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전통예술의 진면목을 보여줄 중견 예술인들의 무대, 2023 하반기 광무대 전통상설공연 개최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사장 김삼진)은 10월 12일부터 11월 17일까지 매주 목요일과 금요일 전통공연창작마루에서 '2023 광무대 전통상설공연' 하반기 공연을 개최한다. 

 

'광무대 전통상설공연'은 공모를 통해 선정된 중견 예술인들을 만나볼 수 있는 자리다. 5월부터 6월까지 12인의 중견 예술인들이 상반기 공연을 성황리에 마쳤다. 이번 하반기 공연은 10월부터 11월까지 각양각색의 매력을 지닌 12인의 중견 예술인들이 전통무용부터 정가, 기악, 연희까지 순수 전통예술의 진면목을 선보인다. 

 

밴드, 뮤지컬 등 스펙트럼 넓은 활동을 해온 해금 연주자 김주리가 본질로 회귀한 풍류 음악으로 시작을 열고, 타악 연주자 윤용준은 타악기의 음악적 요소를 정교하게 다듬어내어 악기의 가능성을 끌어낸다. 오경희는 서공철류 가야금 산조를 통해 한숙구의 명맥을 잇는 무대를, 김민지는 김죽파류 가야금 산조와 성금연류 가야금 산조를 바탕으로 한 산조 합주를 통해 가야금의 각기 다른 매력을 드러낼 무대를 선보인다. 충청도 향제시조인 내포제시조를 전하는 여창 가객 이명희, 이양교 전창(傳唱)의 사설지름시조를 중심으로 경제 시조의 다양한 예술세계를 알리고자 하는 남창 가객 문현의 무대도 차례로 만나볼 수 있다. 

 

특히 이번 하반기 공연에는 다채로운 전통무용 무대를 만나볼 수 있다. '십이체장고춤'을 통해 스승으로부터 전승받은 타(打),흥(興),태(態)를 선보일 박은하, 민속무용의 정수인 승무를 선보일 김미선, 진주와 통영의 교방으로부터 전승되어 온 교방춤들의 정수를 보여줄 차명희의 무대가 펼쳐진다. 조성민은 처용설화를 토대로 만들어진 처용무를 통해 과거 궁중무용의 기풍을 선사하며, 이창순은 궁중무용부터 지역적 색채와 종교적 의미를 담은 민속무용까지 다양한 모습을 보여준다. 하반기 공연의 유일한 남성 무용수 임관규가 '태평무'와 '맨손살풀이'를 통해 힘이 담긴 무대를 선보이며 공연의 막을 내린다. 

 

'광무대 전통상설공연'은 동대문의 옛 '광무대' 터에 2020년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 개관한 '전통공연창작마루' 내 소극장 '광무대'에서 펼쳐진다. 1898년에 문을 연 광무대는 당대 명인,명창들의 공연을 볼 수 있던 우리나라 최초의 사설 극장으로, '광무대 전통상설공연'은 그 역사성과 예술성을 이어가는 상징적 무대로 자리 잡고 있다. 

 

공연을 주관하는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김삼진 이사장은 '옛 광무대에 올랐던 명인,명창의 뒤를 이어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중견 전통예술인들의 내공을 느낄 수 있는 무대일 것'이라며 '순수 전통예술의 깊은 감동을 느껴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2023 하반기 '광무대 전통상설공연' 상세정보 확인과 예매는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