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스포츠

복수가 돌아왔다, 유승호-조보아, 오.늘.도. 심쿵 저격‘공원 벤치 투 샷’포착!

“‘복수돌 커플’ 크리스마스의 기적 일어날까?”

(이슈투데이) SBS ‘복수가 돌아왔다’ 유승호와 조보아가 애틋함이 폭발하는 ‘공원 벤치 투 샷’을 선보인다.

유승호과 조보아는 SBS 월화드라마 ‘복수가 돌아왔다’(이하 ‘복수돌’)에서 각각 ‘이슈 남’이 된 후 복수를 위해 9년 만에 설송고로 돌아온 강복수 역을, 강복수의 첫사랑이자 이제 막 설송고 정규직 교사가 된 손수정 역을 맡았다. 오해로 점철된 9년 전 첫 사랑 커플의 달콤쌉쌀한 케미를 발산하며 시청자들을 끌어당기고 있다.

무엇보다 지난 9, 10회 방송분에서 복수는 세호의 책상에서 수정을 그린 그림을 발견한데 이어 수정과 세호가 다정하게 있는 모습까지 보게 된 후 질투심이 폭발한 상황. 하지만 수정은 체육관에서 부러진 죽도로 세호의 목을 겨누고 있는 복수를 발견하자 복수가 또 사고를 친 걸로 오해하고 화를 냈다. 결국 수정에게 복수가 왜 9년 전에도 지금도 자신에게 묻지 않냐며 눈물을 글썽이면서, 앞으로 두 사람이 오해를 풀고 첫사랑을 이어갈 수 있을지 기대를 높였다.

이와 관련 유승호와 조보아가 어둠이 깔린 공원에서 둘 만의 대화를 나누고 있는 모습이 포착돼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극중 가로등 불빛이 아련함을 더하는 공원에서 만난 복수와 수정이 벤치 두 개에 떨어져 앉아 있는 장면. 수정과 대화를 나누던 복수가 눈물을 글썽이는 반면, 수정은 복수를 쳐다보지 않은 채 앞을 응시하며 담담하고 차분한 표정을 이어간다. 서로에 대한 오해를 풀지 못했던 두 사람이 과연 단둘이서 갖게 된 시간에 어떤 대화를 나누게 될지, 그동안 쌓여있던 오해를 풀 수 있을지 궁금증을 유발하고 있다.

유승호와 조보아가 감정을 폭발시키는 ‘공원 벤치 투 샷’ 장면은 지난 19일 SBS일산 제작 센터에서 촬영됐다. 이날 장면이 기온이 떨어지는 어둑한 밤에 이뤄져야했던 만큼 조보아는 추위에 맞설, 귀여운 손난로 인형을 준비해오는 등 만반의 준비를 했던 상태. 유승호와 조보아는 나란히 손난로 인형에 손을 넣고 추위를 피하는 극중 ‘복수돌 커플’ 다운 다정한 케미를 드리웠다. 이어 두 사람은 한 손은 손난로 인형에, 다른 한손은 대본을 들고 대사를 맞춰보는 등 불철주야 열정을 불태우는 모습으로 현장의 열기를 높였다.

제작진 측은 “유승호와 조보아는 스토리상 달달한 과거와 서로를 오해하고 미워하는 현재까지, 극과 극 분위기 오고가는 롤러코스터 감정 연기를 자유자재로 소화하며 극의 완성도를 높이고 있다”며 “9년 전 오해로 얽혔던 복수와 수정의 첫 사랑이 다시 이어질 수 있을지 기대해 달라”고 전했다.

한편, SBS 월화드라마 ‘복수가 돌아왔다’는 학교 폭력 가해자로 몰려 퇴학을 당한 후 인생이 꼬인 강복수가 어른이 돼 복수를 하겠다면서 다시 학교로 돌아가지만, 복수는커녕 또다시 예기치 않게 사건에 휘말리는 ‘엉따 감성 로맨스’이다. 11, 12회 방송분은 지난 25일 방송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