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소비자 94.2% 한식에 ‘만족’… 동남아시아 한식 취식 빈도 1위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한식진흥원의 '2022 해외 한식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한식 취식 경험자 중 한식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외국인의 94.2%가 한식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륙별 한식 인지도와 취식 빈도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식진흥원은 외국인들의 한식 소비 행태와 트렌드 분석을 위해 지난해 9~10월 해외 18개 도시에 거주하는 현지인 9000명을 대상으로 '해외 한식 소비자 조사'를 실시했다. 세계 속 한식 인지도부터 한식의 연상 이미지, 최선호 한식 메뉴 등 한식에 대한 외국인들의 생각을 들여다보자. 

 

◇ 전체 평균 절반 이상이 한식에 대해 인지, 인터넷 통해 한식 정보 습득 

 

이번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7.6%가 한식에 대해 잘 알고 있다고 답했다. 대륙별 인지도는 동남아시아가 77.9%로 가장 높았으며, 동북아시아(67.7%), 북미(54.1%), 오세아니아,중남미,중동(45.0%), 유럽(37.5%) 순으로 나타났다. 

 

한식 관련 정보를 습득한 경로는 인터넷 매체가 83.7%로 가장 높았고, 오프라인 매체(47.6%), 미디어 매체(41.6%)가 뒤를 이었다. 특히 동남아시아의 경우 응답자의 대다수(91.1%)가 인터넷을 통해 한식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고 답했다. 

 

◇ 동남아시아, 한식 인지도에 이어 한식 취식 빈도도 가장 높아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68.5%가 1년 이내 한식을 먹어본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식 빈도는 1개월에 1번 정도(24.3%)가 가장 많았다. 1년 내 한식을 먹어본 적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동남아시아(88.3%), 동북아시아(81.2%), 북미(64.5%), 오세아니아,중남미,중동(52.3%), 유럽(50.8%) 순으로 많았다. 동남아시아는 한식 인지도뿐만 아니라 취식 빈도도 가장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다. 

 

◇ 한식 연상 메뉴 1위는 '김치', 가장 좋아하는 한식 메뉴 1위는 '한국식 치킨' 

 

'한식'하면 떠오르는 메뉴에는 '김치'가 38.3%로 1위를 차지했다. '비빔밥'은 15.3%로 2위, '불고기'는 14.8%로 3위로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한식 취식 경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가장 좋아하는 한식 메뉴에는 '한국식 치킨'이 16.2%로 1위에 올랐으며 김치(12.5%), 비빔밥(12.2%)이 뒤를 이었다. 

 

외국인들이 생각하는 한식의 이미지는 어떨까? 한식의 기능적인 이미지를 묻는 질문에는 '풍미가 있는(33.3%)', '청결한/위생적인(27.8%)', '가격이 합리적인(27.4%)'이 상위를 차지했다. 그 외에는 '먹기 편한(27.3%)', '다양한 메뉴(26.3%)', '채소 위주의(26.1%)'가 있었다. 한식의 감성적 이미지에 대해서는 '누구나 먹을 수 있는(26.8%)', '나에게 잘 어울리는(26.2%)', '색다른 이색적인(25.7%)'이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그 밖에 '전통 있는(24.9%)', '시각적으로 보기 좋은(24.2%)' 등의 응답이 고른 분포를 보였다. 

 

◇ 해외 소비자의 94.2% 한식에 만족, 한국식 치킨 선호도 1위 

 

이번 조사에서 외국인들의 한식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식 취식 경험자 중 한식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의 94.2%가 한식에 대해 만족한다고 답했다. 향후 먹고 싶은 한식으로는 한국식 치킨(11.8%)이 1위에 올랐으며 비빔밥(7.0%), 김치(5.3%)가 뒤따랐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