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베잔트 파운데이션, 김찬준 CEO 선임

게임 및 콘텐츠 업계 전문가
김찬준 CEO “한국 내 사업 부문 강화로 블록체인 디앱 상용화 이끌 것”

(이슈투데이) 블록체인 플랫폼 기업 베잔트 파운데이션(이하 베잔트)이 김찬준 신임 CEO를 선임했다고 지난 11일 밝혔다. 김찬준 CEO는 베잔트 서비스형 블록체인 플랫폼 중심의 국내 디앱 생태계 구축을 위해 한국 내 사업을 강화한다. 스티브테이 재단 이사는 동남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해외 사업부문에 집중한다.

베잔트는 국내와 해외 사업 부문을 이원화하는 투톱 체제로 전환하고 해당 시장에 전문성을 갖춘 리더 중심으로 조직을 재편함으로써 국내외 시장을 동시에 공략할 방침이다.

김찬준 신임 CEO는 게임 및 콘텐츠 업계 베테랑으로 온라인·모바일 게임 개발사와 퍼블리싱 업체 대표직을 두루 거쳤다. 특히 국내 게임 개발사의 해외 진출을 돕는 엑셀러레이터 대표직을 역임하며 수 많은 게임사의 투자 유치, 해외 진출을 이끌었다. 국내 게임 및 콘텐츠 업계에 대한 깊은 이해는 물론 폭 넓은 인적 네트워크, 해외 시장에 대한 식견을 갖췄다.

김 CEO는 “국내에는 스타트업을 비롯해 특정 분야에서 전문성을 지닌 중견·중소기업이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해 혁신적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움직임이 크게 늘고 있다”며 “베잔트는 이미 해외 송금 핀테크 스타트업 ‘모인’, 게임 현지화 전문 기업 ‘라티스글로벌’, 소셜 네트워크 게임 개발사 ‘뉴에프오’, 웹툰 플랫폼을 운영하는 ‘코미카’ 등과 전략적 제휴를 맺고 킬러 디앱 서비스 출시를 위해 협력 중이다. 해외 송금, 번역, 게임, 웹툰 등 일상 생활에서 밀접하게 활용되는 분야를 중심으로 실사용자를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베잔트는 디앱 서비스에 BaaS의 기축통화인 베잔트 토큰 중심의 토큰 이코노미를 접목한다. 서비스 내 결제, 보상 등에 베잔트 토큰을 적용해 실생활에서 쓰이는 암호화폐로 자리매김할 전략이다.

베잔트는 2019년 1분기 메인넷을 오픈한다. 베잔트 BaaS는 개발자와 사용자 친화적인 쉬운 BaaS로 플랫폼에 참여하는 디앱 프로젝트팀은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웹 어드민을 통해 몇 번의 클릭 만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다. 파트너 기업들은 베잔트 플랫폼 위에서 자체 토큰 발행 역시 가능하다. 개발자 친화적인 BaaS 플랫폼, 풍부한 토큰 유동성이라는 장점 때문에 전략적 파트너십에 가속도가 붙고있는 베잔트는 지난 11월 글로벌 1위 거래소 빗썸에 베잔트 토큰을 상장시키며 토큰 유동성을 확대시킨 바 있다.

김찬준 CEO는 지난 12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리는 ‘월드블록체인서밋 마블스 서울 2018’에 연사로 참여했다. 김 CEO는 ‘테크 르네상스, 블록체인 강자들의 해법은?’이라는 주제로 마련된 세션에서 블록체인 산업의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잡을 수 있었던 베잔트의 전략과 함께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발전 가능성 및 비전을 공유했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