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스포츠

전현무, ‘찐친’ 추적 예능 '서치미' 출격! 이은지X곽범X손동표, MZ 저격수 패널 완성!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대세 MC 전현무가 U+모바일tv 새 오리지널 예능 프로그램 '서치미'로 시청자와 만난다. 

 

오는 13일 0시 U+모바일tv와 16일 밤 9시 45분 KBS 2TV에서 첫 공개 예정인 '서치미'는 플레이어(주인공)가 '진짜 지인'과 지인을 완벽하게 흉내내는 '시치미단' 패널 사이에서 '진짜 지인'을 추리하는 예능이다. 특히 이 추리 과정에서 플레이어는 돌발 미션을 수행하고, 몰래 카메라 상황에 놓이기도 하는 '시추에이션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이다. 진짜 지인을 찾으려는 스튜디오 밖 플레이어와 상금을 뺏으려는 스튜디오 안 '시치미단'은 코믹한 상황에서 숨막히는 언택트 대결을 펼치게 된다. 

 

신이 내린 순발력과 센스를 가진 전현무는 '서치미'에서 메인 MC이자 '마스터 무'로 출격, 돌발상황이 쏟아지는 쫄깃한 현장을 유쾌하게 이끈다. 전현무는 스튜디오 상황실에서 외부에 있는 플레이어를 지켜보며 각종 미션을 제시한다. 진짜 지인을 찾아 나선 플레이어에게 시시각각 엉뚱하고 재밌는 돌발상황으로 함정을 파고, 깜짝 미션으로 덫을 놓으며 스튜디오 안팎의 큰 웃음을 터뜨릴 예정이다. 

 

플레이어가 상금을 사수하기 위해 미션을 수행하며 고군분투하고, 황당한 상황극을 헤쳐 나가며 보여주는 색다른 모습은 시추에이션 리얼리티만의 예측 불가능한 재미 포인트를 제대로 생성하며 저항 없이 터지는 웃음을 선사할 예정이다. 

 

전현무와 스튜디오에서 함께하며 플레이어를 속이는 '시치미단'으로는 국가대표급 텐션을 자랑하는 MZ세대 대표주자 이은지X곽범X손동표가 출연한다. 플레이어의 '진짜 지인'을 철저히 학습한 '시치미단'은 플레이어에게 혼선을 주고 나아가 플레이어의 마음까지 얻어내 상금까지 획득하려고 한다. 이렇게 험난한 '진짜'를 찾는 과정에서 플레이어와 '진짜 지인'만의 진솔한 이야기와 서로를 향한 우정까지 자연스럽게 엿볼 수 있는 점도 놓칠 수 없는 관전 포인트다. 

 

'서치미'와 MC 그리고 패널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메인 단체 포스터도 공개됐다. 공개된 포스터는 '서치미' 주인공과 스튜디오를 연결하는 메신저 창과 중계 화면 이미지로 채워져 있다. 화면을 가득 채운 즐거운 표정의 MC 전현무를 비롯해 저마다 의미심장한 표정을 짓고 있는 '시치미단' 이은지X곽범X손동표의 모습이 담겼다. '서치 미 이프 유 캔' 카피를 중심으로 '나를 찾아봐', '너 누구야', '내가 진짜야' 등 'Unknown'들의 메시지들은 벌써 '플레이어'의 '찐친' 추적 프로젝트에 대한 몰입감을 높인다.  

 

'서치미'에 도전하는 플레이어들이 '마스터 무'와 '시치미단'의 완벽한 연기와 방해공작 속에서도 진짜 지인을 가려내 우정과 상금을 모두 지킬 수 있을지 주목되는 추리 리얼리티 예능 '서치미'는 13일(월) 0시 U+모바일tv에서 첫 공개 후 KBS 2TV를 통해 16일(목) 밤 9시 45분 첫 방송된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