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포스코, 2024 STS-건축 디자인 컨퍼런스 개최

국가표준규격 미보유 제품 사용 근절 원년 선포, STS건자재기술자문위원회 출범 등 국가표준 준수 강화 노력

 

포스코가 13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한국철강협회, 한국건축가협회, 포스코A&C와 함께 2024 STS-건축 디자인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지자체, 공공기관, 설계사, 시공사 등 건설업에 종사하는 전문가와 스테인리스 제조사 임직원 등 약 2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총 5개의 강연이 진행되었다.

 

기조 강연으로 △이화여대 국형걸 교수가‘Designing the STS: 디자인을 통한 미래가치의 창출’이란 주제로 발표했고, △포스코 윤경조 차장이‘KS·GR인증 스테인리스의 올바른 사용’을 주제로 건축 설계사 및 건설업 종사자들이 알아야 할 KS인증 스테인리스의 중요성과 非규격 수입산 스테인리스 사용으로 인한 법적 책임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제4대 서울시총괄건축가 강병근 명예교수가‘서울 Next100’이란 주제로 향후 100년을 위한 서울시의 도시건축종합 계획을 소개했으며, △포스코A&C 김동근 실장은 더샵갤러리2.0에 적용된 STS 내·외장재의 특성에 대해 발표했다.

 

마지막 특별강연은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뮤지엄, 갤러리아백화점 명품관 등 세계 유수의 유명 건축물을 디자인한 네덜란드 UN스튜디오의 캐롤라인 보스 대표가 Sustainable Transformation을 주제로 컨퍼런스의 피날레를 장식했다.

 

이날 강연에 앞서 한국철강협회 스테인리스스틸클럽 이경진 회장은 국산 스테인리스 건자재의 올바른 사용에 기여한 3건을 시상했다. 

 

특히, 수상자 중 한국도로공사 도종남 수석연구원은 지난 10월 고속도로 건설재료 품질기준 제23차 개정 당시 ‘스테인레스’를 국가표준규격에 맞춰 ‘스테인리스’로 수정하고 STS304와 같이 KS인증 강종을 명확히 명시하는 등 자칫 불분명한 표기법이 비규격재 사용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날 개회를 선언한 포스코 이경진 스테인리스마케팅실장은 “환경 친화적인 GR(우수재활용제품) 인증을 받은 스테인리스가 지속 가능한 대표 건축 자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제품의 품질 향상과 관련 이용기술 개발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공동주관을 맡은 한국건축가협회 한영근 회장과 포스코A&C 김우기 사장은 “오늘 스테인리스 건축 디자인 컨퍼런스를 통해 많은 건축설계사들이 영감을 받고, 해외 유명 건축물 사례들과 같이 스테인리스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표면과 색상 질감을 활용한 디자인 설계가 더 많이 적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와 한국철강협회는 올해를 국가표준규격인 KS인증을 보유하지 않은 스테인리스 제품 사용 근절의 원년으로 선포하고, 한국철강협회 산하에 STS건자재기술자문위원회를 출범시켜 건설현장에서의 국가표준시방서 준수를 장려하는 등 KS규격 인증이 없는 스테인리스 제품의 사용 억제를 위한 활동들을 지속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삼성물산, 한남4구역 지하공간 혁신 설계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한남4구역의 지하 공간을 단순 주차장이 아닌 입주민이 소통하고 생활하는 새로운 '삶의 공간'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지하 공간의 면적 활용을 극대화하면서도 입주민에게 혁신적인 미래 주거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드라이빙 라운지 △멀티-모달 스테이션 △시그니처 로비 등 기존에는 볼 수 없었던 차별화 공간으로 구성할 계획이다. 먼저, 지하 주차장 왼쪽에 위치하는 드라이빙 라운지는 자연 채광이 가능한 조경과 어우러진 라운드 어바웃 회차 공간, 드롭-오프 존을 통해 손님 접객과 아이들의 통학 등에 특화된 공간으로 조성된다. 또한, 홈닉∙비즈니스∙패밀리 라운지 등 입주민 전용 서비스 공간에서 다양한 소통과 함께 쾌적한 커뮤니티 시설 이용이 가능하도록 계획한다. 중앙에 위치하는 다양한 멀티-모달 스테이션은 캠핑카, 전기차, 전기 자전거 등 다양한 퍼스널 모빌리티에 대응하기 위해 정비∙충전∙세차 등 편의시설에 집중한 공간으로 조성할 예정이며, 특히, 전기차 충전구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에 대응하기 위한 전기차 화재대응 솔루션도 제안한다. 전기차 충전구역에는 불꽃감지 센서가 일체형으로 장착된 CCTV를 설치해 화재를 빠르게 감지하고 관리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