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피플

“유연 근무가 주 4일 근무보다 직원 근속에 더 큰 영향”

 

[이슈투데이=송이라 기자] 경험 관리(XM,Experience Management) 분야를 창시하고 선도하고 있는 퀄트릭스가 유연 근무에 대한 한국 직원들의 의견을 조사한 새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국내에서 근무 방식 유연화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되면서 기업의 근무 형태도 하나의 비즈니스 경쟁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퀄트릭스는 올해 5월 기준 만 18세 이상 한국 정규직,비정규직 근로자 1010명을 대상으로 새로운 근무 방식에 대해 조사를 진행했다. 보고서는 한국의 근로 정책이 변화하기에 앞서, 기업이 직원의 요구와 기대를 살펴보고 그것에 맞게 새로운 근무 제도를 도입하는 것뿐만 아니라 개인과 비즈니스에 미칠 영향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주 4일 근무 및 유연 근무에 대한 직원들의 선호도

주 4일 근무제와 유연 근무제에 대한 한국 직원의 선호도는 50%로 동등하게 나타났지만, 유연 근무제(58%)가 주 4일 근무제(48%)보다 직원 근속 동인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응답자들은 유연 근무제의 개념에 대해서 △원하는 시간을 선택해서 근무(64%) △원하는 요일을 선택해서 근무(13%) △장소 상관없는 자유로운 근무 환경(11%) △근무 시간 대신 성과로 평가(7%)하는 것이라고 응답했다.

◇한국 직원, 주 4일 근무제 선호하는 동시에 우려도 있어

한국 직원들은 근무 방식에 대한 선택권이 주어졌을 때 유연 근무제와 주 4일 근무제를 동등하게 선호하는 반면, 응답자의 74%는 건강과 웰빙 향상을 주된 이유로 기업의 주 4일 근무제 시행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주 4일 근무제가 '일과 삶의 균형'(82%), '정신적 복지'(79%), '인재 채용'(76%)에 도움이 된다고 답변했다. 주 4일 근무제의 시범 운영을 통해 입증된 이점도 분명히 있지만, 한국 직원들은 그와 동시에 우려되는 부분도 있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은 주 4일 근무제 시행 시 예상되는 부정적인 변화로 '근무 시간 연장'(68%), '회사 실적 저하'(54%), '고객 불만'(52%) 등을 우려했다(복수 응답).

◇새로운 근무 모델에서 직원 성과 및 웰빙 측정

기업이 근무 환경에 대한 변화하는 요구를 파악하고 새로운 근무 방식을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직원의 건강과 웰빙을 우선시하고 사무실과 원격 환경에서 모두 원활하게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응답자의 68%는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이 '직장'이라고 답했다. '원격 근무'가 본인의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답한 경우는 응답자의 41%,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답한 경우는 14%로 나타났다.

한편 응답자의 65%는 유연 근무제가 도입되면 개인의 커리어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같은 조사 결과는 기업이 어느 한 명도 뒤처지지 않고 목표에 따라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직원 개개인의 요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새로운 근무 방식 도입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근무 일수나 시간이 아닌 결과에 근거해 직원의 성과를 평가하는 '성과 중심 평가' 모델로, 응답자의 65%가 이러한 방식을 지지했다. 이와 관련해 집중력 및 효율성 향상, 근무 시간 감소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으며, 43%는 성과 중심 평가 모델을 도입하면 근무 시간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응답자의 압도적인 다수가 기업이 직원의 정신 건강을 위한 유급 휴가 제공을 환영하며, 83%는 이러한 휴가가 건강한 정신을 보장하는 데 효과적인 장기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번 퀄트릭스 설문 결과는 기존의 근무 방식을 재고하는 기업에 새로운 근무 방식의 변화가 조직에 가져올 영향에 대해 고려하고 예측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직원들이 어떻게 일하기를 원하는지 그리고 새로운 근무 방식이 주는 이점과 잠재적 위험성을 파악해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업은 전사 직원의 다양한 요구에 맞춰 새로운 근무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이는 직원의 건강 및 웰빙과 같은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준다.

스티브 베넷(Steve Bennetts) 퀄트릭스 아태 지역 직원 경험 솔루션 부문 성장 및 전략 총괄은 '하이브리드 업무 전략부터 기존 근무 제도의 변화 등 새로운 근무 방식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 가운데서도 조직은 직원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근무 방식이 각자의 삶의 요구에 맞게 근무 일정을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이라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며 '퀄트릭스는 직원들이 각 개인의 요구를 진정으로 이해하고 유연하게 대응해주는 조직에서 커리어를 개발하고 성취감을 얻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스티브 베넷은 '모든 근무 모델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단순히 근무 일수나 시간이 아니라 사람들이 원하고 기대하는 바를 이해하고 의미 있게 실현해 모두가 혁신의 과정에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미디어

더보기
현대건설, 수면케어 솔루션 ‘헤이슬립’ 국제 학회서 성과 발표 현대건설의 AI 기반 수면케어 솔루션 ‘헤이슬립(Hey,Sleep)’이 의학적 검증과 세계적인 권위의 수면 학술대회 발표를 통해 수면 개선 효과를 공식적으로 입증했다. 국내 최초로 수면환경 품질 인증인 ‘굿슬립 마크 골드’(한국수면산업협회)를 획득한 헤이슬립은 현대건설이 슬립테크 스타트업(에이슬립)과 공동개발한 수면케어 기술이다. AI 기반 수면 데이터 분석과 자동화 기술을 융합해 온도·조도·습도·환기·차음 등 다양한 요소를 제어하여 수면의 질을 높이는 통합 솔루션이다. 현대건설은 실제 수면환경 기술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용인시 마북동 기술연구원에 실증시설과 외부 전문기관을 통해 헤이슬립의 기능을 정밀하게 검증했다.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생명윤리위의 승인을 받아 진행된 이 실험은 주거 솔루션을 대상으로 한 업계 최초의 의학적 검증이다. 헤이슬립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총수면시간 17.3% 증가 ▲수면효율 11.81% 증가 ▲수면 중 각성시간 55.9% 감소 ▲깊은수면 200.4% 증가 ▲램수면 28.4% 증가 등 수면 품질 지표에서 유의미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최근 싱가포르에서 열린 세계적인 권위의 수면 학술대회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