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장애예술인 표준공연장 ‘모두예술극장’ 개관

휠체어석 좌석 수 상황에 맞춰 가변 조정한 250석 규모 중극장 보유…접근성↑
유인촌 장관 “사회 인식을 바꾸고, 다른 공연장의 표준이 되길”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우리나라 최초의 장애예술인 표준공연장인 '모두예술극장'이 문을 연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24일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과 함께 장애인의 창작,향유 등 문화예술 활동 접근성을 최고 수준으로 확보한 '모두예술극장(서울 충정로)'을 개관했다고 밝혔다. 

 

이날 개관식에는 유인촌 문체부 장관과 배은주 한국장애인문화예술단체총연합회 상임대표, 정은혜 작가 등 장애예술인 및 단체장을 비롯해 국공립 공연장 관계자 등 문화예술계 인사 150여 명이 참석했다. 

 

문체부는 장애예술의 창의성,다양성,향유권을 실현하기 위해 공연, 창작, 교육, 교류 등을 할 수 있는 공연장을 만들기 위해 지난해 10월 리모델링 공사를 시작해 1년여 만에 '모두예술극장'의 문을 연다. 

 

'모두예술극장'은 우리나라 최초의 장애예술인 표준공연장으로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장애,비장애인 누구나 향유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예술이 모이는 공간이다. 구세군 빌딩의 3개 층(1~3층)을 활용하며 전체 면적은 2014㎡다. 

 

문체부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 목표인 '따뜻한 동행, 모두가 행복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장애예술인의 창작,연습 공간과 발표 기회를 확대하는 표준공연장과 시각예술 분야 전문공간 등 기반시설 구축을 국정과제 및 혁신사업으로 정해 '모두예술극장'을 조성했다. 

 

우선, 공간구성 면에서 ▲휠체어석 좌석 수 상황에 맞춰 가변 조정한 250석 규모의 중극장 ▲연습실 등에 창작레지던시와 교육 공간 ▲소규모 공연과 시연회(쇼케이스)가 가능한 창작 스튜디오 ▲공연단체의 활동 편리를 위해 연습실과 분장실을 마련했다. 

 

시설 측면에서는 ▲전체 공간을 평평하게 해 장애인 접근성을 높였고 ▲활동에 제약 없는 무대 조성 ▲분장실-무대 이동로 확보 ▲무대 기술 조정실에 휠체어 접근이 가능케 했다. 

 

또한 서비스 측면에서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발달 및 학습장애인 등 장애 유형별로 관람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극장 운영 측면에선 하우스 매니저, 접근성 매니저를 두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두예술극장'은 이달 초 시범 공연을 시작으로 국내외 장애예술 우수 작품, 창작,기획 작품 등 10개 작품을 엄선해 내년 2월까지 선보인다. 

 

공연장과 연습실, 스튜디오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연 2회 정기 및 수시 대관을 신청받을 예정이다. 

 

다만, 장애인(단체)에게 우선 대관과 사용료 할인 혜택을 제공해 장애(예술)인의 창작 및 발표 기회를 확대하도록 공연장을 운영한다. 

 

유 장관은 '이 공간이 장애,비장애를 구분하기보다 통합적으로 바라보도록 우리 사회 인식을 바꾸고, 문화예술 공간과 예술인 지원방식에 변화를 가져오길 기대한다'면서 '앞으로 '모두예술극장' 조성,운영 모델이 다른 공연장의 표준이 되길 바라며 문화예술 공간의 접근성 수준이 높아질 수 있도록 문체부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기사제공 : 정책브리핑(www.korea.kr)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