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아동도서 페스타’ 등 4개 국제회의 지원

공모 통해 융·복합 국제회의 4개 선정…국제회의당 3년간 최대 6억 원 지원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관광공사와 함께 국제아동도서 등 4개 융,복합 국제회의 개최를 지원한다고 지난 3일 밝혔다.  

 

문체부는 국제회의산업의 새로운 수요 발굴과 한국형 성장 모델의 안착을 위해 융,복합 형태의 국제회의 지원방안을 마련했다. 

 

지난 3월부터 4월까지 공모를 통해 케이(K)-컬처 등 세계적으로 관심이 높은 한국의 우수한 유,무형의 자원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 국제회의를 최종 4개 선정했다. 

 

올해부터 국제회의 기획과 개최, 홍보, 마케팅 비용 등 3년 동안 최대 6억 원을 지원해 케이(K)-마이스산업 경쟁력을 견인할 국제회의로의 성장을 도울 계획이다. 

 

관광공사는 전문 컨설팅 기관을 활용한 맞춤형 자문과 컨설팅, 해외 지사를 활용한 해외 현지 교류, 한국 관광 홍보부스 등을 지원한다. 

 

융,복합형 국제회의의 새로운 모델을 보여줄 첫 번째 행사는 오는 5일부터 9일까지 수원컨벤션센터와 광교호수공원 일원에서 열리는 '2023 국제아동도서&콘텐츠페스타'다. 

 

'다양한 성장, 더 큰 가능성'을 주제로 해외 10여 개국 350여 개사, 450여 명의 국내외 그림작가, 콘텐츠 제작기업, 플랫폼 기업 등이 참여한 가운데 빠르게 변하는 환경 속에서 아이들의 바른 성장을 위한 콘텐츠 방향성을 논의하는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아이들을 키우는 데 필요한 도서와 영상, 놀이 등이 다양하게 어우러진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14일부터 15일까지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는 '레츠 플로피'를 연다. 

 

'스트릿 컬처의 정체성과 경향, 글로벌 문화의 관계'를 주제로 하는 토크쇼 형식의 학술대회와 음식,패션 체험 행사, 초청 가수 공연 등 다양한 즐길 거리를 마련했다. 

 

20일부터 22일까지 부산 영화의전당에서는 '비욘드한글'을 개최한다. 

 

태권도, '커피 명장과 함께하는 투어형 마스터클래스 학술대회'와 한복 패션쇼, 국악 공연 등을 통해 한글을 넘어 케이-컬처의 다양한 매력을 해외에 선보일 계획이다. 

 

다음 달 9일부터 11일까지는 '콘텐츠 유니버스 코리아'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연다. 

 

인공지능(AI) 시대 콘텐츠 미래산업 전략과 혁신 등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탐구하는 작업환경과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행사 기간 중 24시간 연속 운영을 시도해 숙박이 가능한 1인 텐트를 제공한다는 점이 이색적이다. 

 

이수원 문체부 융합관광산업과장은 '한국 마이스 산업 경쟁력을 견인할 신국제회의 모델로 유망한 융,복합 국제회의를 첫해 성공적으로 열고 단계적으로 자생력을 높여 케이-관광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행사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기사제공 : 정책브리핑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