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레베카’ 10주년 기념 공연 앙코르 시즌 ‘원조 댄버스’ 신영숙 귀환! 무대 광풍! 전율의 무대 선보인다!

뮤지컬 배우 신영숙, ‘레베카’ 앙코르 공연 댄버스 부인으로 귀환! 레전드 무대 이어나간다!
‘레베카’ 앙코르 시즌 ‘신대니’ 신영숙 합류! 압도적 무대에 관객 기대감 고조!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뮤지컬 배우 신영숙이 오는 9일, 뮤지컬 '레베카' 10주년 기념 공연 앙코르 시즌의 첫 무대에 올라 완벽을 넘어선 전율의 무대를 선보일 것으로 초미의 관심이 집중된다.  

 

2013년 초연 이후 10년간 단 한 시즌도 빠짐없이 댄버스 역으로 '레베카'의 무대에 올랐던 신영숙은 범접할 수 없는 아우라와 듣는 이의 귀를 매료시키는 보이스를 선보이며 '원조 댄버스'로 불리며 뜨거운 사랑을 받아왔다. 특히, 신영숙은 뮤지컬 '레베카'의 대표곡으로 일컬어지는 '레베카 ACT2'를 비롯한 고난도의 넘버를 카리스마 넘치는 가창력과 흡인력 있는 연기로 피로, 작품의 흥행을 이끌어왔다. 

 

더불어, 신영숙이 뮤지컬 '레베카' 10주년 기념 공연 당시 한층 더 깊어진 감정 연기로 고요함 속에 숨겨진 격정을 드라마틱하면서도 생동감 있게 담아내며 매 회차 전석 기립을 이끌어낸 만큼 그의 앙코르 시즌 첫 무대에 기대가 모인다.  

 

순식간에 좌중을 압도하는 독보적인 장악력의 신영숙이 합류한 앙코르 시즌은 '100만 관객 관람'이라는 경이적인 흥행을 기록한 10주년 기념 공연을 넘어설 유일무이한 최강 조합이 될 것으로 귀추가 주목된다. 

 

뮤지컬 '레베카'는 영국의 대표 작가 대프니 듀 모리에의 소설을 원작으로, 스릴러의 거장 알프레도 히치콕의 동명의 영화로도 유명한 작품이다. 뮤지컬 '모차르트!', '엘리자벳'의 작곡가 실베스터 르베이(Sylvester Levay)와 극작가 미하엘 쿤체(Michael Kunze)의 손에서 탄생한 작품으로, 유럽 뮤지컬의 레전드라 불리는 두 사람의 역작으로 불리며 한국에서도 큰 사랑을 받고 있다. 

 

지난 해 일곱 번째 시즌이자 한국 공연 10주년을 맞이한 바 있는 뮤지컬 '레베카'는 그간의 노하우가 총집결된 만큼 극찬 세례를 받으며 대작의 귀환을 알렸다. 작품은 '한 번도 안 본 관객은 있어도 한 번만 본 관객은 없다'라는 찬사를 받으며 폭발적인 관객 반응을 이끌었으며, 그 결과 연간 매출 1위로 작품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이와 함께 누적 관객 100만 명이 돌파하며 밀리언 셀러 뮤지컬에 이름을 올렸다. 

 

명실상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뮤지컬의 위엄을 입증한 '레베카'는 평단과 관객들의 호평을 얻으며 2023년 최고의 흥행작에 등극했으며, 매 시즌마다 폭발적인 인기와 흥행 기록으로 역사를 써 내려간 '레베카'의 10주년 영광이 앙코르 공연에서도 지속되고 있다. 

 

앙코르 시즌의 역대급 흥행이 기대되는 가운데, 뮤지컬 '레베카' 10주년 기념 공연 앙코르 시즌은 오는 2월 24일까지 LG아트센터 서울, LG SIGNATURE홀에서 관객과 만날 예정이다. 

 

출처=EMK뮤지컬컴퍼니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