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이오, 편집자·에세이스트 오경철이 브라이언 딜런의 ‘에세이즘’에 남긴 독서 기록 발매

책을 만들고, 모으고, 쓰는 사람과 함께 읽는 ‘에세이즘’

 

 

[이슈투데이=송이라 기자] 함께 읽는 전자책 플랫폼 북이오가 편집자이자 에세이스트인 오경철이 브라이언 딜런의 '에세이즘'에 남긴 독서 기록을 발매했다. 

 

에세이는 흔히 접근성이 좋은 장르로 분류된다. 특별한 상상력이나 기술이 없어도 쓸 수 있는 글, 배경 지식이 부족한 사람도 편안하게 읽을 수 있는 친절하고 쉬운 글이라는 인식이 일반적이다. 

 

에세이스트이자 비평가,저널리스트인 브라이언 딜런이 쓴 '에세이즘'을 읽다 보면 이런 인식은 무너진다. 저자가 수없이 읽고 체화해 우리에게 소개하는 에세이의 면면은 퍽 다채롭고, 때로는 불가해함을 주요한 특징으로 하기 때문이다. '좋은 에세이'를 읽는 기쁨이 결코 빠르게 넘어가는 책장에만 있지 않음을 이 책은 깨닫게 한다. 

 

다만 저자는 아일랜드인으로 영미,유럽의 에세이에 익숙한 사람이다. 독자에게 소개하는 작품 목록에서도 버지니아 울프, 수전 손택, 롤랑 바르트 등의 이름이 눈에 띈다. 혹시 한국 작가의 에세이를 주로 접해왔기에 이런 이름들이 낯설게 느껴지는 사람이라면 한국에서 책을 만들고, 모으고, 써온 이의 안내에 조금 의지해 보는 게 좋다. 주변에 그런 사람이 없다고 걱정할 필요는 없다. '함께 읽는 전자책 플랫폼 북이오'에서 발매한 코멘터리북 버전을 읽으면 된다. 

 

'코멘터리북'은 작가나 전문가, 인플루언서가 남긴 독서 기록(밑줄, 메모)을 본책과 함께 볼 수 있는 북이오만의 특별한 전자책이다. 앞서 의사이자 작가인 남궁인이 줄리언 반스의 '우연은 비켜 가지 않는다'에 남긴 독서 기록, 역자 장대익 교수가 '침팬지 폴리틱스'에 남긴 독서 기록 등이 코멘터리북 형태로 북이오에서 발매됐다. 

 

'에세이즘'에 독서 기록을 남긴 이는 편집자이자 에세이 '편집 후기', '아무튼, 헌책'을 쓴 작가이기도 한 오경철이다. 평생에 걸쳐 책을 읽고, 만들고, 모으며 글을 써온 사람이기에 그의 기록에는 조급함이나 불필요한 거들먹거림이 없다. 본문에서 언급된 작품의 번역본 정보를 친절히 남겨둔 것 외에는 자연스러운 끄적임 그 자체다. 독자는 그가 남긴 메모에서 에세이를 대하는 딜런의 태도에 대한 깊은 공감을, 그의 밑줄에서 적확하고 아름다운 문장에 대한 순수한 감탄을 읽는다. 

 

에세이를 즐겨 읽지만 에세이가 대체 무언지, 왜 에세이에 끌리는지 알기 어려웠던 독자에게 '에세이즘' 코멘터리북은 하나의 흥미로운 모험이 될 듯하다. 이 넓고 모호한 장르로 다가가는, 통념과 달리 그리 평탄하지만은 않은 길을 아일랜드와 한국의 두 작가와 함께 거니는 일도 꽤 즐겁지 않을까.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