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종말인가, 진화의 확장인가… 미래엔 와이즈베리 ‘호모 엑스 마키나’ 출간

트랜스휴머니즘을 바탕으로 생명 연장 기술이 인간에게 가져다줄 기회와 위험을 분석한 책
세계적인 항노화 전문가와 트랜스휴머니즘 철학자의 가장 지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대담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교과서 발행 부수 1위 기업 미래엔의 성인 단행본 출판 브랜드 와이즈베리가 '호모 엑스 마키나'를 출간한다. 

 

신간 '호모 엑스 마키나'는 생명 연장을 위한 과학 기술이 인류에게 어떤 기회와 위험을 가져다줄 것인지에 관한 두 전문가의 미래 지향적이고 지적인 대담을 담아낸 책이다. 

 

호모 엑스 마키나(Homo ex Machina)는 '기계가 된 인간'이란 뜻으로 나노 기술, 유전공학 기술, 마인드 업로딩 등을 이용해 인간의 신체적 능력은 물론이고 정신적 능력까지 향상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 책에서는 과학 기술을 이용해 인류의 정신적,육체적 능력을 개선하고 강화할 수 있다는 '트랜스휴머니즘'이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기술 진보와 인간 진화에 관한 비판적인 논의를 전개한다. 

 

죽고 난 후 2억을 들여 내 시신을 냉동 보존할 수 있다면 어떨까? 먼 미래의 이야기처럼 들리지만, 전신 혹은 뇌 신경 냉동 보존 서비스는 이미 몇 년 전부터 시작됐다. 200명 가까이 되는 사람이 미래에서의 부활을 꿈꾸며 냉동 보존 탱크에 누워 있고, 대기자는 1000명이 넘는다. 

 

또한 유전자 편집 기술이 점차 발전해 질병 예방이나 특정 능력을 강화하는 데 사용된다면 어떨까? 2018년 중국에서는 크리스퍼 캐스(CRISPR/Cas) 기술을 이용해 에이즈(HIV)에 면역력을 가진 쌍둥이가 태어났다. 이러한 기술이 더 발전하고 의학적으로 적용되는 사례가 늘어난다면 내 아이가 걸릴 수 있는 질병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기회를 외면할 수 있을까? 

 

앞선 사례들이 인류의 새로운 '진화'일지 혹은 현 인류의 '종말'을 뜻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이러한 문제를 파고들기 위해 독일의 세계적인 항노화 전문가 '베른트 클라이네궁크'와 세계적인 트랜스휴머니즘 철학가 '슈테판 로렌츠 조르그너'가 나섰다. 저자들은 트랜스휴머니즘의 역사와 현재, 미래를 살펴보며 이로 인한 기회와 위험을 다각적으로 논의한다. 클라이네궁크 교수는 기술의 흐름을, 조르그너 교수는 기술 변화에 따른 문화적 흐름과 전통적 가치관의 변화를 주로 다루면서 이제껏 생각해 보지 못한 다양한 의견과 접근을 제시한다. 

 

책 내용은 △1장 새로운 아틸란티스는 과연 도래할 것인가 △2장 생명 연장의 꿈 △3장 신체 강화 기술의 현재와 미래 △4장 트랜스휴머니즘과 미래를 위한 논의 △5장 테크노아트의 탄생으로 구성돼 있다. 

 

추천사에서 철학자인 이진우 포스텍 명예교수는 '평균 수명 83세가 당연시되고, 기대 수명이 250세로 늘어나는 급진적 생명 연장 시대에 그 가능성과 윤리적 의미를 쉽고 깊이 있게 다루는 두 저자의 방식이 환상적'이라고 밝혔고, 뇌과학자 김대식 카이스트 교수는 '철학자 니체의 '초인'에서 미래 인류를 찾는 두 저자의 상상력에 놀라고, 섬뜩하면서도 손에서 책을 놓을 수 없었다'며 일독을 권했다.



미디어

더보기
정원주 대우건설 회장, 투르크메니스탄 미네랄 비료 플랜트 기공식 참석 대우건설은 정원주 회장이 지난 15일 투르크메니스탄 제2의 도시 투르크메나밧에서 개최된 ‘미네랄 비료 플랜트’의 기공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총 7억 8,400만 달러 규모(한화 약 1조 810억 원, VAT 포함)의 이번 프로젝트는 연산 35만 톤의 인산비료와 10만 톤의 황산암모늄을 생산하는 설비 및 부대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공사 기간은 37개월이다. 대우건설은 정원주 회장이 지난 15일 투르크메니스탄 제2의 도시 투르크메나밧에서 개최된 ‘미네랄 비료 플랜트’의 기공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총 7억 8,400만 달러 규모(한화 약 1조 810억 원, VAT 포함)의 이번 프로젝트는 연산 35만 톤의 인산비료와 10만 톤의 황산암모늄을 생산하는 설비 및 부대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공사 기간은 37개월이다. 정원주 회장은 “이번 기공식은 투르크메니스탄의 풍요로운 미래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향한 새로운 출발점”이라며 “미네랄 비료 플랜트가 가스화학 산업과 국가 농업 발전을 이끌 핵심 프로젝트인 만큼, 현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최고의 품질로 신뢰에 보답하겠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 14일, 투르크메니스탄 수도 아슈하바트에서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