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서울문화재단 삼일로창고극장, ‘2020 창고개방: 창고에서 창고로’ 선봬

코로나19로 멈춰버린 2020년 극장의 시간을 기록하는 세 가지 프로그램 선봬
극장에서 관객을 만나지 못해 재고가 되어 버린 작품을 소개하는 ‘언박싱315’

 

[이슈투데이=김아론 기자] 서울문화재단 삼일로창고극장은 공동운영단과 함께 기획 프로그램 '2020 창고개방: 창고에서 창고로'를 오는 23일(월)부터 29일(일)까지 선보인다.

'창고개방'은 '삼일로창고극장을 개방하라'는 콘셉트로 2018년 개관 이후부터 이어오고 있는 삼일로창고극장의 대표 프로그램이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멈춰버린 공연예술계의 시간을 기록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관객과 직접 만나 작품을 펼쳐온 공연예술 장르의 특성이 흔들린 지금, '창작자는, 관객은, 극장은 이 시간을 어떻게 보냈을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프로그램은 총 3가지로 언박싱315, 줌인센터, 다큐멘터리315 등으로 구성됐다. 문을 닫은 극장과 멈춰 버린 시간 속에서 보고 싶지만 볼 수 없었던 작품을 온라인으로 공개한 것이 특징이다. 코로나19로 인해 만날 수 없었던 관객과 창작자가 삼일로창고극장 유튜브를 통해 다시 만난다.

첫 번째 프로그램인 '언박싱315'는 코로나19로 인해 공연을 연기하거나 취소한 작품 또는 그러한 사연을 가진 관객이 주인공이다. 극장으로 배달받은 각자의 사연은 5분 내외 영상 15개로 제작됐다. 관객과 만나지 못해 재고가 될 뻔했던 작품과 만날 수 없었던 사연이 오는 11월 23일(월)부터 27일(금)까지 매일 3편씩 공개된다.

두 번째 프로그램인 '줌인센터'는 극장에 올 수 없던 관객이 주인공이다. 사전에 신청한 관객에게 연극의 독백과 대사가 담긴 미지의 키트를 배송한다. 관객은 약속한 시간에 화상회의 시스템 줌을 통해 모여 자신이 받은 키트를 열어보며 각자의 독백을 이어간다. 오는 11월 28일(토)과 29일(일)에 회당 20명이 함께한다. 참여를 원하는 관객은 삼일로창고극장 인스타그램을 통해 20일(금)까지 신청할 수 있다.

세 번째 프로그램인 '다큐멘터리315'는 코로나19가 바꾸어 놓은 공연계 현장을 20여명의 인터뷰를 통해 들여다본다. 창작자들이 나눈 대화는 '연극과 극장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 질문의 답을 찾는 40분 분량의 다큐멘터리로 제작된다. '검은 옷을 입지 않았습니까', '필름의 어떤 시간', '극장전개' 등을 제작한 백종관 감독이 함께한다. 11월 29일(일) 삼일로창고극장 유튜브에서 예고편을 선보이며 완성된 영상은 추후 공개할 예정이다.

'창고개방'은 오는 23일(월)부터 29일(일)까지 삼일로창고극장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하며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미디어

더보기
삼성물산, 온열질환 예방 가이드라인 대폭 강화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본격적인 무더위에 앞서 건설 현장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앞장선다. 삼성물산은 온열질환 예방 가이드라인을 대폭 강화해 고용노동부의 폭염 안전 5대 수칙인‘물·그늘(바람)·휴식·보냉장구·응급조치’를 바탕으로 다각적인 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우선 ‘그늘’확보를 위해 혹서기 휴게시설 설치기준을 대폭 강화했다. 최대 인원의 20%이상이 동시에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게시설 자체 설치 기준을 마련해 각 휴게시설에는 냉방장치, 음용수, 포도당을 비치해 운영중이다. 또한 모든 근로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의 제빙기를 설치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여성근로자가 많은 현장에서는 별도의 여성 휴게시설도 설치한다. 휴게시설 접근이 어려운 경우는 사전에 파악해, 모든 근로자가 ‘도보 2분 거리’에서 쉴 수 있도록 간이 휴게시설을 추가로 설치하고 있다. 모든 근로자가 폭염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즉각적인 휴식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다. 삼성물산 현장에서는 체감온도 31℃ 이상부터 휴게시간을 부여하고 탄력적으로 작업을 조정한다. 뿐만 아니라 두통, 어지럼증 등을 호소하며 더위로 작업중지를 요청할 경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