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IT

링롱 타이어 왕펑 회장, COP30에서 연설

중국이 11월 10일 브라질 벨렘(BELÉM)에서 개최된 제30차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기간에 중국관에서 "생태문명과 중국의 아름다운 실천"(Ecological Civilization and Beautiful China Practices) 행사를 열고 국제 사회에 생태 문명의 성과를 발표했다. 이 행사에서 중국 산업의 녹색 전환을 대표하는 기업 링롱 타이어(Linglong Tire)의 왕 펑(Wang Feng) 회장이 기조 연설자로 나서 저탄소 발전을 향한 회사의 실천과 노력을 소개했다. 왕 회장은 파리 협정이 정한 시한보다 10년 앞당겨 2030년까지 탄소 정점을 달성하고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링롱 타이어는 명확한 탄소 중립 이행 계획을 수립하여 에너지 활용과 지속 가능한 타이어 R&D, 공급망 관리를 통해 체계적으로 배출량을 감축해 나아가고 있다. 목표는 2035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52.07% 감축하고 2050년까지 순배출 제로를 달성한다는 것이다. 회사는 5대 요소, 즉 신물질과 신기술, 새 프로세스, 새 장비, 신종 에너지를 통해 친환경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일례로 회사는 세계 최초로 지속 가능 소재가 79% 함유된 타이어를 출시하여 EU 성능 기준 최고 단계를 충족했다. 링롱 타이어는 2028년까지 이 비율을 85%까지 높이고 2040년까지는 100%를 달성할 계획이다. 혁신의 일환으로 기존 석유계 원료 대신 왕겨 회분 실리카, 옥수수계 이타코네이트 고무 같은 바이오계 원료를 사용할 방침이다. 이는 탄소 배출량을 35%까지 낮춰 주는 효과가 있다.

 

링롱이 새로 선보인 신종 에너지 타이어 SPORT MASTER e는 BPT 정상 상태 압력과 같은 핵심 기술이 적용되어 지면 압력 분포를 최적화해 준다.

 

링롱 타이어는 또 공급망 전체를 대상으로 친환경 생태계 구축에도 힘쓰고 있다. 중국 본토의 타이어 제조사 중 최초로 GPSNR에 가입해 공급망 투명성과 준법을 적극 장려하고 있기도 하다. 링롱은 FSC 인증을 받은 지속 가능 천연 고무 프로젝트를 통해 원자재 단계까지 환경적 책임을 확대하여 숲에서 타이어까지 지속 가능한 경영을 완성했다. 또 자원 재활용 차원에서 재생 고무 작업장을 운영하는 한편 액체 재생 고무와 열분해 카본 블랙의 사용을 장려하여 폐타이어의 환경 부담을 실효성 있게 해결하고 폐루프 자원 순환을 구축했다.

 

왕 회장은 링롱의 이중 탄소 로드맵이 환경 보호를 위한 조치일 뿐만 아니라 생산 효율과 가치의 혁명이라고 강조했다. 링롱 타이어는 앞으로도 부단히 혁신하여 전 세계 고객에게 고품질 친환경 타이어를 공급할 방침이다. 실천을 통해 세상을 더 깨끗하고 아름답게 할 수 있다면 그 누구와도 함께 할 의사가 있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미디어

더보기
현대엔지니어링, 창호 기술로 ‘녹색기술인증’ 획득… 탄소저감형 건축 솔루션 제시 현대엔지니어링(대표이사 주우정)이 차양 필름을 커튼월 창호에 내장해 에너지 절감과 탄소배출 저감 효과를 높인 ‘일사조절 필름 일체형 성능가변 창호 기술’을 개발하고, 해당 기술로 녹색기술인증(GT-25-02424)을 획득했다고 12일(수) 밝혔다. 녹색기술인증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 「탄소중립기본법」에 따라 에너지 및 자원 절약,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 배출 저감에 기여하는 유망 기술을 평가하고 인증하는 제도다. 현대엔지니어링은 2024년 7월 HDC현대산업개발, 이건창호, 대진(DAEJIN)과 4자간 협약을 체결한 이후, 해당 기술을 공동 연구해 최근 개발을 완료했다. 해당 창호 기술은 커튼월 창호 틀(프레임)에 말림식(롤 스크린 방식) 필름 구동장치가 내장된 구조로, 외부 기온이나 냉·난방 가동 여부에 따라 필름을 내리거나 올려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이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을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는 탄소저감형 건축 솔루션으로, 향후 제로에너지건축물(ZEB) 구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창호에 내장된 필름은 20~50um(마이크로미터) 두께의 투명 PET 원단 2겹으로 제작됐다. 외측 원단에는 태양에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