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대신이불, 자체 운송 시스템 구축 계획 발표

(이슈투데이) 대구 서문시장에 위치하고 있는 침구 전문업체인 대신이불이 침구 브랜드인 ‘큐티라인‘의 자체적인 운송 시스템을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신이불은 지난 1990년 자체 공장을 설립 후 지난 1998년 ‘한진사’라는 침구 전문 업체를 창립, 대신이불로 이름을 바꾸고 최고의 품질과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최고의 상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는 침구 전문업체이다.

대신이불의 침구 브랜드인 ‘큐티라인’은 올해 9월 론칭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침구장인의 노하우와 기술을 집약, 접목시킨 최고 품질과 심플하고 모던한 디자인의 제품을 제작하고 판매하고 있는 브랜드이다. ‘큐티라인’의 제품은 도·소매, 맞춤이불, 호텔식침구, 이불 및 침구세트 등을 배송업체를 통하여 전국에 납품하고 있다.

대신이불은 제품의 운송 시간의 절약과 신속한 납품을 위하여 올해 하반기 자체적인 운송 시스템을 적용, 시범 운영을 거쳐 내년 3월 본격적으로 자체 운송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그로 인하여 대신이불과 거래하는 소비자와 거래처는 지금보다 더 빠르고 정확하게 ‘큐티라인’의 제품을 받아볼 수 있을 전망이다.

또한 최고의 품질을 자랑하는 ‘큐티라인’의 제품은 해외로 수출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침구세트 구비가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병원, 숙박업체 등 다양하게 납품 의뢰가 들어오고 있어 침구 시장에서 입지를 단단히 다지고 있다.

대신이불은 25년 이상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100% 국내 자체제작을 통해 최상의 퀄리티, 최고의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으며 대구 침구시장을 선도하기 위하여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미디어

더보기
대우건설 김보현 사장, 개포우성7차 홍보관 깜짝 방문 대우건설 김보현 사장이 오늘 오전 수주전이 한창인 개포우성7차 ‘써밋 프라니티’ 홍보관을 깜짝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조합원들에게 대우건설의 진정성을 전달하고 강력한 수주의지를 보여주기 위한 행보이자 현장에서 대우를 대표해서 뛰는 직원들을 격려하기 위해 이뤄진 것이다. 김 사장은 홍보관을 찾은 조합원들과 인사를 나누며, 조합의 계약서 원안 100% 수용 및 압도적인 사업조건, 대한민국 주택공급 1위라는 풍부한 시공경험을 강조했다. 특히 “대우건설은 지난 50년간 수많은 재건축현장에서 약속을 지키며 신뢰를 쌓았다. 브랜드가 아닌 신뢰를 기반으로 끝까지 조합원과 함께 할 대우건설을 선택해주길 요청한다”고 전하며 “제안 드린 모든 사업조건은 대표이사인 제가 직접 챙기며 한 치의 거짓 없이 성실이 이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김보현 사장은 홍보관 인근 직원 교육장을 방문했다. 개포우성7차 재건축사업의 입찰은 지난 6/19일 마감했으며, 금일은 홍보가 시작된 지 51일째 되는 날이다. 김 사장은 무더위와 집중호우에도 꿋꿋하게 회사를 대표해 대우건설의 진심을 전하고 있는 직원들을 격려했다. 그는 “짧게는 한 달, 길게는 수개월 동안 현장을 지키고 있는 직원들에게 감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