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MMCA 현대차 시리즈 2023: 정연두 - 백년 여행기’ 전시전 개막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현대자동차가 후원하는 'MMCA 현대차 시리즈 2023: 정연두 - 백년 여행기' 전시전이 9월 6일(수)부터 2024년 2월 25일(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MMCA) 서울(서울 종로구 소재)에서 열린다. 

 

올해 10회차를 맞이하는'MMCA 현대차 시리즈'는 현대차가 후원하고 국립현대미술관(MMCA)이 주최하는 연례행사로, 2014년부터 매년 한국 중진 작가의 대규모 전시를 지원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1998년부터 현재까지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나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현실과 허구, 실재와 환영, 개인과 사회, 기억과 재현의 미묘한 관계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작업을 지속해오고 있는 작가 정연두의 대규모 개인전이다. 정연두는 사진, 영상, 퍼포먼스 등을 활용한 다양한 설치 작품들을 통해 국내외 미술계의 호평을 받아온 중진 작가이다. 

 

이번 전시에서 정연두 작가는 20세기 초 멕시코 유카탄 반도로 이주 노동을 간 한인들과 그 후손의 서사를 포착한 작품들을 'MMCA 현대차 시리즈 2023: 정연두 - 백년 여행기' 전을 통해 선보인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의 서울박스 및 5전시실에서 '백년 여행기', '상상곡', '세대 초상', '날의 벽' 네 점의 신작 및 '백년 여행기 - 프롤로그'(2022) 한 점 등, 총 다섯 점이 출품된다. 작품들은 사진, 영상, 사운드, 설치, 퍼포먼스 등을 통해 다채롭게 구성될 예정이다. 

 

작가는 문화적 다양성과 고유성이 공존하는 이주민들의 삶의 경험과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예술을 통해 그들의 존재에 대한 관객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멕시코에서 태평양을 건너와 제주도에 뿌리를 내렸다고 알려진 선인장의 일종인 백년초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20세기 초 한인 이주라는 역사적 서사를 관객들이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는 소리, 공연, 설탕 뽑기와 같은 친숙한 방식으로 풀어낸다. 

 

이 전시를 통해 디아스포라(Diaspora)의 역사는 특정 지역이나 과거에 머무는 것이 아닌 우리 세대가 간과하지 않아야 하는 현재 진행형임을 상기시킨다. 디아스포라는 본토를 떠나 타지에서 살아가는 민족 집단 또는 거주지를 의미했으나, 현재는 이주/난민/망명 등 이동하는 모든 존재에 대한 포괄적 개념으로 사용된다. 

 

현대차는 정치,경제적 이유 외에도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이동과 이주라는 것이 인류 공동의 주요 과제가 됐다며, 이번 전시가 다양한 생명체들의 이주 역사를 현재화하고, 100년 이후의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해 깊이 있는 성찰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됐으면 한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차는 국립현대미술관과의 'MMCA 현대차 시리즈' 외에도 영국 테이트 미술관, 미국 LA 카운티 미술관(LACMA)과의 장기 후원 파트너십을 비롯해 경영 전반에 다양한 문화 예술적 가치를 더하는 현대차만의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브랜드 철학을 전달하고 있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