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다가스카르 유명 과학자•탐험가•멘토 르네 드 롤랑, 세계 최고 동물 보존상 수상

 

인디애나폴리스 동물원(Indianapolis Zoo)이 마다가스카르에서 활동하는 저명한 과학자이자 생물다양성 보존 전문가인 릴리-아리송 르네 드 롤랑(Lily-Arison René de Roland) 박사를 2025년 인디애나폴리스상(Indianapolis Prize)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르네 드 롤랑 박사는 오랜 시간 이어온 연구와 탐험을 통해 새로운 종을 다수 발견했고, 4개 국가에서 보호 구역 설립을 주도했으며, 지역사회 중심의 동물 보존 프로그램도 개발했다. 그는 2004년부터 더 페레그린 펀드(The Peregrine Fund)가 운영하는 마다가스카르 프로그램(Madagascar Program) 국가 업무 책임자로 일하면서 고향의 야생동물과 풍경을 보존하기 위해 마다가스카르 보존 전문가 48명으로 구성된 팀을 이끌고 있다.

 

르네 드 롤랑 박사는 인디애나폴리스상의 제10회 수상자이다.

 

인디애나폴리스 동물원 사장 겸 CEO인 로브 슈메이커(Rob Shumaker) 박사는 "르네 드 롤랑 박사가 개발한 지역사회 중심 보존 모델과 수십 년간 이어온 관련 연구는 인간과 야생동물 간 갈등을 완화했을 뿐만 아니라 마다가스카르에만 존재하는 놀라운 동물과 생태계를 보존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면서 "헌신적이며 창의적이면서 마다가스카르 야생동물을 열렬히 옹호해온 그가 올해 인디애나폴리스상 수상자가 됐다는 사실을 발표하게 되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르네 드 롤랑 박사는 특히 1990년대 이후 멸종된 것으로 간주됐던 희귀 오리인 마다가스카르 포차드(Madagascar Pochard)를 비롯해 다양한 종의 발견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2006년 마다가스카르 북부 외딴 지역에서 도전적인 탐사를 하던 도중 이 종을 재발견했다. 그는 또한 마다가스카르 북부에서 아직 학계에 보고되지 않았던 여우원숭이(lemur) 두 종의 발견에도 기여했다. 과학자들은 생물 다양성 보존에 대한 그의 광범위한 영향력을 인정해 2021년 새롭게 발견된 늑대거미(wolf spider)에 그의 이름을 따 Katableps lilyarisoni라는 학명을 붙였다. 가장 최근 실시한 2022년 탐험에서 르네 드 롤랑 박사는 팀을 이끌고 20년간 조류학자들이 발견하지 못했던 작은 명금류(songbird) 더스키 테트라카(Dusky tetraka)를 다시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

 

르네 드 롤랑 박사는 "인디애나폴리스 동물원으로부터 이 명예로운 상을 수상하게 되어 영광"이라면서 "제 연구는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자부심과 이곳의 훌륭한 사람들에게 대한 제 사랑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르네 드 롤랑 박사는 마다가스카르 내 총 1500제곱마일 이상의 면적을 차지하는 4곳의 국립 보호구역을 만드는 데도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이 보호구역에는 열대우림, 건조림, 습지, 맹그로브 나무숲과 사바나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르네 드 롤랑 박사의 노력은 멸종 위기에 처한 마다가스카르 고유종을 보호하는 것뿐 아니라, 이 보호구역을 함께 관리하고 그곳 자원을 지속 가능하게 활용하는 현지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했다.

 

르네 드 롤랑 박사의 연구는 마다가스카르의 차세대 보존 전문가 양성에도 기여했다. 그는 마다가스카르 대학에서 100명 이상의 학생을 지도했으며, 제자들 중에는 90명이 석사 학위를, 16명이 박사 학위를 각각 취득했다.

 

더 페레그린 펀드의 회장인 크리스 N. 파리시(Chris N. Parish) CEO는 "더 페레그린 펀드는 과학, 보존, 그리고 그의 커뮤니티에 대한 헌신으로 우리 모두에게 영감을 주는 르네 드 롤랑 박사에게 깊은 자부심을 느낀다"면서 "인디애나폴리스상 수여를 통해 그의 연구와 멘토링은 물론, 그가 보존 분야에서 수십 년 동안 이룬 업적이 인정받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미디어

더보기
DL건설, 의정부 신곡동 아파트 현장 사고 관련 입장 발표 DL건설이 지난 8일 의정부 신곡동 아파트 현장에서 발생한 사고와 관련해 깊은 애도의 뜻과 사과를 전하며, 전사적인 안전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DL건설은 “이번 사고로 안타깝게 유명을 달리하신 고인께 깊고도 무거운 애도의 뜻을 표하고, 유가족분들께도 진심으로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며, “사고 직후 모든 현장의 작업을 즉시 중지하고, 전사적으로 긴급 안전점검을 실시해 안전이 확실하게 확인되기 전까지는 작업 중지를 해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나아가 생업을 위해 출근한 근로자분들이 안전하게 일하고 퇴근할 수 있도록, 안전한 현장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DL건설은 “안전체계에 대한 확신을 이루어 내기 위해 대표이사 이하 전 임원, 팀장, 현장소장은 보직을 걸고 현장 안전을 위한 업무에 임할 것”이라며, “사즉생의 각오와 회사의 명운을 걸고 반드시 안전한 현장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표이사와 CSO(최고안전책임자)를 포함한 전 임원, 팀장, 현장소장이 자발적으로 동참해 11일 일괄 사표를 제출했다. 한편 DL건설은 전 임직원을 대상으로 안전결의대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우선 11일 본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이후 안전이 확인되어 작업이 재개된 현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