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스포츠

신예 TWS(투어스)의 ‘열일’ 행보…음료 모델 이어 면세점 ‘얼굴’ 된다

신예 보이그룹 TWS(투어스)가 신세계면세점의 브랜드 앰버서더로 발탁됐다.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소속사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는 1일 'TWS(신유,도훈,영재,한진,지훈,경민)가 신세계면세점의 앰버서더로 발탁돼 신세계면세점과 함께 뮤직 프로젝트 'Play with us'를 진행한다'라고 밝혔다. 데뷔 전 탄산음료 모델로 발탁됐던 TWS는 브랜드 계약을 또 하나 추가하며 '2024년 최고 기대주'임을 증명했다. 

 

신세계면세점은 TWS를 모델로 선택한 이유로 '팀 정체성'을 꼽았다. TWS의 팀 명 'TWENTY FOUR SEVEN WITH US'에는 '음악을 매개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 대중과 팬의 평범한 일상을 특별하게 만들어주는 소중한 친구가 되겠다'는 의미가 담겼다. 바로 일상의 특별한 경험을 주는 존재라는 면이 신세계면세점의 이미지와 맞아 TWS를 앰버서더로 발탁했다는 의미다. 신세계면세점 측은 'TWS와 함께 기존의 협업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차원의 뮤직 프로젝트를 진행할 것'이라며 '향후 다른 분야의 협업을 통해 라이프스타일 생태계도 확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Play with us'는 TWS가 면세점에서 문화 생활을 즐기는 모습을 담은 영상 콘텐츠 프로젝트로, '신세계면세점을 통해 새로운 세계를 만나는 설렘'이라는 주제로 대중과 팬들에게 TWS의 새로운 모습을 보여줄 예정이다. 여행의 시작과 끝, 특별한 순간에 항상 신세계면세점이 함께한다는 브랜드 메시지와 TWS의 '언제나 TWS와 함께'라는 메시지의 접목이 시너지를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첫 협업 프로젝트는 TWS의 데뷔 타이틀곡 '첫 만남은 계획대로 되지 않아'의 뮤직 영상 콘텐츠다. 청량감 넘치는 밝은 무드의 '첫 만남은 계획대로 되지 않아'에 맞춰 TWS의 순수하고 에너지 넘치는 모습을 담는다. TWS가 신세계(새로운 세계)로 한 발짝 나아가며 느끼는 설렘과 즐거움을 파티 공간으로 재구성한, 독특한 연출이 흥미로운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 뮤직 프로젝트의 콘텐츠는 티저, 본편, 인터뷰, 메이킹, 쇼츠 구성으로 공개된다. 이 중 본편 영상은 신세계면세점 공식 SNS를 시작으로 온∙오프라인을 통해 오픈될 예정이다. 

 

한편, TWS는 지난 22일 데뷔앨범인 미니 1집 'Sparkling Blue'를 발매하자마자 글로벌 팬들의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Sparkling Blue'는 역대 K-팝 그룹 데뷔앨범 초동(발매일 기준 일주일 동안의 음반 판매량/한터차트 기준) '톱 10'(8위)에 올랐고, 타이틀곡 '첫 만남은 계획대로 되지 않아'는 공개된 지 일주일 만에 국내 주요 음원사이트 멜론 'TOP 100' 일간 차트(1월 29일 첫 진입)에 랭크됐다. 특히, TWS는 데뷔 전후로 빅 브랜드와의 컬래버레이션, 유명 매거진 표지 장식뿐 아니라 브랜드 모델,앰버서더로 연이어 발탁되며 '광고계 블루칩'으로 떠오르고 있다. 

 

[출처] 하이브 /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