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광역청년센터, 스토리 공모전 ‘청년수당, 그 후 이야기’ 개최

2016~2023년 참여자 대상 ‘청년수당 스토리 공모전’ 진행
9. 27.(금)까지 청년수당으로 더 나은 삶을 살아가는 이야기 접수
청년 정책 참여자가 미래 청년에게 기여할 수 있는 선순환 기반 마련

 

 

[이슈투데이=송이라 기자] 서울시가 '청년수당 스토리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1. 청년 A씨는 청년수당 덕분에 삶을 돌아볼 여유가 생겼다. 현실에 치여 잊고 있었던 꿈에 다시 도전한 이야기를 글로 풀어냈다. 

#2. 사회가 두려웠던 청년 B씨는 집 밖으로 나섰다. 청년수당으로 친구와 밥을 먹고, 면접 정장을 샀다. B씨에게 청년수당은 사회와의 연결고리였다. 

#3. 청년 C씨는 태어나 처음으로 기부를 했다. 청년수당을 받으며 받은 도움을 다시 베풀겠다는 가치관이 생겼기 때문이다. 

 

이번 '청년수당 스토리 공모전'의 접수 기간은 9월 13일(금)~27일(금)이며, 응모 대상은 2016년부터 2023년까지 서울시 청년수당을 지원받은 청년들이다. 그동안 청년수당을 받은 당해연도 연말에 수기 공모전을 진행해왔으나 기 참여자들 전체를 대상으로 '청년수당 그 후'의 스토리를 공모하는 것은 처음이다. 

 

서울광역청년센터가 매년 진행하는 청년수당 참여자 추적조사에 따르면 청년수당 참여자들은 로봇개발, PD, 엔지니어, 동물원 사육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청년수당 참여자들의 경험담으로 미래 서울 청년들에게 희망을 전달하고자 이번 스토리 공모전을 기획했다. 

 

공모전의 주제는 '청년수당에 참여하며 진로탐색, 몸/마음 건강, 생활을 개선할 수 있었던 이야기', '더 나은 삶을 찾았던 이야기 등 자유주제'로 진행될 예정이다. 

 

수상 인원은 △최우수상 2명(각 10만원 상품권) △우수상 3명(각 6만원 상품권) △장려상 5명(각 3만원 상품권) △참가상 20명(각 1만원 상품권) 총 30명이다. 

 

수상작 스토리는 서울시 SNS 채널, 홈페이지 등에 업로드되며, 많은 시민들에게 확산될 수 있도록 홍보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공모전을 주관하는 서울광역청년센터 홈페이지(www.smyc.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기타 문의는 서울광역청년센터 운영사무국으로 하면 된다. 

 

서울광역청년센터 신소미 센터장은 '2016년부터 시행된 청년수당은 서울시 청년정책 중 가장 많은 누적 참여자 수를 기록한 정책으로, 사각지대에 있는 청년들을 포용하고, 학교 졸업 후 노동시장에 진입하지 못한 미취업 청년들에게 사회안전망의 역할을 해왔다'며 '이번 공모전을 통해 청년수당 참여자들의 이야기가 미래 세대에 희망을 주고, 청년정책의 발전에 중요한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 청년수당은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만 19세~34세 미취업 또는 단기 근로 청년에게 활동지원금(월 50만원, 최대 6개월)을 지급하고, 청년 니즈에 맞는 성장지원 프로그램 연계를 지속 지원하는 사업이다. 2016년부터 시작돼 2023년까지 총 10만7378명이 참가했다. 

 

2024년 청년수당 정책 운영,지원을 했던 서울활동지원센터와 청년 의제를 발굴,연구,지원하던 청년허브가 통합돼 서울광역청년센터로 새롭게 출범했으며, 서울시의 청년정책 전달 및 서울청년센터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더욱 강화했다. 또한 민관 협력을 통해 청년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고, 청년정책 참여자들이 미래 세대를 지원할 수 있는 선순환적 정책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출처=서울광역청년센터]



미디어

더보기
대방건설, 배우 이유진과 협업… 실거주 담은 ‘디에트르’ 브랜디드 콘텐츠 공개 대방건설이 자사의 프리미엄 주거 브랜드 ‘디에트르’를 알리기 위해 배우 이유진과 협업한 브랜디드 콘텐츠를 공개했다고 전했다. 해당 영상은 지난 27일 이유진의 유튜브 채널 〈이유zip〉을 통해 소개되었으며, 배우 본인이 실제 입주해 거주 중인 양주옥정신도시 ‘디에트르’ 단지에서 촬영되었다. 광고 목적의 연출이 아닌 실제 생활을 중심으로 한 리얼한 스토리 구성으로, 시청자들의 높은 공감과 몰입을 이끌고 있다. 대방건설은 이번 협업을 통해 단순한 공간 소개를 넘어, ‘삶의 방식’을 전달하는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본격화했다. 영상은 “4000만 원으로 이 집에 전세로 들어올 수 있었다”는 오프닝 멘트로 시작돼 즉각적인 궁금증을 자극한다. 단순히 ‘예쁜 집’에 대한 감탄을 넘어서, 합리적인 가격 조건과 실제 입주 경험을 통해 정보성과 몰입도를 동시에 충족시킨다. 신축 단지답게 넉넉한 팬트리, 숨은 수납장 등 공간마다 여유롭게 수납이 구성되어 있어 실제 생활에서의 편리함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특히 이유진이 별도로 꾸며 사용 중인 작업실은 배우이자 크리에이터로서의 라이프스타일이 반영된 공간으로, 영상 속에서는 실제 작업 장면도 등장해 더욱 현실감 있게 다가온다.

LIF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