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스포츠

죽어도 좋아, 강지환, 악덕상사의 진정한 개과천선!

악덕상사는 이제 없다! 강지환의 눈물겨운 참회가 준 뜨거운 울림!

(이슈투데이) 지난 19일 방송된 KBS 2TV 수목드라마 ‘죽어도 좋아’ 25, 26회에서는 백진상(강지환 분)이 과거 자신의 부하 직원이었던 김현정(김사희 분)의 상처를 깨닫고 폭풍 오열했다. ‘악덕’으로 둘째가라면 서러웠던 그의 진정한 개과천선은 시청자들까지 울컥하게 만들었다.




이루다(백진희 분)의 충격적인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한 백진상은 죽은 그녀를 살려낼 방법이 시간을 되돌리는 ‘타임루프’밖에 없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타임루프는 진작에 소멸됐던 터, 실낱같은 희망을 안고 이를 소환하기 위해 죽기를 자처했지만 결국 실패했다.




그럼에도 포기하지 않은 백진상은 타임루프에 숨겨진 공식이 있을 것이라 확신하며 고군분투 했고, 김현정이 화재 사고를 당했던 날이 타임루프가 처음 시작됐던 11월 7일이었다는 예상치 못한 실마리를 잡으며 시청자들의 심장까지 쫄깃하게 만들었다.




백진상은 “내가 모든 일의 시발점이었으니까 사과해야 해요”라며 자신의 잘못을 빌기 위해 김현정을 찾아갔고, 자신 때문에 상처를 받았던 그녀의 속마음이 담긴 일기장을 보며 큰 충격에 휩싸였다.




심지어 ‘죽어버려’라고 적힌 저주의 문구까지 발견, 이로 인해 타임루프가 시작됐음을 직감한 백진상은 죄스러운 마음에 폭풍 오열했다. “너희가 무사히 살아있는 그때로 되돌아갈 수만 있다면... 그럴 수만 있다면... 내가 죽어도 좋아”라던 그의 진심 어린 한마디는 유아독존이었던 백진상이 다른 누군가도 소중히 여기게 된 인간적인 변화를 여실히 나타내 안방극장의 눈시울을 붉히게 했다.




이 눈물겨운 참회는 결국 새로운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병원에서 나오던 길에 어린 아이를 구하다 교통사고를 당한 백진상에 의해 타임루프가 처음 벌어졌던 11월 7일로 되돌아가게 됐고 죽었던 이루다가 다시 살아나게 되며 안방극장이 충격과 짜릿함으로 물들었다.




이렇듯 백진상은 악덕상사 시절 벌였던 자신의 과오를 모두 뉘우치며 유시백(박솔미 분)을 비롯해 피해를 받은 이들을 찾아가 진심으로 용서를 빌었다. 그의 진정한 반성과 후회는 안방극장의 가슴을 뜨겁게 달구며 감동적인 울림을 선물했다.




한편, 방송말미 타임루프가 처음으로 시작됐던 ‘11월 7일’로 돌아가게 되면서 과연 이루다가 지금까지 벌어졌던 일들을 모두 기억하고 백진상과 눈물겨운(?) 재회를 하게 될지 오늘(20일) 스토리에 대한 시청자들의 궁금증이 폭주하고 있다.




강지환의 눈물 어린 참회로 새로운 파장을 맞이하게 된 KBS 2TV ‘죽어도 좋아’는 20일 밤 10시 방송된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