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도시 영등포, 네트워킹 파티 ‘수변에 발 좀 담궈본 사람들’ 개최

12월 15일(금)에 수변 네트워킹 파티 개최
문화도시 영등포, 수변 사업 결과 공유 및 민관 거버넌스 확장의 장 마련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영등포문화재단(대표이사 이건왕)이 문화도시 영등포 수변의 연대를 확장하기 위한 네트워킹 파티 '수변에 발 좀 담궈본 사람들'을 개최한다. 

 

12월 15일(금) 오후 3시에 서울 영등포구 하자센터에서 열리는 행사는 1부 결과공유, 2부 네트워킹으로 진행된다. 1부 결과공유를 통해, 참여 시민이 직접 소개하는 '탐구생활 안양천', '#수변에서 #OO한 #실험하기' 사업의 생생한 이야기와 '시민 축제 기획단 스쿨'과 '수변 브랜딩 스쿨'의 진행 방향을 살펴볼 수 있다. 

 

2부 네트워킹에서는 참여했던 수변 사업의 추억과 후기를 공유하는 '물살이 파티'를 진행한다. 선호하는 수변과 즐거웠던 사업의 후기를 공유하며, 참가자들이 자유롭게 네트워킹하는 시간이 마련돼 있다. 참여 방법은 영등포문화재단 홈페이지 내 신청폼(https://townhall.kr/m/4782)으로 접수하면 된다. 

 

이날 행사에서는 문화도시 영등포의 시민 참여 사업인 '수변문화탐구생활'의 결과물과 시민 공감 브랜드를 구축하는 '도시수변 통합브랜딩'의 진행 과정을 공유한다. 

 

'수변문화탐구생활'의 SNS 챌린지는 문화도시 영등포 인스타그램을 통해 수변 중심 시민 행동양식을 발굴하는 해시태그 챌린지로 운영해 1500여명이 참여했다. 챌린지를 통해 시민이 가장 많이 즐긴 영등포 수변 행동 Top3와 행동 밀집 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민 20인이 참여한 '탐구생활 안양천'을 통해, 릴레이성 안양천 탐사 기록을 남기는 '수변환경 릴레이 파노라마'를 포함한 '수변즐기는 방법' 아이디어 17건을 발굴했다. 

 

40건의 수변 중심 문화적 실험 프로젝트를 공모한 '#수변에서 #OO한 #실험하기'를 통해 40팀의 수변을 중심으로 한 교육, 퍼포먼스, 전시 등을 11월 한 달간 진행한 바 있다. 특히, 영등포 수변의 생태자원과 공생하는 사운드 아트, 다양한 시민과 함께 수변을 즐기고 접근해 보는 플로깅 교육 및 샛강 해설 프로그램 등으로 수변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문화적 활동을 실험해 보는 계기가 됐다. 

 

아울러, '도시수변 통합브랜딩'으로 진행될 사업을 소개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12월부터 1월까지 진행되는 다양한 연령층의 시민이 함께 그려보는 시민스쿨 프로젝트로 '시민 축제기획단 스쿨', '어린이 브랜딩 스쿨', '어린이 축제 공간디자인 스쿨'의 계획을 접할 수 있다. 

 

영등포문화재단은 영등포구가 '법정문화도시'로 지정됨에 따라, 영등포 문화도시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건왕 영등포문화재단 대표이사는 '보다 많은 시민이 영등포 수변을 중심으로 소통하길 바란다'며 '이번 네트워킹 파티를 통해 수변 민관 거버넌스 확장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