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피플

춘천남부노인복지관, 자원봉사자·후원자와 함께 송년 감사의 밤 개최

(이슈투데이) 춘천남부노인복지관이 지난 13일 춘천 베어스호텔에서 ‘2018 송년의 밤 행사’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춘천시문화복지국장 김백신, 이원규 춘천시의회 의장, 김진태 국회의원, 춘천동부디아코니아 대표 김한호, 강원도의회 윤지영 도의원, 춘천시의회 박재균·정경옥·이혜영 시의원, 북부노인복지관 박재호 관장, 동부노인복지관 이영신 관장, 춘천청소년문화의집 최송이 관장, 대전 대덕구노인종합복지관 김형식 관장, 더불어민주당 강원도당 허영 위원장, 춘천시사회복지협의회 신두진 회장, 춘천남부노인복지관 조영춘 운영위원장, 원예농협 온의지점 최철은 지점장, 강원복지신문 서영석 대표, 퇴계지역아동센터 김선미 센터장, 바나바봉사회 나모세 회장, 한국수력원자력 의암수력발전소 유준식 소장 등 자원봉사자와 후원자 300여명이 참석했다.

춘천남부노인복지관 난타 동아리와 태권체조팀의 화려한 공연으로 막을 연 행사는 시상식 및 감사패 전달, 수상소감 발표, 2018년도 사업보고, 축하공연 등으로 참석한 후원자와 자원봉사자들에게 감동을 주는 순서로 이어졌다.

인사말에서 춘천시 문화복지국 김백신 국장은 “노인복지관이 지역의 노인 복지를 위한 최일선에서 중심 역할을 해 달라”며 “민-관이 하나 되어, 어르신을 섬기는데 부족함이 없도록 긴밀히 협조하겠다”고 말했다.

시상식에서는 한 해 동안 활발히 활동한 자원봉사자, 후원자, 후원처를 대상으로 표창장과 감사패가 주어졌다. 지역의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에게 배식 봉사 및 찾아가는 봉사활동을 펼친 이완형 봉사자는 춘천시장상을, 성실한 태도로 매일 경로식당의 배식 봉사자로 활동한 배인숙 봉사자는 시의회 의장상을 수상하였으며 춘천 지역의 독거 어르신들을 매년 후원해온 펼친 ㈜한국수력원자력발전소 의암수력발전소 유준식 소장은 김진태 국회의원상을 수상했다.

이어 이완형 자원봉사자는 봉사자 대표로 자원 봉사소감을 발표하며 “기독교적 섬김을 뜻하는 디아코니아를 열심히 실천하기 위해 노인복지관 봉사에 열심히 참여하고 있다”며 “어르신들과 희노애락을 함께 하며 나도 함께 행복한 시간이었다. 앞으로도 어르신들의 멋진 노후를 위해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해 봉사에 임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박란이 춘천남부노인복지관 관장은 “추운 날씨 가운데, 이 자리에 함께 해주신 귀한 분들에게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올 한 해 어르신이 행복한 세상을 위해 보내주신 손길과 응원 덕분에 춘천남부노인복지관의 모든 발걸음은 항상 희망이 넘치고 따뜻했다”며 “내년에도 변함없는 손길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춘천남부노인복지관은 지난 2013년 개관 이래로 하루 평균 1100명의 노인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건강한 노후, 희망찬 노후를 위하여 다양하고 전문적인 노인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춘천남부노인복지관은 만 60세 이상 춘천시 거주 노인이면 누구나 이용이 가능하며, 자세한 문의 사항은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