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카운트다운: 사상 최대 글로벌 참여, CISCE의 연결•협력•혁신 비전 부각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hina Council for the Promotion of International Trade, CCPIT)가 주최하고 중국국제전시센터가 주관하는 제3회 중국국제공급망박람회(China International Supply Chain Expo, CISCE)가 7월 16일부터 20일까지 베이징 중국국제전시센터(순이 행사장)에서 개최된다. CCPIT는 개막 30일을 앞두고 이번 박람회가 역대 최대 규모의 해외 참가자 수를 기록했으며, 혁신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과 서비스 영역 확대 등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전 세계 75개국 및 지역에서 650여 개 기업과 기관이 참가를 확정했으며, 이 중 35%는 해외 기업으로 그 절반은 유럽과 미국 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참가 기업의 65% 이상은 포춘 500대 기업 또는 각 산업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 구성돼 있으며, 공급망 관련 협력사를 포함한 전체 참가 규모는 1200개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박람회는 온라인 플랫폼 및 오프라인 플랫폼을 통해 20만 명 이상의 비즈니스 방문객과 일반 참관객을 맞이할 예정이다.

 

올해 주빈국은 태국이며, 중국 산둥성과 광둥성이 주빈성으로 초청됐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상징적인 CISCE 2025 베이징 이니셔티브가 공개될 예정이며, 국제 협력을 위한 실천 가능한 해법을 담은 제3차 연례 글로벌 공급망 촉진 보고서도 함께 발표된다.

 

아울러 첨단 제조, 스마트 모빌리티, 친환경 농업, 청정에너지, 디지털 기술, 헬스케어, 공급망 서비스7개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혁신 기술과 협력 성과가 공개된다. 또한 다양한 포럼과 부대 행사를 통해 업계 선도기업, 오피니언 리더,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글로벌 산업 및 공급망 협력의 새로운 방향을 함께 모색할 계획이다.

 

CISCE 2025는 혁신을 핵심 주제로 내세우며 혁신 체인 존(Innovation Chain Zone)을 처음으로 선보인다. 이를 통해 세계지식재산기구(WIPO)와 중국 국가지식재산국을 포함한 14개 주요 기관의 선도적인 연구와 엔드투엔드(End-to-End) 혁신 생태계를 조명한다. 또한 이번 박람회에서는 2024년 대비 10% 증가한 100건 이상의 글로벌 신제품 발표와 공개가 이뤄지며, CISCE 신제품 허브, 글로벌 공급망 지수 매트릭스, 시각화된 산업 지도도 함께 공개될 예정이다.

 

이번 박람회는 친환경, 저탄소, 지속 가능성이라는 운영 원칙을 바탕으로 참가 기업에는 맞춤형 지원 서비스를, 방문 단체에는 목적에 맞는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현재 업계 전문가와 바이어, 언론인, 일반 참관객을 대상으로 등록이 진행 중이며, 모든 방문객은 무료로 입장할 수 있다.



미디어

더보기

LIFE

더보기
KB금융, 7월 ‘문화가 있는 날’ 맞아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이 7월 30일, ‘문화가 있는 날’을 맞아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미술의 역사와 현재를 조명하는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공개했다. 매달 마지막주 수요일은 국민 모두가 일상에서 보다 쉽게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문화가 있는 날’이다. 문화재 무료 개방, 영화·전시·스포츠 관람 할인 등 전국 문화시설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KB금융은 단색화 열풍과 국제 아트페어 개최 등 전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K-미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을 제작했다. KB금융과 ‘한국 알림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함께 기획하였으며, 국내 1호 전업 도슨트인 김찬용 전시 해설가가 내레이션에 참여했다. 이번 영상은 단색화 열풍을 중심으로 민족 고유의 미의식을 바탕으로 독창적인 미술기법을 발전시켜 온 한국미술의 역사를 설명한다. 단색화(DANSAEKWHA)’는 우리말 고유명칭 그대로 불리는 화풍으로, 201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급격한 산업화와 서구화 속에서 전통적인 동양적 사유와 미감을 현대적으로 표현한 작품들로, 제한된 색조와 형태, 질감을 사용하여