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스포츠

"동네변호사 조들호2" 박신양 vs 고현정, 인생 최대 라이벌로 만난다

소시민 대표 박신양 vs 거악의 중심 고현정
인생 최대 라이벌로 만난 두 연기 본좌들!
2019년 안방극장 강타할 전무후무한 만남!

(이슈투데이) 2019년 상반기 최고의 기대작으로 떠오르고 있는 KBS 2TV 새 월화드라마 ‘동네변호사 조들호 2: 죄와 벌’이 더 뜨겁고 더 강렬한 이야기로 오는 1월 안방극장 문을 두드린다.

지난 2016년 17.3%라는 시청률로 종영한 ‘동네변호사 조들호’는 자유분방한 이단아적 기질의 변호사 조들호가 소시민을 대변하며 통쾌함과 위로를 선사, 뜨거운 사랑과 호평 속에서 종영했다.

시즌 2의 방영 소식으로 뜨거운 화제가 되고 있는 현재, ‘동네변호사 조들호 2: 죄와 벌’은 조들호의 새로운 이야기와 더 커진 스케일로 안방극장을 찾는다. 기존 드라마 팬들에게는 조들호에 대한 더할 나위 없는 반가움을 선사하고, 예비 시청자들에게는 대한민국 최고의 배우 박신양과 고현정의 컴백이라는 새로운 기대감과 호기심을 불어넣고 있는 상황.

조들호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그 이전의 이야기를 담을 ‘동네변호사 조들호 2: 죄와 벌’은 추악한 진실을 맞닥뜨린 조들호가 인생 최대의 라이벌을 만나 치열한 대결을 벌이게 되면서 그가 지켜왔던 소신과 정의에 커다란 균열이 생긴다.

여기에 걸출한 여배우 고현정의 캐스팅이 확정되면서 ‘동네변호사 조들호 2: 죄와 벌’을 향한 기대감이 수직 상승 중이다. 지난 ‘선덕여왕’에서 미실 역으로 악역의 새 지평을 열었던 그녀이기에 이번 ‘동네변호사 조들호 2: 죄와 벌’에서 거악의 중심으로 돌아올 그녀의 연기에 관심이 뜨겁다.

이번 ‘동네변호사 조들호 2: 죄와 벌’이 더욱 기다려지는 이유는 자타공인 연기 본좌들의 만남이 성사됐다는 점이다. 범접할 수 없는 연기 내공과 에너지로 대체불가 캐릭터를 탄생시킨 배우 박신양과 고현정이 ‘동네변호사 조들호 2: 죄와 벌’에서 인생 최대의 라이벌로 마주할 예정이기 때문.

소시민 편에 서서 무소불위 거악에 맞설 조들호 역에 박신양과 절대 권력을 쥐고 흔드는 거악의 중심 이자경 역에 고현정의 숨 막히는 대결이 벌써부터 기대감을 최고조로 끌어올리고 있다.

이렇듯 ‘동네변호사 조들호 2: 죄와 벌’은 박신양과 고현정이라는 명불허전 연기 신들의 귀환으로 어느 때 보다 뜨거운 기대 속에 화제를 이어가고 있다. 여기에 변희봉, 손병호, 주진모, 서이숙 등 관록 있는 중견 배우들과 이민지, 조달환, 이미도, 정준원 등 믿고 보는 대세 배우들을 비롯해 실력 있는 신예 배우들이 한 데 모여 더욱 풍성한 재미를 예고한다.

KBS 2TV 새 월화드라마 ‘동네변호사 조들호 2:죄와 벌’은 UFO프로덕션이 제작을 맡아 오는 2019년 1월 KBS 2TV를 통해 방영될 예정이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