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문화재단, ‘2021 서울예술교육랩 질문의 진화’ 개최

 

[이슈투데이=김아론 기자] 서울문화재단이 예술교육의 지속적인 발전과 가치 탐색을 위한 강연 '2021 서울예술교육랩 질문의 진화'를 9월 14일(화)부터 11월 17일(수)까지 온,오프라인을 통해 진행한다.

'2021 서울예술교육랩'은 포스트 휴머니즘 시대에 인간과 비인간이 함께 공존하면서 발전하는 관계를 만들어가는 예술교육의 가치와 예술교육 실천가의 역할을 모색하는 프로그램이다. 동시대 예술가, 실천가들과 함께 인간 중심적인 사고에 의해 대상화됐던 기계, 동물, 물질, 생태 등 다양한 요소에 한 걸음 다가가 들여다본다.

프로그램은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오픈 토크(9월 14일~10월 13일)'와 오프라인으로 진행하는 '감각 확장 워크숍(9월 23일~11월 17일)'으로 구분된다. 국내외에서 활동하는 예술가, 교육가, 기획자 등 총 18명이 강사로 참여해 예술교육 실천가의 역량 강화를 위한 강연과 대담을 나눈다.

참여 강사는 △강병수(헬로긱스 연구소장) △고아침(얼룩소, 데이터 에디터) △권병준(미디어 아티스트) △어라우드랩(김보은, 김소은) △김산하(생명다양성재단 사무국장) △김연임(웹진 '춤:in' 편집장) △김영주(룹앤테일, 게임 디자이너) △김화용(미술 작가, 기획자) △박동준(아카이빙 바벨) △박동희(은파산업) △배인숙(하울링 대표) △백용성(미학자, 미술 평론가) △여운승(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이광석(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이민경(안무가, 공연예술가) △이소요(미술 작가,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임성연(무소속연구소 대표) 등 18명이다.

9월 14일(화)부터 10월 13일(수)까지 열리는 오픈 토크는 온라인 비대면 플랫폼 줌(Zoom)을 통해 열린다. 이광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의 강연인 '동시대 기술문화 지형과 실천적 쟁점(9월 14일)'을 포함해 총 4개의 강연과 1개의 대담을 선보인다. 프로그램당 100명씩 참여할 수 있다. 속기를 통한 문자 통역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며, 행사 종료 후 자막 해설을 포함한 발제 영상 일부를 온라인 플랫폼 '노션'을 통해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9월 23일(목)부터 11월 17일(수)까지 열리는 감각 확장 워크숍은 서울문화재단대학로(종로구 동숭길 122), 홍릉수목원, 연희정원 일대에서 열린다. 생태, 동물, 물질 감각을 탐색해보고, 예술교육 실천가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8개의 워크숍을 선보인다. 프로그램당 각각 10명 내외로 참여할 수 있다.

참여를 희망하는 사람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예술교육 경력이 있거나 앞으로 예술교육 활동을 희망하는 예비 티에이(TA,Teaching Artist, 교육예술가), 예술기획자, 예술교육 관련 기관 종사자라면 누구나 할 수 있다.

2021 서울예술교육랩 질문의 진화는 프로그램별로 일정과 대상, 진행 방법이 다르며, 더욱 자세한 내용은 서울문화재단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

더보기
대방건설, 영남권 산불 피해 복구 위해 성금 5천만원 기부 대방건설(회장 구교운)은 최근 발생한 영남권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성금 5천만 원을 기부하며, 이재민 지원과 피해 지역 복구에 동참했다고 18일 밝혔다. 대방건설은 강서구청이 추진한 산불 피해 지원 성금 모금에 참여해 5천만 원의 성금을 대한적십자사에 전달했다. 해당 성금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등 구호단체를 통해 전액 피해 복구와 구호 활동에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기부와 관련해 대방건설 관계자는 “예기치 못한 자연재해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 주민들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라며 “앞으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해 지속적으로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대방건설은 어려운 건설 경기에도 불구하고 취약계층을 위한 성금 5천만 원을 2025년 1호로 전달하면서 '2025 희망온돌 따뜻한 겨울나기 사업'에 동참했다. 지역사회와 동반 상생을 위한 활동으로는 경기도 평택 지역의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가정, 한 부모 가정, 독거노인 등의 주거 취약 가구 환경개선을 위한 리모델링 사업을 실시한 바 있다. 더불어 소년·소녀 가장, 독거노인 등 소외되고 어려운 이웃의 아픔을 함께 나누고자 설립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