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피플

직능연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참여주체별 변화 및 진단’ 발표

 

 

[이슈투데이=송이라 기자]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취업률이 코로나19 이후 꾸준히 회복되고 있는 가운데 각 계열 과정별 취업률을 고려한 차별화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류장수)은 지난 11월 16일(목) 'KRIVET Issue Brief 269호(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참여주체별 변화 및 진단)'를 통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는 2018~2022년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학교현황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구성됐으며, 과정별 분석을 위해 2020~2022년 1만7962명의 학습근로자와 7213개의 학습기업 자료를 활용한 것이다.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는 특성화고등학교 중 학교와 기업에서 2년(2~3학년) 동안 NCS 교육 과정을 기반으로 기업별 맞춤형 교육을 통해 전문기능인력으로 성장하고 취업하는 직업교육 모델이다. 

 

주요 분석 결과(KRIVET Issue Brief 269호 참조)는 다음과 같다.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취업률은 코로나19 이후 꾸준히 회복되고 있다. 

 

도제학교의 학습근로자(고용노동부로부터 일학습병행프로그램을 지정받은 학습기업에서 일한 사람)의 5개년 평균 취업률은 61.7%며, 3개년 진학률 25.9%, 입대율 5.1%로 나타났다. 

 

음식서비스, 전기,전자, 정보통신, 경영,회계,사무(2020년), 기계(2020년) 계열은 연도별 평균 취업률을 상회하는 등 취업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제학교 졸업생의 학습기업과 비학습기업의 취업률을 비교한 결과, 자신이 직접 학습받은 학습기업으로의 취업률은 줄었지만 그렇지 않은 비학습기업으로의 취업률은 상승하고 있었다. 

 

이는 도제교육 종료 후에도 계속해서 교육받을 수 있는 고숙련 일학습병행 프로그램(P-Tech)을 제공하는 기업으로의 이동이 지속 발생하고 있는 것이 주요한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분석을 수행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강경종 선임연구위원은 '취업이 잘 되는 일부 계열에 대해서는 지원을 보다 강화하고 비학습기업으로의 취업 비중도 늘어나고 있는 만큼 이를 도제교육과 연계하는 방안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미디어

더보기
SK에코플랜트, 반도체·AI 스타트업 대상 기술공모전 시상식 개최 SK에코플랜트가 반도체·AI 분야 혁신기업과의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활동을 이어 나가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4일 서울 광진구 그랜드 워커힐 서울에서 ‘테크 오픈 콜라보레이션(Tech Open Collaboration)’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올해로 5회째를 맞는 테크 오픈 콜라보레이션은 SK에코플랜트가 지난 2021년부터 주관∙시행 중인 스타트업 대상 혁신기술 공모전이다. 반도체·AI 분야 혁신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발굴해 시상하는 것은 물론 기술 고도화, 사업화까지 전방위로 협력하며 사업의 성장 및 경쟁력 확보를 지원한다. 주관사인 SK에코플랜트를 비롯해 창업진흥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한국무역협회,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카이스트, 호서대학교, 한남대학교, SK증권, 한국과학기술지주 등 각계 기관이 공모전 운영에 참여하며, 수상기업들과의 공동 연구개발에 동참한다. 이번 시상식에서는 △㈜엔하이텍(반도체 용수 생산 및 공정폐수 재이용 처리 기술) △㈜퀀텀캣(나노구조 제어 기술 활용 온실가스 저감 촉매 기술) △㈜모빌리오(4족 보행 로봇 활용 시공 품질 향상 솔루션) △㈜엘케이로보틱스(CCTV와 연동 가능한 인공지능 기반 로봇 시스템) △㈜에

LIFE

더보기
신한은행, 디지털 금융교육 어시스턴트 2기 발대식 개최 신한은행(은행장 정상혁)은 지난 3일 인천광역시 남동구 소재 ‘신한 학이재 인천’에서 ‘디지털 금융교육 어시스턴트’ 2기 발대식을 개최했다. ‘디지털 금융교육 어시스턴트’는 신한은행이 인천대학교 금융소비자보호연구소와 함께 금융권 디지털 포용문화를 선도하기 위해 선발한 인천대학교 재학생 15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올해 말까지 인천광역시청, 인천광역시사회복지협의회 등 지역 유관기관과 연계해 지역사회공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디지털 금융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에 선발된 2기는 시니어 디지털 역량강화를 목표로 ▲무인점포 및 모바일 금융 앱 활용을 위한 디지털 금융교육 ▲전기통신금융사기 예방 교육 ▲지역사회 디지털배움터 ‘보조강사’ 역할 등을 담당한다. 특히 신한은행 직원들과 함께 고령층을 위한 맞춤형 교육 콘텐츠도 공동 개발한다. 주요 내용은 ▲‘신한 SOL뱅크’ 앱 사용법 ▲‘지켜요’를 활용한 보이스피싱 예방법 ▲금융감독원의 ‘안심차단서비스’ 이용법 등으로 구성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인천대학교 학생들과 함께 디지털 금융 소외계층 교육활동에 참여하면서 금융소비자보호 활동의 중요성을 공유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하겠다”며 “누구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금융서비스를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