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노타입, 2024년 서체 트렌드 보고서 발표

 

 

[이슈투데이=김나실 기자] 글로벌 폰트 및 서체 기술 분야의 선두 주자 모노타입(Monotype)이 2024년 서체 트렌드 보고서(Type Trends Report)를 공개했다. 

 

모노타입이 매년 발간하는 서체 트렌드 보고서는 서체 및 브랜드 디자인 분야에서 떠오르는 트렌드를 분석하고 탐구하며, 전 세계 디자이너와 마케터들에게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 

올해로 네 번째를 맞는 이번 보고서는 모노타입의 서체 디자이너 조던 벨과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다미앙 콜로가 참여해 2024년 문화적 동향을 이끌 서체 및 브랜드 디자인 트렌드를 소개한다. AI에서 영감을 얻은 초현실주의, 1990년대와 Y2K 시절의 레이브(Rave)와 그런지(Grunge) 스타일의 향수, 클래식 세리프 폰트의 부활 등 총 10개 트렌드가 소개됐다. 또 음악 서브컬처에 대한 향수가 느껴지는 디자인을 적용했다. 

​ 

이번 서체 트렌드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많은 브랜드 및 크리에이터가 팬데믹 이후 고립과 스트레스의 영향으로 포근하고 부드러우며 감정을 자극했던 기존 폰트 트렌드에서 벗어나고 있음이 드러난다. 또 스마트폰과 AI가 등장하기 이전 시대에 대한 대중의 향수와 그리움이 커지며 전통적인 세리프 폰트의 안락함에 다시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보고서에 소개된 10개 트렌드는 재즈,레게,90년대 힙합 등 지난 시대 유행한 음악 장르와 연결 지어 낡은 LP 커버로 재해석했다. 이미지 생성 AI 툴 미드저니(Midjourney)로 생성한 가상의 LP 커버 아트는 아날로그 시대와 현재 AI 시대의 공존과 융합을 잘 보여준다. 

​ 

보고서의 아트 디렉션을 주도한 모노타입의 디자이너 이브라힘 가립은 '이 보고서를 통해 음악이 서체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여주고 디자이너와 브랜드가 AI를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모습을 반영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모노타입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다미앙 콜로는 '서체는 일상에서의 문화적 대화를 반영하며 촉매제 역할을 한다'며 '급변하는 혁신과 사회적 변화에 맞춰 디자이너들은 미래의 가능성과 과거의 향수라는 상반된 콘셉트에 모두 영향을 받고 있으며, 이는 새로운 창의성 시대를 예고하는 것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 

2024년 서체 트렌드 보고서 전문은 모노타입 영문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한국어 번역본은 모노타입코리아 블로그를 통해 곧 공개될 예정이다. 사전 등록 신청을 하면 한글 버전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