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스포츠

보이넥스트도어, 새 정규 예능 공개…풋풋한 ‘새싹 신인’의 자아탐구 시작

‘WHAT? DOOR!’ 1화서 팀 정체성 탐구, 흥미진진 열쇠 찾기 게임 이어져
“새 예능은 원도어가 보이넥스트도어를 알아 갈 수 있는 콘텐츠” 기대 피력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그룹 보이넥스트도어(BOYNEXTDOOR)가 신규 자체 콘텐츠에서 신인다운 풋풋한 에너지와 진솔한 면모를 드러냈다. 

 

보이넥스트도어(성호, 리우, 명재현, 태산, 이한, 운학)는 지난 19일 오후 8시 공식 유튜브 및 글로벌 팬덤 라이프 플랫폼 위버스(Weverse) 채널에 'WHAT? DOOR!(왓도어)' 첫 화를 게재했다. 'WHAT? DOOR'는 올해 데뷔한 '새싹 신인' 보이넥스트도어가 활동하면서 갖게 된 무수한 '물음표'를 '느낌표'로 채워 가는 여정을 담은 리얼리티 기반의 콘텐츠다. 데뷔 약 7개월 만에 론칭하는 정규 예능에 티저 공개 때부터 수많은 팬들의 관심이 쏠렸다. 

 

1화에서는 정식 촬영을 앞둔 보이넥스트도어가 팀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이 그려졌다. 화실에 모인 멤버들은 하얀 캔버스에 '나 그리고 우리'의 물음표를 채워야 한다는 미션을 전달받았고, '우리도 스스로를 알아 감과 동시에 원도어(ONEDOOR.팬덤명)도 우리를 알아 갈 수 있는 (콘텐츠)'라고 말하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멤버들은 다양한 꾸미기 용품을 활용해 캔버스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이들은 원도어와 함께하는 청춘(운학), 밝은 미래를 향한 포부(태산), 빛이 되어 준 멤버들의 존재(명재현), 아직 보여 주지 않은 수많은 매력(이한), 어떤 상황에서도 청량하고 따뜻한 모습(성호), 원도어와 함께 성장하는 그룹(리우) 등을 주제로 한 그림으로 팀의 정체성과 팬들을 향한 애정을 표현했다. 

 

이어 보이넥스트도어는 장소를 옮겨 '내 자컨을 찾아라'라는 제목의 게임을 진행했다. 멤버들은 넓은 부지 곳곳에 숨겨진 열쇠 중 진짜 열쇠를 찾아 상자 10개에 담긴 힌트를 모으고, 자체 콘텐츠 제목을 맞추는 미션을 받았다. 

 

열쇠 찾기에 나선 이들은 자신을 좇는 드론 카메라를 보고 신기해하며 드론과 하이파이브를 시도하거나, '안 건드릴 것 같은 곳에 무조건 (열쇠가) 있거든요'라며 TV로 배운 예능의 법칙을 실천하는 등 풋풋한 매력을 발산했다. 

 

영상 말미에는 20분이 경과할 때마다 한 명씩 감옥에 갇히는 '히든 룰'에 따라 운학이 연행돼 향후 전개에 궁금증을 키웠다. 'WHAT? DOOR!'는 매주 화요일 오후 8시 보이넥스트도어 공식 유튜브 및 위버스 채널에서 만날 수 있다. 

 

한편, 보이넥스트도어는 오는 25일 SBS '가요대전', 31일 MBC '가요대제전'에 출연해 특별한 퍼포먼스를 펼친다. 

 

(사진-KOZ엔터테인먼트 제공)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