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상현 작가의 NFT 예술 ‘경계’ - 재즈의 리듬과 사진의 아름다움이 만난다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업노멀은 '예술이란 결코 특정 소수의 기득권층만을 위한 기여여서는 안 된다'는 철학을 대변하는 예술 사진작가 노상현의 사진전 '경계'를 누구나 볼 수 있게 작가의 유튜브 개인 채널을 통해 선보인다고 밝혔다. 업노멀은 노상현의 스튜디오다. 

 

노상현 작가는 이번 전시를 통해 NFT 기술을 활용, 재즈 음악과 사진을 융합한 작품을 선보인다. 그의 디지털 아트는 자연의 소음과 고요, 인간 감정의 경계 등 다양한 느낌을 바위의 대비를 통해 현대적으로 풀어냄으로써 관객들에게 새로운 감각을 전하고 있다. 

 

'경계'란 한계 인식에서 벗어나 무한한 경험과 통합된 이해로 나아가는 과정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깨어나는 것이 개인의 궁극적 목표로 제시된다. 

 

이런 디지털 전시는 미술계와 예술가들이 새로운 형태의 예술 전달 방식을 모색하고, 대중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예시로 볼 수 있다. 유튜브나 기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전시는 참여자들에게 새로운 시각과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예술을 더 폭넓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노상현 작가는 '2024년 갑진년 새해를 맞아 기획한 이번 전시는 재즈의 리듬과 디지털 아트의 아름다움이 만나, 현대적 예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가는 전시회'라며 '지쳐 있는 시민들에게 희망을 전하고 전시 작품과 함께하는 재즈곡에서 휴식의 시간을 보냈으면 하는 바람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노상현 작가는 대학에서는 금속공예를 전공하고, 대학원에서는 주얼리 디자인을 전공했다. 2003년 국민대에서 '인체와 패션이 조화된 주얼리 사진에 대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전시회로 2010년(가나인사아트센터) 개인 사진전 '뉴욕에서 길을 잃다', 2011년(가나인사아트센터) '크로스오버 crossover', 2012년(가나인사아트센터) 망상(delusion), 2017년 세종문화회관에서 개최된 '기억들' 등을 열었다. 주요 작품집으로는 'sleepwalk 노상현 in newyork'(2011), 'wellington 바람의도시'(2013), 'manhattan'(2013) 등이 있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