적의 관람 환경에서 경기를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1월 13일에 시작한 2021 LCK 스프링은 오는 10일 진행되는 결승전을 마지막으로 스플릿이 최종 마무리된다. 담원 기아와 젠지는 앞서 열린 올해 정규 리그 두 번의 맞대결에서 1승 1패씩을 주고 받으며 팽팽한 승부를 이어왔다. 이번 시즌 최후의 승자를 가리는 결승전에서 다시 만난 두 팀 중 과연 어떤 팀이 우승 상금 총 2억원과 함께 5월 아이슬란드에서 열리는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LCK 대표 출전권을 거머쥐게 될지 e스포츠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치열한 승부가 예상되는 2021 LCK 스프링 결승전 생중계의 티켓 가격은 2만원이며, CGV영등포, 춘천, 대전, 대구월성, 광주터미널, 전주고사, 울산삼산, 센텀시티 등 전국 38개 스크린X 상영관에서 만나볼 수 있다. 또한, 생중계 관람객에게 열띤 응원을 펼칠 수 있도록 선착순으로 응원봉을 제공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 확인과 예매는 CGV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에서 가능하다.

CJ CGV ICECON 콘텐츠사업팀장은 '지난해 10월 진행된 LoL 월드 챔피언십 결승전의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에 따른 좌석간 띄어 앉기를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매진을 기록할 정도로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며 '보는 즐거움을 넘어 응원하는 즐거움도 만끽할 수 있도록 응원봉을 제공하는 등 CGV 스크린X만의 특별한 관람 문화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League of Legends'은 5명의 강력한 챔피언으로 구성된 양 팀이 서로의 기지를 파괴하기 위해 치열한 사투를 벌이는 전략 게임이다. CGV는 지난해 10월 진행된 '2020 LoL 월드 챔피언십'을 비롯해 '2020 LCK 서머', '2020 미드 시즌 컵' 등을 생중계해 생동감 넘치는 관람 경험을 선사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미디어

더보기
포스코이앤씨, 혹서기 온열질환 예방 총력…경영층 주도 특별 안전 점검 실시 포스코이앤씨가 폭염과 장마철을 앞두고 전국 현장에서 현장 근로자들의 안전의식 함양과 잠재적 위험 요소 예방을 위한 혹서기 대응 활동을 전개하고 경영층이 직접 참여하는 특별 안전 점검을 실시하는 등 안전 경영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먼저, 포스코이앤씨는 안전보건센터 내 ‘혹서기 비상대응반’을 구성해 실시간 안전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현장별 온열질환 예방 시설 구축 상태를 점검했다. 그리고 전국 현장의 일일 단위 기상 모니터링을 통한 폭염 단계별 작업 주의 사항을 안내하고 휴식 시간을 운영해 오고 있다. 현장별로 폭염을 대비한 충분한 수량의 보냉 장구와 휴게시설도 확보하고 있다. 2023년부터 도입한 친환경 휴게시설을 현장에 설치했고, 휴게시설 설치가 어려운 현장에는 버스를 이용한 ‘찾아가는 이동 쿨 쉼터’를 활용해 근로자들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매주 근로자들의 혈압·혈관 건강을 측정해 건강상담을 진행하는 ‘능동 건강관리 프로세스’를 운영해 근로자들의 건강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고, 고위험군 근로자는 매일 혈압, 체온, 혈관 관리 체크 등을 실시해 집중 관리하고 있다. 온열질환 예방교육과 작업 거부권 안내도 병행해 근로자들의 건강

LIFE

더보기
BNK 부산은행, ‘모바일 동백패스’ 7월1일 전면 시행 BNK부산은행(은행장 방성빈)은 동백패스 이용 편의성 증대 및 활성화를 위해 오는 7월 1일부터 ‘모바일 동백패스’ 서비스를 본격 시행한다고 26일 밝혔다. 기존 동백전 후불교통카드 기반의 동백패스 서비스는 반드시 실물카드를 소지해야만 사용할 수 있었다. 이번 모바일 동백패스 서비스 도입으로, 삼성월렛에 부산은행 동백전 후불체크카드를 등록하면 실물카드 없이도 간편하게 교통카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고객은 6월 중 동백전앱(App)을 통해 카드 발급 및 동백패스 가입, 환급 적용카드 등록 또는 변경을 완료하면 7월부터 모바일 동백패스 혜택이 정상 적용된다. 단, 실물카드 또는 삼성월렛에 등록된 모바일카드는 각각 별도의 결제 수단으로 인식되며, 두 카드 중 이용 실적이 높은 카드 1개만 동백패스 실적으로 인정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부산은행 이주형 디지털금융그룹장은 “이번 모바일 동백패스 서비스가 부산 시민의 대중교통 이용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만들어 줄 것으로 기대된다”며 “부산 대표 지역화폐 동백전 사업자로서 시민의 일상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유용한 지역화폐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