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스포츠

TWS(투어스), 국내외 차트서 ‘상승기류’…멜론 일간 차트 3일 연속 TOP100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TWS(투어스)가 국내외 차트에서 제대로 상승세를 타며 '올해 최고 기대주'임을 증명하고 있다. 

 

TWS(신유,도훈,영재,한진,지훈,경민)의 데뷔앨범인 미니 1집 'Sparkling Blue'의 타이틀곡 '첫 만남은 계획대로 되지 않아'가 국내 주요 음원사이트 멜론 일간 차트 TOP100에 지난달 29일 93위로 진입한 후 86위(1월 30일)와 79위(1월 31일)로 연일 순위를 끌어올렸다. 멜론 실시간 차트 TOP100에서도 최고 43위(1월 31일 오후 11시 기준)에 올랐다. 

 

'첫 만남은 계획대로 되지 않아'는 공개된 직후 멜론 일간 차트 268위(1월 22일)에 랭크됐는데, 이후 꾸준히 순위가 뛰며 발매 일주일 만에 TOP100에 들었다. 멜론 일간 차트는 '벽돌 차트'로 불릴 만큼 진입 장벽이 높다. 이제 막 데뷔 활동 2주 차에 접어든 신인이 이 차트에 진입한 것 자체가 이례적이다. 

 

이들은 아직 정식 데뷔도 하지 않은 일본에서도 놀라운 성적을 쓰고 있다. 'Sparkling Blue'는 오리콘이 발표한 '주간 앨범 랭킹'(2월 5일 자/집계기간 1월 22~28일)에서 3위를 차지했다. 이는 이 주간에 랭크된 해외 아티스트 작품으로는 가장 높은 순위다. 이 앨범은 발매 직후 오리콘 '데일리 앨범 랭킹'에 3위(1월 23일 자)로 진입했고, 이후 1월 24일과 26일 자에서 최고 2위를 찍은 바 있다. 

 

'Sparkling Blue'는 빌보드 재팬 최신 차트(1월 31일 자/집계기간 1월 22~28일) '톱 앨범 세일즈'와 '핫 앨범'에서도 나란히 4위를 차지했다. 또, '첫 만남은 계획대로 되지 않아'가 일본 라쿠텐 뮤직 '주간 랭킹'(집계기간 1월 24~30일)에서 1위에 오르는 등 TWS의 일본 내 인기가 벌써부터 심상치 않다. 

 

'Sparkling Blue'는 밝고 청량한 TWS의 팀 정체성에 기반한 독자 장르 보이후드 팝(Boyhood Pop)의 감성을 따라 반짝이고 청량한 음률로 가득 찬 앨범이다. 첫 만남의 설레는 마음, 쉬는 시간에 친구들과 나누는 대화처럼 억지로 꾸미지 않은 자연스럽고 솔직한 TWS만의 친근한 음악적 화법이 글로벌 팬들을 매료시키고 있다. 타이틀곡 '첫 만남은 계획대로 되지 않아'는 풋풋하면서 짜릿한 사운드 소스와 캐치한 멜로디로 리스너들을 사로잡으며 인기 상승기류를 타고 있다. 

 

퍼포먼스도 화제를 모으고 있다. 경쾌하면서 시원시원한 칼군무로 TWS는 '퍼포먼스 맛집'으로 주목받고 있다. 각종 음악방송 무대에서 안무 실력을 과시한 이들은 지난달 27일과 31일 두 가지 버전의 '첫 만남은 계획대로 되지 않아' 연습실 안무 영상을 공개했다. 이들 영상에서 TWS는 정식 무대가 아님에도 쾌활한 에너지를 한껏 뿜으며 청량함과 파워풀함을 아우른 입체적인 안무로 K-팝 팬들의 열띤 반응을 얻고 있다. 

 

[출처] 하이브 / 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