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좋은땅출판사, ‘바람벽에 쓴 시’ 출간

을묘왜변 속에서 사라져간 이름 없는 수많은 영웅의 이야기

 

[이슈투데이=김아론 기자] 좋은땅출판사가 '바람벽에 쓴 시'를 펴냈다.

공이 있는 달사는 어디로 갔나(有功達泗歸何處)는 1555년 12월 2일 조선왕조실록에 적혀 있는 시구다. 장흥의 어느 바람벽에 지나가는 행인이 썼다는 시가 왜 실록에 기록됐을까.

이러한 궁금증에서 이 소설은 시작됐다. 저자는 달사는 과연 누구이며, 그는 도대체 어디로 사라졌는가를 이 소설 전체의 중요한 주제로 삼고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임진왜란 37년 전에 발생한 을묘왜변은 비교적 큰 침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당시 왜변으로 조선왕조실록에 공식 기록된 사망자는 500여명에 불과하지만 6000여명이 침입해 10개 성을 함락한 당시의 치열했던 전황을 놓고 생각해 보면 적어도 사망자가 5000명이 넘었을 것이고 납치된 부녀자도 수천 명이 넘을 것이라는 작가의 추측이다. 저자는 달사라는 인물의 삶을 통해 을묘왜변을 최초로 다루고 있으며 당시 혼란스러운 사회의 모습을 생생히 보여준다.

백성들을 버리고 도망가는 장수들부터 왜구의 앞잡이가 돼 동족에게 창칼을 들이미는 사람들까지. 저자가 날카로운 시선으로 그려내는 이야기 속에는 지난 역사에서 숱하게 반복돼 온 우리 사회의 면면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동시에 그곳에는 위기 때마다 나라를 일으켜 세운 영웅들이 있다. 병사들에게 줄 주먹밥을 만들고 가족을 지키기 위해 농기구 대신 창칼을 든 이름 모를 사람들이 있었다. '바람벽에 쓴 시'는 역사에 이름조차 남기지 못했지만 분명히 그곳에 있었던 여러 작은 영웅들을 조명하는 책이다.

조선 최초 의병장이었던 양달사를 알려야겠다는 마음만으로 시작한 집필 과정이 순탄하지만은 않았지만 수백 년을 왜구에 시달리던 전라도 해변의 사람들이, 영암사람들이 눈물로 왜구를 물리친 기록이 많은 사람에게 알려지기를 바란다.

'바람벽에 쓴 시'는 교보문고, 영풍문고, 반디앤루니스, 알라딘, 인터파크, 예스24, 도서11번가 등에서 주문,구매할 수 있다.


미디어

더보기
삼성물산, 온열질환 예방 가이드라인 대폭 강화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본격적인 무더위에 앞서 건설 현장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앞장선다. 삼성물산은 온열질환 예방 가이드라인을 대폭 강화해 고용노동부의 폭염 안전 5대 수칙인‘물·그늘(바람)·휴식·보냉장구·응급조치’를 바탕으로 다각적인 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우선 ‘그늘’확보를 위해 혹서기 휴게시설 설치기준을 대폭 강화했다. 최대 인원의 20%이상이 동시에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게시설 자체 설치 기준을 마련해 각 휴게시설에는 냉방장치, 음용수, 포도당을 비치해 운영중이다. 또한 모든 근로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용량의 제빙기를 설치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여성근로자가 많은 현장에서는 별도의 여성 휴게시설도 설치한다. 휴게시설 접근이 어려운 경우는 사전에 파악해, 모든 근로자가 ‘도보 2분 거리’에서 쉴 수 있도록 간이 휴게시설을 추가로 설치하고 있다. 모든 근로자가 폭염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즉각적인 휴식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다. 삼성물산 현장에서는 체감온도 31℃ 이상부터 휴게시간을 부여하고 탄력적으로 작업을 조정한다. 뿐만 아니라 두통, 어지럼증 등을 호소하며 더위로 작업중지를 요청할 경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