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스포츠

연예가중계 ‘한국판 개츠비’ CEO 승리, 싱가포르 출장 퇴근길 전격 공개! 유창한 영어실력에 깜짝!

‘한국판 개츠비’ CEO 승리, 싱가포르 출장 퇴근길 전격 공개! 유창한 영어실력에 깜짝!

(이슈투데이) 14일 밤 10시 10분에 방송되는 KBS2 생방송 "연예가중계"에서는 ‘신스틸러’ 라미란, 박희순, 김성균부터 ‘연기장인’ 김갑수와 ‘승츠비’ 빅뱅 승리까지 화려한 라인업을 만나볼 수 있다.

먼저 애니메이션 "점박이 한반도의 공룡2 : 새로운 낙원"의 더빙을 맡은 충무로의 대세 배우 라미란, 박희순, 김성균과 함께 한다. 그들은 “셋이 한 자리에 모인 건 처음”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환상의 케미를 자랑하며 예능감을 발휘했다고 해 관심을 끈다. 특히 라미란은 그녀가 대학시절 학구파였다는 동창의 제보에 “사실 무근, 과장된 사실이다”라고 단호히 부정해 웃음을 자아냈는가 하면, 박희순은 자신만의 낙원으로 ‘우리 집 화장실’을 꼽아 궁금증을 유발했다고. 또한 김성균은 출연하고 싶은 예능을 묻는 질문에 "나는 자연인이다"의 자연인으로 출연하고 싶다고 밝혀 현장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다는 후문이 있다.

이어서 본격 심리 밀당 인터뷰 ‘베테랑’에서는 김갑수를 만나본다. 소름끼치는 연기력뿐만 아니라 폭발적 예능감까지 겸비한 배우 김갑수는 ‘사망 전문 배우’, ‘단명 전문 배우’라는 수식어와 관련된 에피소드를 공개했다고 전해져 기대를 모은다. 특히 2010년에는 세 작품에서 연이어 사망했을 뿐만 아니라, 드라마 ‘즐거운 나의 집’에서는 등장 1분 20초 만에 사망해 최단기간 사망기록 갱신했다는데! 그는 자신의 죽음이 극의 흐름을 바꿀 만큼 임팩트가 있다면 죽는 역할이라도 개의치 않는다고 밝혀 감탄을 자아냈다는 후문이 들려온다. 또한 영화 "태백산맥"에 함께 출연했던 신현준과의 친분을 자랑하다 MC에게 한마디 해달라는 부탁에 휘둥그레진 눈으로 “현준이가 MC야?”라고 말해 현장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다고 한다. 신현준은 9년째 연예가중계를 진행 중이다.


스타의 퇴근길 ‘같이 퇴근할래요?’에서는 ‘영 앤 리치, 큐트 앤 핸섬’의 대명사이자 ‘한국판 개츠비’ 승리의 퇴근길을 밀착 취재, 리얼 퇴근길을 전격 공개한다. ‘글로벌 CEO’답게 사업차 싱가포르를 방문한 승리의 유창한 영어 실력과 사업 철학을 엿볼 수 있을 예정. 그는 최근 인기를 가장 실감한 순간이 식당에서 깍두기로 빙수를 쌓아줄 때였다고 밝혀 현장을 폭소케 했는가 하면, 빅뱅에서의 포지션을 묻는 질문에 자신은 ‘병풍’이라고 대답해 웃음과 궁금증을 자아냈다. 뿐만 아니라 승리의 개인기 하면 빠질 수 없는 ‘양싸’ 양현석의 성대모사를 선보이기도 했다고 한다.



충무로와 가요계의 대세 스타들이 총출동하는 생방송 "연예가중계"는 12월 14일 밤 10시 10분, KBS 2TV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