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표 새미네부엌 플랫폼, 앤어워드 디지털콘텐츠 위너 수상

샘표 온라인 요리 커뮤니티 새미네부엌 플랫폼, 국내 디지털 산업계 대표 시상식서 수상 영예
초보도 쉽게 요리할 수 있도록 돕는 콘텐츠와 높은 편의성, 요리로 소통할 수 있는 점 우수해
우리맛 연구원의 레시피와 솔루션 강화, 검색 기능 고도화 등 이용자 맞춤 개선에 높은 점수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우리맛연구중심 샘표가 만든 요리 커뮤니티 '새미네부엌 플랫폼'이 국내 디지털 산업계의 대표 시상식인 '2023 앤어워드'에서 디지털 미디어&서비스 부문 디지털 콘텐츠 분야를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웹어워드 코리아 2022'에서 고객 서비스 분야 대상을 받은 지 1년여 만에 이룬 또 한 번의 쾌거다. 

 

올해 17회를 맞이한 앤어워드는 한국디지털기업협회가 주관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문화정보원,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한국인터넷진흥원이 후원하는 시상식이다. 한 해 동안 디지털 산업에 기여한 모바일 앱과 웹사이트, 광고 등 각종 디지털 콘텐츠와 서비스를 대상으로 선정한다. 

 

새미네부엌 플랫폼은 이번에 요리를 하고 싶어도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르는 이들을 위한 큐레이션 콘텐츠 '요리 초보 가이드'를 신설하고, 샘표 우리맛 연구원들이 직접 제작하는 '요리법 연구소' 콘텐츠를 '레시피'와 '솔루션'으로 세분화해 필요한 정보를 더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등 이용자 중심의 맞춤 리뉴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용자가 스마트폰으로 레시피를 참고하며 요리할 때 불편함이 없도록 '화면 항상 켜두기' 기능도 새로 추가됐다. 

 

샘표는 2021년 창립 75주년을 기념해 조리 과정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새미네부엌 브랜드를 론칭한 데 이어 이듬해 동명의 요리 커뮤니티 새미네부엌 플랫폼을 개설했다. 이용자들이 자유롭게 요리에 관한 고민과 즐거움을 나누는 것은 물론이고, 우리맛 연구원들이 솔루션을 제공하고, 우리맛 연구 결과가 담긴 레시피도 공유해 오픈 한 달 만에 누적 회원 10만명을 달성하는 등 빠르게 자리 잡았다. 제품 증정 이벤트를 꾸준히 기획해 요리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요리에 도전하도록 응원하는가 하면, 누구나 자신감을 얻고 즐겁게 요리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콘텐츠와 편의 기능을 강화해 호응을 얻고 있다. 

 

새미네부엌 플랫폼은 이번 앤어워드 수상을 기념해 이용자들이 더 요리에 관심이 생길 수 있도록, 자신만의 요리 꿀팁과 노하우를 공유하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3월 3일까지 요리 레벨을 한 단계 높여주는 요리 팁을 홈페이지 내 '요리해요' 탭에 올리면 총 30명에게 푸짐한 폰타나 요리 치트키 선물, 가장 참여도가 높은 2명에게는 '시라쿠스 킹스인 파스타볼' 1P를 증정한다. 

 

샘표는 유용한 레시피는 물론, 칼 잡는 법부터 재료 손질법 등 어디서도 제대로 배우기 어려운 요리 정보들을 클릭 한 번에 찾아볼 수 있는 새미네부엌 플랫폼을 통해 더 많은 사람이 요리의 즐거움을 맛보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